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Re:처방회의에 나왔던 약재들 설명자료

꿈과인생 2010. 5. 23. 17:18

이해를 돕기 위해 처방회의에 나왔던 약재들 설명자료를 옮겨왔습니다.

참고하십시오.

물론 음양관 없이 지식을 암기하는 것은 모르는 것만 못하다고 했습니다. 

 

약품명】 석창포 Acori Graminei Rhizoma 

【분류】 개규약 

【주요 성분】 Asarone, Methyl eugenol, Asaryl Aldehyde. .

【기원】 천남성과(천남성과;Araceae)식물인 석창포(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의 근경.

【성미․귀경】 성미 : 온, 신, 고     귀경 :심, 위

 【효 능】 화습화위 성신건뇌(익지) - 담습몽폐청규 신혼 건망이명이롱화중개위 - 흉복창민 구금하리개규화담․ 신혼전간실음 : 가 오미자심신경 울담결증 : 가 원지

【주 치】 담탁몽폐청규 혹은 열입심포, 신식혼란, 이농건망, 흉복창만작통.

【처 방 예】 창양사심탕《수식거곽난론》:창포, 황금, 반하, 황연, 자소, 후박,죽여, 비파엽, 노근 ; 담탁옹폐, 신식혼미, 흉격비새을 치료한다.

【용량․용법】 3 - 9g, 전복한다. 선품은 10 - 15g을 사용한다.

【금 기】 음혈불족, 정활다한자, 양항음허자

【약리 작용】 1.진정작용 2.건위작용 3.진통작용 4.이뇨작용 5.항진균작용

【응 용】 A. 성뇌정간

1. 석창포는 의식각성 . 거담 . 정간의 효능이 있어 혼궐증(담탁몽폐심규)의 치료에 쓰면 좋다. 단독으로 대량을쓰거나 소량을 복방에 넣어 써도 좋은 효과가 있다. 유행성뇌막염 . B형뇌염으로 고열혼미 . 다담난객 . 천명 . 경련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울금 . 반하 . 죽여 . 연교 . 치자 . 황련과 같이 쓰면 좋다. 만약 효과를 얻지 못하면 석창포 5~8전, 원지 3전을 달여 몽석말 5분을 넣고 잘 섞어 복용하면 약 1시간이면 담과 타액을 대량으로 토하면서 호흡이 편해지고 의식이 점차 회복된다.

2. 전염성병에서 나타나는 소아의 담궐로 열이 내리지 않고 해수가 극심하며 가래는 많으나 뱉어내지 못할 때는 남성 . 백강잠 . 울금을 넣고 진하게 달여 비강으로 투여하면 좋다.

3. 석창포는 전간발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단독으로 석창포 3전을 약화로 달여 3회로 나누어 30일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좋다. 보통 5일간 투약하였다가 쉬고 다시 계속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반 년간 복용하여 증상이 안정되는 듯하면 계속하면 좋다. 특히 20세 이하로 발병 후 5년 이내가 더욱 효과가 좋다. 단, 반 년 이상을 복용해야 한다. 석창포에 원지 . 복신 . 몽석 . 산조인을 넣고 환으로 만들어 복용해도 발작을 예방할 수 있다.

4. 석창포는 조광형의 정신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정신분열증 . 우울증 . 심인성정신병에서 볼 수 있는운동난발 . 다화 . 불면증상에는 석창포 5전, 용담 . 시호 각3전, 대황 2전을 달여 1일 2첩씩 복용시켜 증상이 억제되면 감량한다. 히스테리 발작시 다화 . 불면의 증상이 있으면 석창포 5전, 시호 2전,. 지실 3전, 생강 1전을넣어 달여 복용하면 좋다. 우울형정신병의 혼황 . 불안 . 활동불능감 . 불면 . 망상 등의 증상에는 석창포에 지실 . 도인 . 천궁 . 몽석 . 모려를 넣어 쓰면 좋다.

5. 건망 . 이명 . 이롱에 원지 . 복령 . 용치 등을 넣어 쓰면 좋다(안신정지환).

6. 치매에 죽력 . 몽석 . 주사 . 울금 . 백반 등을 넣어 활용하면 좋다.


B. 거습건위

1. 여름철 습열로 발열과 오한이 나고 열이 내리지 않으며 전신의 마디가 시큰거리고 설태백니를 보이면, 곽향 . 패란 . 복령 . 후박 등의 청열화습약에 석창포를 넣어 쓰면 거습효능이 더욱 강해진다. 풍습으로 인해 관절과 근육에 산통이 있을 때는 초기에 석창포와 방풍 . 강활 . 독활을 쓰면 거습지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는 감기나 기타 호흡기 . 소화기 질환이 걸리기 쉽고, 흉복민창 . 대편불상 . 식욕부진 . 설태백니 등의 습이 중한 증상이 나타날 때는 창출 . 백두구 . 신곡을 넣어 쓰면 좋다.

3. 더위를 먹어 갑자기 극렬한 복통을 일으키고 오심 . 구토의 증상이 있을 때는 신곡 . 석창포 . 곽향 각3전을 달여 복용하면 좋다. 심한 구토가 멎지 않을 때는 진피를 더 추가하여 쓰면 좋다.

4. 습조중초로 인한 복창통 . 복명 . 방비다 . 가슴이 답답하여 잘 먹지 못하고 이태를 보이면 창출 . 후박 . 백두구 등을 같이 쓰면 좋다.

5. 금구리로 인한 불식에 황련 . 석련자 . 복령 등을 같이 쓰면 좋다.


C. 기타응용

1. 석창포를 진하게 달여 빙편 1분을 넣어 복용하면 인후의 급성 염증으로 인한 통증을 멎게 하고 화농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석창포 즙을 물에 섞어 입 안을 헹구면 농액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구강의 청결을 도모할 수 있다.

2. 상처가 헐어 좀처럼 아물지 않을 때는 석창포 분말을 환부에 바르고 거즈로 덮어두면 육아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3. 피부습진의 소양감, 항문 , 외음부 . 음낭의 습진, 소아의 피부염에는 달인 물로 목욕을 하거나 매일 2~3회 분말을 환부에 바르면 좋다.

4. 석창포를 술에 담가 내복하거나 외용하면 타박상 . 풍습성관절통에 효과가 있다.

【참고】 제습개규에는 구절창포가, 열담에는 선창포가, 화습개위에는 석창포가 좋음. 창포와 수창포는 효능이 비슷하나, 창포는 개규작용이, 수창포는 화습개위, 화담지해, 옹종창종습진에 좋다.

 

【약품명】 원지 Polygalae Radix 

【분류】 안신약 중진안신약

【주요 성분】 원지saponin A, 원지saponin B와 계피산의 유도체 등. .

【기원】 원지과(원지과;Polygalaceae)식물인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의 근 혹은 근피

【성미․귀경】 성미 : 미온, 고, 신     귀경 :심, 폐, 신 (설열수사, 안신익지)

【효 능】 안신익지 - 실면, 경계, 익총명거담이규 - 해수담다(밀자용), 담미신혼, 건망, 경계소옹산결 - 창양종통, 유방종통

【주 치】 경계건망, 다몽실면, 한담해수, 담습옹종

【용량․용법】 3~9g.

【금 기】 급성열병, 후통, 해수, 실혈

【응 용】 A. 안신

1. 원지는 자양성강장약으로 양심안신 . 보신익지의 효능이 있으며 약성이 평하여 장기간 투여해도 지장이 없다. 체력이 약하고 신경쇠약이 있으면 당삼 . 복신 . 백출을 넣거나 황기 . 감초 . 백출을 넣거나, 지황 . 구기자 . 산약을 넣어 써도 된다. 간혈허에는 백작 . 당귀 . 천궁을 넣으면 좋다. 또 사삼 . 맥문동을 넣으면 폐기를 보하는 작용을 한다.

2. 불면 . 다몽 . 심계항진 등에는 산조인 . 백자인 . 용골 등을 넣어 쓴다. 만성불면을 치료하는 효과도 뛰어나며, 복신과 같이 쓰면 동계를 진정하는 효과가 있어서 심질환에 많이 사용된다.

3. 원지에 당삼 . 백자인 . 황기 . 복분자를 넣고 환으로 만들어 쓰면 좋은 자보 . 건뇌효과를 얻는다. 신경쇠약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고 건망 . 주의력산만 . 두혼창 . 유정 등의 증상이 있을 때도 사용하면 증상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4. 원지는 소아의 지능저하를 치료하는 데 쓰이며 병리적 원인으로 우둔해졌을 때 좋다. 기억력저하 . 주의력산만 . 이해능력차 . 단락사고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당삼 . 복분자 . 하수오 . 녹용 . 동충하초 등을 넣고 환으로 만들어 쓰면 아주 좋다.

5. 소아가 중추신경의 감염으로 다담 . 경련 . 의식불명이 되었을 때는 원지 3전에 황련 1전 . 석곡 5전, 울금 . 패모 . 나복자 각2전을 진하게 달여 복용하면 좋다. 또 담조심규로 인한 정신착란 . 정지황홀 . 경간 증후에는 석창포 . 울금 . 백반 등을 함께 쓰면 거담개규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6. 원지는 생식기능의 쇠퇴에 대한 강장흥분작용을 가지므로 양위 . 조루 . 유정 . 정 감소 및 부녀 불감증 등의 증상에 녹용 . 파극 . 보골지 . 부자 . 복분자 등과 같이 쓰면 좋다. 또 원지는 자양강장의 상용약으로 다른 자보장양약과 같이 써도 좋고, 환으로 만들어 쓰면 성기능쇠퇴의 방지에 도움이 된다.

7. 만성 정신분열증으로 동계 . 불면 . 피로를 수반할 때도 원지는 치료와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복용해도 체내에 잔류하지 않고 불면과 피로가 사라지며 지능도 올릴 수 있어 아주 좋다.

8. 유뇨 . 다뇨에는 보골지 . 익지인과 같이 쓰면 좋다.


B. 거담정천

1. 원지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위점막과 인후점막을 자극하여 거담효과를 가지고 있다. 만성기관지염 . 기관지천식으로 가래는 많으나 뱉기 힘들고 호흡촉박 . 기천증상이 나타나며 바로 눕지 못할 때는 마황 . 행인 . 전호 . 진피를 넣어 쓰면 정천화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나복자 . 소자 . 백개자와 같이 써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완해기에는 팔미나 육미에 넣어 쓰면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소아가 급성기관지염으로 가래가 많아지고 숨이 차거나 마진에 폐염이 병발하였을 때도 모두 원지를 쓸 수 있다.


C. 기타응용

1. 원지는 소산옹종 작용이 있으므로 옹저종독이 오랫동안 짓무른 채 아물지 않을 때는 원지 5전을 진하게 달이고 찌꺼기를 찧어서 호박 5분 . 주사 3분을 넣고 잘 섞어 환부에 바르면 좋다. 또 원지를 술에 담가 복용해도 된다.

【수치】 거심

 

【약품명】 나복자 Raphani Semen 

【분류】 소식약 

【주요 성분】 Fatty oil, α_, β-Hexylaldehyde, Methylmercaptane.

【기원】 십자화과(십자화과;Cruciferae)식물인 무(Raphanus sativus L.)의 종자

【성미․귀경】 성미 : 평, 감, 신     귀경 :폐, 비 (화담소적지품)

【효 능】 소식제창(초용) - 식적정체 위완비만 희기탄산 복통설사 복창불서강기화담 지해평천(생용) - 해수담다기천순기개울식체 - 복명 복창만 복통 : 가 창출, 신곡, 맥아, 산사해수상기 백일해 : 가 길경, 자완 , 오미자

【주 치】 식적기체, 흉민복창, 난기탄산, 사리불상, 해수기천, 담다.

【처 방 예】 삼자탕 (원명:삼자양친탕)《한씨의통》: 내복자, 백개자, 소자 ;노인기실담성, 천만라식을 치료한다.

【용량․용법】 9 ― 15g, 전복한다

【금 기】 지황과 동용을 금 → 하기모혈. 허약한 자

【약리 작용】 1.건위작용 2.거담작용.

【응 용】 A. 소식지리

1. 나복자는 이기화체의 효능이 있어 식적을 없애는 작용이 있다. 육류 . 면류의 과식으로 소화불량을 일으켜 위복이 팽만하고 트림과 위산을 토하는 경우에 나복자 3전과 신곡 3전을 진하게 달여 먹으면 좋다. 육류과식으로 인한 때는 산사 3전을, 면류과식으로 인한 때는 맥아 3전 . 진피 2전을 넣어 쓴다.

2. 소화기능이 떨어지면 조금만 식사에 부주의해도 복부가 팽만하여 트림이 나오고 심하면 딸꾹질이 나와 토하거나 새콤한 물을 토하는 증상이 멎지 않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는 나복자초 3전을 달여 복용하면 좋다. 만성화가 되었으면 계내금 . 백출을 넣어 산제나 환제로 3전씩 복용하면 건위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나복자는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므로 위산과소로 소화기능이 극히 떨어지고 식사량이 줄어들며 소식해도 배가 불러 고통스럽고 변비를 보이면 산사 . 맥아를 넣어 쓰면 좋다. 나복자에는 지방유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장을 부드럽게 하고 대장의 건조증상을 방지한다.

4. 불결한 음식을 먹고 구토 . 설사한 후에 소화기능의 회복이 늦고 식욕이 떨어져 그 맛을 모르고 상복부가 답답할 때는 산사 . 지실을 넣어 쓰면 좋다.

5. 위 질환에서 식욕부진이 장기간 계속되는 것은 위액분비 장해와 연동기능의 감퇴에 있는데, 이 경우에는 계내금 . 신곡을 넣고 가루 내어 매 2전씩 복용하면 좋다.

6. 나복자는 이질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일반적으로 황련 . 백두옹 . 황금 등을 쓰지만 대변을 시원스럽게 보지 못하고 복통이 멎지 않을 때는 나복자 3~5전을 넣어 장내의 내용물을 배설할 필요가 있다. 증상이 좋아지면 양을 줄여서 더 복용하면 식욕이 증진한다.

7. 설사를 해도 시원치 않고 때로는 물만의 설사를 하며 복통이 아주 심해도 대변은 나오지 않고 소량의 물 같은 변이 나올 때 황금을 넣어 쓰면 장내의 결적을 사하시킬 수 있다.

8. 나복자는 약간의 사하작용이 있으므로 장폐색의 치료에 쓴다. 장폐색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나복자 8전~1양을 군약으로 쓰고 대황 2~4전, 후박 2전을 넣고 20분간 달인 후 다시 망초 3전을 넣고 약간 달여 조금씩 1시간 이내에 다 복용하면 복용 후 1시간 안에 배가 끓으며 복통이 줄어든다. 약 3시간 후에는 배변이 시작된다. 만약폐색증상이 심할 때는 12시간 후에 다시 복용시키고 대변이 통하면 중지한다. 나복자에는 이기통변의 작용이 있는데 대황과 같이 쓰면 통변작용은 더욱 증가되고, 망초는 건조한 대변을 부드럽게 하여 사하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이 세 가지 약을 배합하면 치료효과는 아주 빠르게 나타난다.


B. 화담정천

1. 나복자는 화담작용이 있으므로 점조한 담이 좀처럼 뱉어지지 않는 만성기관지천식에 쓰면 거담지천효과가 아주 좋다. 대개 백개자 . 소자와 같이 쓴다. 소아에게도 쓰면 거담평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소아의 기관지염 초기에 담이 많고 뱉어내기 어려울 때는 행인 . 반하 . 패모를 넣고 달여 설탕을 약간 넣어 조금씩 복용하면 화담지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기타응용

1. 나복자에 함유된 다량의 지방유는 윤장효과가 있으므로 몸이 허약한 자나 또는 병후에 쇠약한 자가 변비를 하여 사하약을 쓰지 못할 경우에 쓴다. 현삼 . 옥죽(또는 황정)을 넣어 써도 좋다. 일반적으로 매일 3전을 쓰며 3일간 계속한다. 습관성변비에도 나복자를 계속 복용하면 좋다. 나복자 3전을 달여 2일에 1회, 저녁 식사 후에 복용한다. 1개월 정도는 지속해야 한다.

2. 나복자는 이기지통의 효능이 있으므로 만성간염으로 간부위에 둔통이 멎지 않거나, 헤르니아로 하복부에 색인통, 복부수술 후 장유착으로 가스가 차서 일어나는 창통, 위경련으로 통증이 있을 때 배합하여 쓰면 치료를 보조할 수 있다.

【수치】 생용 - 토담, 초용 - 소식

【참고】 나복자는 장위의 숙식이나 숙변을 다스리면서, 또 구취가 있을 때 쓰면 좋다. 구취가 너무 심하여 옆에 가기 어려운 사람에게 활용하는데 효과가 부족하면 무 즙을 짜서 하루에 한 번 씩 취침 전에 복용하면 구취가 없어진다.


 

 

【약품명】 후박 Magnoliae Cortex 

 【분류】 방향화습약 

【주요 성분】 Magnolol, Honokinol, α-,β-Eudesmol, α-,β-Pinene, Camphen,Limonene, Magnocurarine, Magnoflorine.

【기원】 목련과(Magnoliaceae)식물인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의 수피와 근피.

【성미․귀경】 성미 : 온, 고, 신     귀경 :비, 위, 폐, 대장(하실산만)

【효 능】 조습제만(화습도체) - 습조비위 완복창만(실만, 습만) 행기강역(행기온중) - 담습내조 폐기옹체 흉민해수 담음 해천편비 : 가 대황, 도인, 욱리인장위의 기체를 제거하여 치 토사

【주 치】 습조기체, 완민복창, 복통, 구역, 흉민해천. 흉복부의 팽만, 복통천을 치하며 이뇨거담의 효도 있다.

【처 방 예】 연박음 《곽난론》: 후박, 천황연, 석창포, 제반하, 향시, 초산치,노근 ; 습열온복하여 곽난하는 경우를 치료하며, 행식척담의 효능도 있다

【용량․용법】 3 - 9g, 전복한다

【금 기】 비위허약한 자는 신용한다. 허창, 비위허약, 진액불족, 임부

【약리 작용】 1.진통작용 2.건위작용 3.항균작용 4.진경작용 5.진정작용 6.평천작용

【응 용】 A. 이기건위

1. 후박은 위장의 적기를 통창시키고 건위소식하는 작용이 있어 위장질환의 상용약으로 소창 . 지통 . 통변 . 식욕증진 등에 쓴다.


2. 대기 중의 습도가 높아 소화흡수에 장애가 생겼을 경우에 후박을 쓰면 좋고, 흉복팽창 . 구토산수 . 동통 . 구취 . 트림 . 대편불상 . 소화불량 및 경도의 위확장을 치료하는 데 좋다. 후박에 지실을 가하여 군으로 하고 산사 . 신곡 . 대황을 넣어 쓰면 위장 동을 강화하고 소화를 촉진하며 대편을 잘 통하게 할 수 있다.

3. 갑자기 위통이 일어났을 때 후박의 이기지통효과는 대단히 좋다. 위통 . 토산 . 트림 . 식욕감소에는 곽향 . 백두구 . 오수유를 넣어 쓰면 좋다. 통증이 멎은 후에는 황기 . 당귀 . 백작 등을 넣고 환으로 만들어 복용시켜 강위지통을 도모한다. 또 위 . 십이지장궤양 . 위축성위염 등의 만성질환에도 좋다.

4. 후박에는 장 연동을 촉진하고 대편을 통하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대편불통 . 복부팽만 . 발열두통 등의 증상이 여러 날 지속되면 대황 . 망초 . 지실을 넣어 쓰면 좋다. 즉 대승기탕이 이 배합에 의한 것이다.

5. 후박은 장내의 가스제거에 효과가 있다. 배에 가스가 정체하여 복창하는 증상은 소화기질환이나 복부 및 부인과 수술 후에 흔히 보이는데 후박 2전을 쓰면 복창을 줄일 수 있다. 수술 전에 복용하면 더욱 좋은 예방효과가 있다.

6. 소아의 만성장염으로 설사가 오래도록 낫지 않고 복창복명을 보일 때는 당삼 . 백출 . 산약 . 백편두를 넣어 쓰면 좋다. 소아의 만성소화불량으로 감적 . 복창 등의 증상이 심할 때는 계내금 . 산사 . 맥아 등을 넣어 쓰면 좋다.

7. 후박에는 건위산한의 효능이 있다. 위한에는 당삼 . 황기 . 건강 등과 같이 쓰면 건위산한 . 소창의 효과가 있다. 소화기가 냉하여 일어난 통증에는 건강 . 초두구 . 목향 등과 같이 쓰면 좋다.

8. 후박에는 구토 . 흘역을 멎게 하고 위산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위산과다증상에는 곽향 . 백두구 . 반하등을 넣어 쓰면 좋다. 또 오수유와 황련을 넣어 써도 좋다(좌금환). 맑은 물을 토할 때는 건강 . 백두구를 넣어 쓴다.


B. 화담평천

1. 후박은 가래가 많고 가벼운 천식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가래가 많아 똑바로 눕기가 어려울 때 마황 . 행인 . 소자 등을 넣어 쓰면 좋다. 후박은 정천약을 배합할 때 화담평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2. 후박은 흉강내의 적액을 제거하는 작용을 보조한다. 체내의 수분을 배출하고 담을 제거하는 약제 중에 후박을 넣어 쓰면 적액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수치】 생용, 강즙초용.

【참고】 생강으로 법제하면 온중산한하는 효능이 강해짐. 습체에는 창출을 도와 건비조습기체에는 목향을 도와 행기지통식체에는 지실을 보좌하여 소비제창담체에는 반하를 보좌하여 조습화담한응에는 건강을 도와 온중산한열결에는 대황을 도와 사열도체폐기옹체에는 마황 . 행인을 보좌하여 하기평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토후박(또는 후박)이라 하여 장과 식물 Machilus thunbergi의 수피를 사용해왔고 지금도 이를 계승하는 예가 적지 않다. 이것은 분명한 오용에 해당한다. 그 이유는 한국 식물명이 "후박나무"라는것과 한국에는 진짜 후박나무 Magnolia officinalis가 없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토후박과 후박은 외관으로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감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재는 이화학시험에 의하여 Magnoline의 검출로 손쉽게 식별이 가능하다.

 

【약품명】 목향 Saussureae Radix 

 【분류】 이기약 

【주요 성분】 Costuslactone, Costic acid, Costol, α-, β-Costene, Inulin,

【기원】 국과(국화과;Compositae)식물인 목향 (Aucklandia lappa Dene.)의 근

【성미․귀경】 성미 : 온, 신, 고     귀경 :담, 비, 위, 대장 (행기지품)

【효 능】 행기지통 온중화위 - 한산통 완복창통 장명설사 하리복통 이급후중건비소식, 지리이급후중 : 가 빈랑행기지통 - 생용, 행기지사 - 용탕제에 넣을 때는 오래 다리지 말 것.

【주 치】 장위기체, 소화불량, 복만창통, 설사, 이질로 인한 이급후중.

【처 방 예】 목향빈랑환《위생보감》 : 목향, 빈랑, 청피, 진피, 지각, 황백, 아출 오수유, 대황, 향부자, 견우, 망초 ; 하리복통을 치료한다.

【용량․용법】 1.5 - 9g, 전복한다. 혹은 연분하여 0.6 - 0.9g을 탄복한다

【금 기】 혈허유열 혹은 음허화왕한 자, 기허유열한 자는 적합하지 않다. 폐허유열, 원기허탈, 음허내열

【약리 작용】 1.항균작용 2.항진균작용 3.구풍작용 4.진통작용 5.장연동촉진작용

【응 용】 A. 이기지통

1. 목향은 강한 향기가 있고 휘발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여 이기효과가 진피보다 좋으며 2전을 쓰면 이기지통작용이 일어난다. 주로 소화기의 만성염증과 창통의 증상에 사용된다. 또 목향에는 약간의 항균작용도 있으며 소화기의 방제는 목향을 배합하거나 군약으로 하는 것이 대단히 많다.

2. 위통이 있고 기체가 있어 동통이 극심할 경우에는 목향을 쓰는 것이 가장 좋다. 목향은 지통소창의 효능이 있으므로 사인 . 후박 . 현호색과 같이 쓰면 지통작용이 더욱 강해진다. 단, 급성위경련의 통증에 쓸 때는 용량이 과다해서는 안되고 8분~1전 정도로 한다. 장시간 달이면 휘발성분이 사라져 효과가 줄어든다. 통증이 심하지 않을 때는 5~8분 정도만 써도 된다.

3. 위 . 십이지장궤양이나 위하수와 위궤양의 절제 한후에 소화능력이 감퇴하고 창통이 올 때는 황기 . 부자 . 건강 . 백출 등을 넣어 쓰면 자양에 도움이 되고 난위 . 이기지통한다.

4. 목향은 담산통(담낭염, 담석)을 완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황금 . 오매 . 지각 . 세신 . 현호색 등을 넣어 해경지통하는 데 쓰면 아주 좋다. 결석에 의한 통증에는 금전초 . 대황과 같이 쓰면 지통작용이 훨씬 좋아진다.

5. 목향은 간장부의 돌발성 통증에도 사용된다. 이 때는 증상에 따라 8분~2전을 쓴다. 오랫동안 통증이 계속되고 간장에 경도의 부종이 보일 때도 목향을 쓰면 지통소종의 효과가 있다. 간경변의 복수증상에도 사용하면 좋다.

6. 목향의 장내 가스를 제거하는 작용은 후박과 비슷하다. 목향은 장의 연동을 촉진하고 가스 배출력을 증가하므로 장안에 가스가 정체될 때는 어느 경우나 쓰면 좋다. 진피와 같이 써도 좋으며 차와 같이 복용해도 좋다. 만약 장염이나 이질 후에 장에 가스가 찰 때는 단향 . 지각과 같이 쓰면 좋다.

7. 목향에는 소적조식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이나 위확장의 치료에 쓴다. 폭음폭식으로 배가 더부룩하고 토하려고 해도 나오지 않을 때는 신곡과 같이 쓰면 좋다. 소아가 유즙소화불량으로 썩은 냄새가 나는 물을 토할 때는 산사 . 맥아와 같이 달여 복용하면 좋다. 소아감적으로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고 대변이 무르면 목향에 백출 . 복령 . 백편두 등을 넣어 쓰면 좋다.

8. 목향은 보신약의 보조품으로 쓰면 보신약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위의 부담을 제거한다. 귀비탕의 목향이 바로 이런 예이다. 기타의 보익약에도 목향을 넣어 쓰면 부담이 가는 것을 막고 보신효과를 더욱 강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9. 목향은 간담의 습열로 인한 흉협창통 . 구고 . 태황에 인진 . 금전초 . 대황 등을 같이 쓰며, 최근에는 담교통에 많이 쓴다.


B. 지사지리

1. 목향에는 항균작용이 있으며 특히 대장균이나 이질균에 대한 효력이 크기 때문에 이질 치료에 사용되는 요약이며 급 . 만성에 모두 적합하다. 격렬한 하리는 물론 만성하리에도 목향을 쓰면 좋은 효과가 얻어진다. 갑자기 일어난 것은 황련 . 황금 . 백두옹 . 갈근 . 후박 . 창출을 넣어 쓰고, 만성에는 당삼 . 백출 . 산약 . 백편두 . 부자 . 보골지 . 오수유 등과 같이 쓴다. 과민성장염에는 백작 . 방풍 . 오매를 넣어 쓴다.

2. 습열이나 대장기체로 복통 . 이급후중을 보이면 황련을 같이 쓰거나(향련환), 지각 . 빈랑 등과 같이 쓰면 좋다. 향련환은 이질초기에 쓰는 주요방제이다.

【수치】 종이에 올려 구워쓰면 지사작용이 증가된다. 향부자 . 목향 . 오약의 비교 【공통점】행기지통【차이점】 ?향부자 - 약성이 화평하고 방향주찬함 - 서간기, 해울결, 조경지통 - 간기울체에 의한 흉협완복창통, 월경 부조, 경행복통에 사용한다. ?목향 - 신온향조하여 승강하는 작용이 있다. 위장삼초를 통리하여 지통하고 건비소식한다. 기체식적에 의 한 흉복창통, 구토, 사리후중 및 불사음식에 사용한다. 위장의 기체를 통행시키는 특징이 있다. ?오약 - 신온하고 작용이 완화하며 화평하다. 순기산한, 온신축뇨, 소복냉통, 한산뇨빈을 개선한다. 흉복의 기체를 잘 다스리며 온신산한한다.

【참고】 탕제에 넣으면 방향성이 휘발하여 약효가 떨어지므로 나중에 넣거나 환이나 산으로 쓰는 것이 더욱 좋다

 

【약품명】 빈랑자 Arecae Semen 

【주요 성분】 Arecaidine, Guvacoline, Fatty oil, Arecolin, Guvacine, Tannin

【기원】 종려과(Palmae)식물인 빈랑(Areca catechu L.)의 종자.

【성미․귀경】 성미 : 온, 신, 고     귀경 :위, 대장

【효 능】 살서 - 다종 장기생충 질병소적 - 식적기체 완복창통 대편불상 이급후중이기행수 - 각기 수종

【주 치】 편충, 요충,식적기체, 각기동통,조충병, 회충,혈흡충, 복창변난

【용량․용법】 6 - 12g, 전복한다.

【금 기】 기허하함한 자는 적합하지 않다.

【약리 작용】 1.건위작용 2.항진균작용 3.축동작용 4.구충작용 5.항 Virus작용

【응 용】 A. 구충

1. 빈랑에는 기생충을 구제하는 작용이 있으며 약리 연구에서도 증명되어 있다. 빈랑은 충체에 이완성마비를 일으키고 약간의 사하작용이 있으므로 복약 후 12~24시간 이내에 충체를 체외로 배출할 수 있다. 빈랑은 기타 구충제에 비하여 효력이 강하며 구제하는 기생충 종류도 많지만 특히 촌충에 대한 효과가 좋다. 안전하고 유효한 구충약의 하나이다.

2. 빈랑을 구충에 쓸 때는 단독으로 쓰는 경우가 많으나 복방으로 써도 좋다. 단독으로 쓸 때 1회의 용량은 성인은 5전부터, 소아는 3전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8전까지 증량해도 무방하나 최대 1양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얇게 썰어 진하게 달인 액을 저녁 식사 전에 1회 혹은 조석으로 나누어 공복에 복용하면 다음 날 아침 약간 설사를 하는데분변 중에 마비된 충체를 볼 수 있다. 3일간 지속한 후 분변을 검사하여 치료효과를 판정한다.

3. 체질이 강한 사람은 빈랑을 단독으로써도 되지만 허약한 사람은 산사 . 백출 . 맥아 등 건위약과 같이 써야 한다.구충증은 빈혈이 따르므로 그 점을 주의하여 빈랑을 복용시키기 전에 보혈약을 쓸 필요가 있다. 촌충에는 남과자를 넣어 쓰면 충체를 직접 분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회충의 양이 많을 때는 고련피와 같이 쓰면 좋다.

4. 빈랑은 기미가 고삽하여 위점막에 약간 자극을 주므로 1회에 1양을 복용하면 약간의 구토 . 오심 . 식욕부진 . 설사 등이 보이나 특별한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진피나 대조를 약간 넣어 쓰면 곧 없어진다.

5. 빈랑은 사상충의 치료에도 유효하다. 이때는 적작 . 홍화 . 복령을 넣어 쓴다. 혈액검사에서 사상충균이 발견되면 즉시 빈랑을 쓰면 좋다.

6. 빈랑은 학질치료에 효과가 있는데 이때는 상산 . 시호와 같이 쓴다. 하지만 빈랑자체에 학질원충을 죽이는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는 아직 판명되지 않았다.


B. 소적지사

빈랑은 소적기능이 강하여 소화불량에 기인하는 위장적체 . 상하복부창통 . 대편불상에 쓴다. 여기에는 목향 . 청피 . 대황 등과 같이 쓴다. 변비 . 복통에는 지실 . 대황을, 설사와 이질에는 목향 . 갈근 . 신곡을, 이질 초기에 복통이 있고 분변에 점액이 섞일 때는 목향 . 황련 . 황백을, 여름철의 수양성 설사 . 소화불량에는 곽향 . 신곡 . 맥아 등을 같이 넣어 쓰면 좋다.


C. 기타응용

1. 빈랑에는 이기작용이 있으므로 고환염 . 음낭종통의 치료에 쓴다. 여기에는 소회향 . 천련자 . 귤핵 등과 같이 쓴다.

2. 빈랑에는 거습리뇨의 효과가 있으므로 오수유 . 목과 . 차전자 . 소엽 . 귤피 등을 넣어 각기치료에 쓴다. 또 실증의 부종에는 택사 . 목통 등을 넣어 쓰면 효과가 현저해진다.

【수치】 생용, 초용

 

【약품명】 대두황권 

 【분류】 청열조습약 

【기원】 청수두권이라고도 하며 흑대두를 물에 담가 발아시킨 후에 다시 담죽엽 . 등심초를 물에 달여 양건한 것 두과(콩과;Leguminosae)식물인 대두(콩;Glycine max (L.) Merr.)의 흑색종자.

【성미․귀경】 성미 : 감, 평 : 위     

【효 능】 청리습열 발산표사 통혈맥

【주 치】 서습, 습온, 서습감모, 흉비불서, 습비, 수종

【처 방 예】 치수병종만방 《성제총록》 : 대두황권, 대황 ; 수병종만을 치료.

【용량․용법】 9 - 15g, 전복한다.

【응 용】 서습병 혹은 온열병의 초기표증 - 발열악한, 신중, 흉민, 태 (+곽향 패란 창출)

【참고】 ① 검은콩을 물에 담가 싹이 난 것을 건조시킨 것이다. ②《성제총록》에는 대두를 물에 담가 대황을 가미한 것을 대두황권이라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섭천사는 검은콩에 마황을 달인 물로 발아시킨 것을 황수두권이라고 하였다. ③ 청의《냉허의화》에는 당시의 사람들은 마황의 복용을 싫어했으므로 미리 마황을 달인 물에 콩을 담근 다음 발효시켜 마황을 사용해야 할 환자가 있으면 대두황권이라는 이름으로 써서 환자가 안심하고 공포에 떠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그 후 이것이 청수황권이라고 불리게 되었지만 명칭만 있을 뿐 실제로는 모두 마황액에 담근 것이다. 따라서 처방 중에 대두황권 . 황수황권 . 청수황권이라고 쓰여진 것은 모두 동일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④ 두권에는 가벼운 발한 . 이뇨 . 거습의 작용이 있다. 열이 나면서 열이 내릴 듯하나 완전히 내리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면 여열을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벼운 감기로 바람이 싫고 땀이 약간 날 때는 두권과 . 전호 . 소엽을 쓰면 발한해열의 효과가 있다. ⑤ 습기가 많아지면 곧 설태가 백색으로 두꺼워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두권에 곽향 . 박하를 넣고 달여 복용하면 좋다. ⑥ 여름철에 소아의 열이 장기간 내리지 않을 때는 두권을 차처럼 하여 시호 또는 청호를 가한 것을 약한 해열약과 함께 쓰면 효과가 좋다. ⑦ 소아가 1일 수 십 회나 배뇨를 할 경우에는 두권을 다처럼 복용시키거나 차전초를 가하여 쓰면 방광 및 요도의 염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⑧ 여름철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 습열이 발생하기 쉬워 열이 좀처럼 내리지 않고 머리가 무겁고 몸이 나른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런 경우에는 두권을 달여 차대신 복용하면 습열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는 향유 . 패란 . 복령을 가하여 써도 좋다.

출처 : 金烏김홍경을 사랑하는 사람들
글쓴이 : 별꽃바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