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한자 필순(筆順)의 기본원칙

꿈과인생 2012. 6. 11. 15:21

 

 


한자 필순(筆順)의 기본원칙

  

필순이란 한자 낱자를 쓸 때의 순서를 의미한다

수많은 한자를 씀에 있어서

오랜 기간 많은 사람이 한자를 써온 결과

가장 쓰기 쉽고

빨리 쓰며 쓰고

난 뒤에 가장 조화롭게 쓰지는 순서를 찾아

이를 귀납적으로 규칙화한 것이다.

결코, 필순이 먼저 생기고 그것에 따라 쓴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필순에 있어서는 어느 방법이든 절대적일 수는 없다

그러나 여러 사람들이 인정하는 객관적인 것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처음 배우거나 제대로 배울 사람이 지켜주었으면 하는 것이

지금 이야기 되는 <한자 필순의 기본원칙>이다

 

1) 위에서 아래로 쓴다

(예) 三,工, 言, 客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예) 川, 州, 外

 

3) 좌우 대칭될 때는 가운데 부분을 먼저 쓰고 왼쪽,오른쪽의 순서로 쓴다

(예) 小, 水, 樂

    예외) 火, 性 -가운데를 나중에 쓴다

 

4) 가로와 세로가 겹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긋는다

(예) 木, 支, 十

    예외) 田, 角, 推 -세로획부터 쓴다

 

5) 가운데를 뚫는 획은 나중에 긋는다

(예) 中, 車, 手

 

6) 허리를 끊는 획은 나중에 긋는다

(예) 母, 女

    예외) 世 -가로획부터 쓴다

 

7) 받침은 나중에 긋는다

(예)  近, 建,道

    예외) 起, 題, 勉 -받침을 먼저 쓴다

 

8) 오른쪽 위에 있는 점은 맨 뒤에 찍는다

(예)  犬, 代, 成

 

9) 몸과 안이 있을 때는 몸부터 먼저 긋는다

(예)  同, 固, 內, 因

 

10) 삐침은 파임보다 먼저 쓴다

  (예) 父, 人, 文

*왼쪽 아래로 향하는 것이 삐침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것이 파임이다

 

11)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예) 右, 布, 希, 有

 

12) 가로획이 짧고 왼쪽 삐침이 길면 가로획부터 쓴다

(예) 左, 友, 在

 

13)둘 이상의 필순이 허용되는 글자

(예) 上, 馬, 止, 耳, 感, 興, 田, 佳

 

14) 주의를 요하는 글자

(예) 臣,  希,  有,  成,  承,  必,  世


출처 : 양지
글쓴이 : 양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