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완혈은 위모혈이고, 팔회혈중 부회혈이며, 소장경과 삼초경, 위경, 임맥의 회혈이며 회양구침혈 중 일혈이므로 대단히 중요한 자리입니다.
물론 치료효과도 크겠지요. 하지만 혈성이 강한 자리일수록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지만 자주 남용하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저도 한의학 공부할 초창기에 자주 침을 놓았는데 효과는 좋으나 근본치료가 되는 것이 아니므로 후에 상태가 심해지는 것 같아 요즘은 잘 쓰지 않습니다.
그리고 사암침에서도 많이 사용하나 보사에 대한 표현을 보면 正 迎, 補 등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즉 유주와 같은 방향이면 보, 반대면 사, 단순한 자극이 필요할 경우는 正이런 식이죠.
중완혈
아래는 경락도 관련 자료에 나타난 중완혈 설명입니다.
참고하세요.
異名 : 上紀, 太倉
部位 : 臍上 4寸.
取穴 : 胸骨劍狀突起尖과 臍를 있는 腹部正中線을 8寸의 骨度法으로 하고 胸骨劍突과 臍間의 中點에 取한다.
仰臥屈膝位取穴.
第 4指와 拇指를 臍와 劍狀突起上端에 連結하고 第 2指를 가볍게 오므려 집으면 거의 正確하다.
鍼灸法 : 直刺 5分 ~ 1寸
主治 : 中焦諸病, 一切腑病
1) 一切의 胃疾患 - 胃痛, 鼓脹.(胃의 痛證의 原因은 木克土 卽 肝氣犯胃로 因한 滯때문이다.
이때는 四關과 足三里, 內關, 中脘을 刺鍼한다.
或 胃虛弱으로 因한 善 하품時에도 같은 治療穴을 使用하나 刺鍼順序가 다르다.
2) 一切의 中央土로 因한 疾病.
3) 黃疸
4) 痰飮으로 因한 疾病.
5) 中消를 수반하는 糖尿病에도 利用한다.
刺鍼時에 절대로 피를 흘리지 않게 할 것.
消化不良에 좋다고 繼續 刺鍼하면 胸비證을 招來한다.
왜냐하면 痰飮이 있는 境遇에는 飮이 먼저 治療되므로 發生된다.
急性疾患에는 좋으나, 慢性에는 너무 많이 刺鍼하지 말 것.
配穴 : 痰飮 治療穴 : 中脘, 足三里를 가장 많이 使用한다. 脾生痰 痰取於胃하는 故로 胃 脾經으로 治療한다.
中脘 : 飮이 더 많은 쪽에 使用한다.
足三里 : 一般的인 痰痛에 使用한다.
豊隆 : 治痰의 要穴
胃無力 - 中脘, 氣海에 灸
胃寒證 - 中脘, 足三里에 灸
心下痛 - 內關,中脘
胃脘痛 - 四關, 中脘, 足三里, 梁丘
少陽人(下焦虛) - 關元, 氣海
少陰人(中焦虛) - 中脘, 足三里
姙娠嘔吐 - 灸 中脘
參考 : 胃之募穴. 八會穴中腑會穴. 手太陽小腸經, 手少陽三焦經, 足陽明胃脈與任脈之會穴. 回陽九鍼穴中一穴.
가장 많은 經絡의 氣가 모여드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