田子方
1.
田子方侍坐於魏文侯(전자방시좌어위문후) : 전자방이 위나라 문후와 앉아 있었는데
數稱谿工(수칭계공) : 여러 번 계공의 훌륭함을 얘기했다.
文侯曰(문후왈) : 그러자 문후가 물었다.
谿工(계공) : “계공은
子之師邪(자지사사) : 당신의 선생의 스승이십니까?”
子方曰(자방왈) : 전자방이 말했다.
非也(비야) : “아닙니다.
無擇之里人也(무택지이인야) : 저의 마을 사람입니다.
稱道數當(칭도수당) : 그의 도에 대한 얘기는 매우 합당하므로
故無擇稱之(고무택칭지) : 제가 훌륭하다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文侯曰(문후왈) : 문후가 말하였다.
然則子無師邪(연칙자무사사) : “그렇다면 선생께는 스승이 없습니까?”
子方曰有(자방왈유) : 전자방이 말하기를, “있습니다.”
曰子之師誰邪(왈자지사수사) : 문후가 묻기를, “선생의 스승은 누구십니까?”
子方曰(자방왈) : 전자방이 대답했다.
東郭順子(동곽순자) : “동곽의 순자입니다.”
文侯曰(문후왈) : 문후가 말했다.
然則夫子何故未嘗稱之(연칙부자하고미상칭지) : “그런데도 선생은 어째서 한번도 그분의 훌륭함을
말하지 않으십니까?”
子方曰(자방왈) : 전자방이 말했다.
其爲人也眞(기위인야진) : “그 분의 사람됨은 참되어,
人貌而天虛(인모이천허) : 사람의 모습을 하고는 있지만 하늘처럼 텅 비어 있으며,
緣而葆眞(연이보진) : 자연을 따름으로서 참됨을 기르며,
淸而容物(청이용물) : 맑은 마음으로 만물을 포용합니다.
物無道(물무도) : 남이 무도한 짓을 해도
正容以悟之(정용이오지) : 자기 모습을 올바로 지님으로서 그로 하여금 깨닫게 하며,
使人之意也消(사인지의야소) : 모든 개인의 뜻은 자연히 사라지게 합니다.
無擇何足以稱之(무택하족이칭지) : 제가 어떻게 그분의 훌륭함을 표현할 수 있겠습니까?”
子方出(자방출) : 전자방이 나간 뒤에도
文侯儻然終日不言(문후당연종일불언) : 문후는 하루종일 멍하니 말도 하지 않고 앉아 있었다.
召前立臣而語之曰(소전립신이어지왈) : 그러다가 신하를 불러 말했다.
遠矣(원의) :
全德之君子(전덕지군자) : “멀리 있는 듯하구나, 완전한 덕을 지닌 군자는.
始吾以聖知之言仁義之行爲至矣(시오이성지지언인의지행위지의) : 처음에 나는 성인과 지혜 있는 이의 말과 인의의 행동을 지극한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吾聞子方之師(오문자방지사) : 나는 전자방의 스승 얘기를 듣고 나서
吾形解而不欲動(오형해이불욕동) : 몸이 풀려 움직이기도 싫어지고
口鉗而不欲言(구겸이불욕언) : 입이 닫혀 말하기도 싫어졌다.
吾所學者直土梗耳(오소학자직토경이) : 내가 배워온 것들이란 흙이나 먼지 같은 것이었다.
夫魏眞爲我累耳(부위진위아루이) : 위나라는 나에게 재해가 되고 있을 뿐이다.”
2.
溫伯雪子適齊(온백설자적제) : 온백설자가 제나라로 가다가
舍於魯(사어로) : 노나라에 머물렀다.
魯人有請見之者(로인유청견지자) : 노나라 사람 하나가 그를 만나기를 원하자
溫伯雪子曰(온백설자왈) : 온백설자가 말했다.
不可(불가) : “될 수 없다
吾聞中國之君子(오문중국지군자) : 내가 듣기로, 중국의 군자는
明乎禮義而陋於知人心(명호례의이루어지인심) : 예의는 밝지만 사람들의 마음을 아는 데는
어둡다고 들었습니다. ”
吾不欲見也(오불욕견야) : 만나고 싶지 않습니다.
至於齊(지어제) : 제나라고 갔다가
反舍於魯(반사어로) : 돌아오는 길에도 노나라에서 머물렀는데,
是人也又請見(시인야우청견) : 전의 그 사람이 다시 만나주기를 요청했다.
溫伯雪子曰(온백설자왈) : 온백설자가 말했다.
往也蘄見我(왕야기견아) : “전에도 나를 만나려 했었고,
今也又蘄見我(금야우기견아) : 지금도 나를 만나려하고 있으니
是必有以振我也(시필유이진아야) : 반드시 나를 깨우쳐줄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다.”
出而見客(출이견객) : 그리고 나가 손님을 만나고
入而歎(입이탄) : 들어와 탄식을 했다.
明日見客(명일견객) : 다음 날도 그 손님을 만났는데
又入而歎(우입이탄) : 또 들어와 탄식을 했다.
其僕曰(기복왈) : 그의 하인이 물었다.
每見之客也(매견지객야) : “매 번 그 손님을 만나고
必入而歎(필입이탄) : 들어오실 때마다 탄식을 하시니
何耶(하야) : 어째서입니까?”
曰吾固告子矣(왈오고고자의) : 온백설자가 대답하기를, “전에 내가 너에게 말한 적이 있었다.
中國之民(중국지민) : 중국사람들은
明乎禮義而陋乎知人心(명호례의이루호지인심) : 예의는 밝지만 사람의 마음을 아는데는 어둡다고.
昔之見我者(석지견아자) : 어제 내가 만났던 사람은
進退一成規一成矩(진퇴일성규일성구) : 나아가고 물러서는 것이 가늠쇠나 자를 댄 것처럼
일정한 규칙이 있고,
從容一若龍一若虎(종용일약룡일약호) : 점잖은 모습은 용이나 호랑이 같았다.
其諫我也似子(기간아야사자) : 그가 나에게 말하는 태도는 자식과 같았고,
其道我也似父(기도아야사부) : 나를 인도해 주는 태도는 어버이와 같았다.
是以歎也(시이탄야) : 그래서 탄식을 했던 것이다.”
仲尼見之而不言(중니견지이불언) : 공자도 그를 만났던 일이 있었지만 공자는 말을 하지 않았다.
子路曰(자로왈) : 자로가 말했다.
吾子欲見溫伯雪子久矣(오자욕견온백설자구의) :“선생님께서는 오래 전부터 온백설자를
만나보려 하셨습니다.
見之而不言(견지이불언) : 그런 사람을 만나고도 말하지 않으시니
何邪(하사) : 어째서 입니까?”
仲尼曰(중니왈) : 공자가 말했다.
若夫人者(약부인자) : “그런 사람은
目擊而道存矣(목격이도존의) : 눈으로 보기만 해도 도를 지니고 있으니
亦不可以容聲矣(역불가이용성의) : 또한 말을 할 필요도 없다.”
3.
顔淵問於仲尼曰(안연문어중니왈) : 안회가 공자에게 물었다.
夫子步亦步(부자보역보) : “선생님께서 걸으시면 저도 걷고,
夫子趨亦趨(부자추역추) : 선생님께서 빨리 걸으시면 저도 빨리 걷고,
夫子馳亦馳(부자치역치) : 선생님께서 달리시면 저도 달립니다.
夫子奔逸絶塵(부자분일절진) : 그러나 선생님께서 먼지도 내지 않고 달려버리시면
而回瞠若乎後矣(이회당약호후의) : 저는 뒤에서 눈만 멀뚱히 뜨고 있습니다.”
仲尼曰(중니왈) : 공자가 물었다.
回何謂邪(회하위사) : “무슨 뜻으로 하는 말이냐?”
曰夫子步(왈부자보) : 안회가 대답하기를, “선생님께서 걸으시면
亦步也(역보야) : 저도 걷는다는 것은
夫子言(부자언) :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면
亦言也(역언야) : 저도 말을 한다는 것입니다.
夫子趨(부자추) : 선생님께서 빨리 걸으시면
亦趨也(역추야) : 저도 빨리 걷는다는 것은
夫子辯(부자변) : 선생님께서 이론을 펴시면
亦辯也(역변야) : 저도 이론을 편다는 것입니다.
夫子馳(부자치) : 선생님께서 달리시면
亦馳也(역치야) : 저도 달린다는 것은
夫子言道(부자언도) : 선생님께서 도를 말씀하시면
回亦言道也(회역언도야) : 저도 도를 말한다는 것입니다.
及奔逸絶塵而回瞠若乎後者(급분일절진이회당약호후자) : 그러나 먼지도 내지 않고 달려버리시면
저는 뒤에서 눈만 멀뚱히 뜨고 있다는 말은
夫子不言而信(부자불언이신) : 선생님께서 말씀하시지 않으셔도 남에게 믿음을 받고,
不比而周(불비이주) : 남과 친하려 하지 않으셔도 남들이 친하게 따르고,
無器而民滔乎前(무기이민도호전) : 벼슬이나 권력이 없어도 백성들이 굴복해 오는데
而不知所以然而已矣(이부지소이연이이의) : 그렇게 되는 까닭을 알지 못하겠다는 말입니다.”
仲尼曰(중니왈) : 공자가 말했다.
惡可不察與(악가불찰여) : “어째서 자세히 살피지 않는가
夫哀莫大於心死(부애막대어심사) : 슬픔 중에 믿음이 죽는 것 보다 더 큰 슬픔이 없고,
而人死亦次之(이인사역차지) : 사람의 죽음은 그 다음 가는 슬픔이다.
日出東方而入於西極(일출동방이입어서극) : 해는 동쪽에서 나와 서쪽으로 들어가는데
萬物莫不比方(만물막불비방) : 만물은 모두가 이에 따라 방향을 정한다.
有首有趾者(유수유지자) : 눈이 있고 발이 있는 사람들은
待是而後成功(대시이후성공) : 해를 기다렸다 일을 하기 시작한다.
是出則存(시출칙존) : 해가 뜨면 세상일이 시작되고,
是入則亡(시입칙망) : 해가 지면 세상일도 그치는 것이다.
萬物亦然(만물역연) : 만물도 역시 그러니,
有待也而死(유대야이사) : 그것에 의해 죽기도 하고
有待也而生(유대야이생) : 그것에 의해 살기도 한다.
吾一受其成形(오일수기성형) : 우리는 한번 형체를 타고난 이상
而不化以待盡(이불화이대진) : 스스로를 멸망시키지 않고 되어 가는 대로 맡겨두어야 하고,
效物而動(효물이동) : 밖의 물건에 따라서 움직여야 한다.
日夜無隙(일야무극) : 변화는 낮이나 밤이나 쉬지 않으므로
而不知其所終(이부지기소종) : 그것이 끝나는 곳은 알 수 없는 것이다.
薰然其成形(훈연기성형) : 만물이 다 같이 형체를 타고났지만
知命不能規乎其前(지명불능규호기전) : 운명을 미리 알아 그 앞날을 규정해 놓을 수는 없다.
丘以是日徂(구이시일조) : 그래서 나는 나날이 자연의 변화를 따라갈 뿐이다.
吾終身與汝交一臂而失之(오종신여여교일비이실지) : 내가 평생토록 너와 팔을 끼고 지낸다 해도
결국은 서로를 잃게 될 것이니
可不哀與(가불애여) : 슬프지 않을 수 있겠느냐?
女殆著乎吾所以著也(여태저호오소이저야) : 너는 드러나 보이는 나의 겉의 것을 그대로 행하려
하고 있다.
彼已盡矣(피이진의) : 그러나 그것은 이미 지나간 것이다.
而女求之以爲有(이여구지이위유) : 그런데도 너는 그것이 현재 존재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추구하고 있다.
是求馬於唐肆也(시구마어당사야) : 그것은 마치 텅 빈 시장에 가서 말을 사려고 하는 것과 같다.
吾服女也甚忘(오복여야심망) : 내가 너를 생각하는 것도 매우 빨리 잊게 될 순간적인 것이고,
女服吾也亦甚忘(여복오야역심망) : 네가 나를 생각하는 것도 매우 빨리 잊게 될 순간적인 것이다.
雖然(수연) : 그렇지만
女奚患焉(여해환언) : 너는 무엇을 걱정하느냐?
雖忘乎故吾(수망호고오) : 비록 옛날의 나를 잊어버린다 해도
吾有不忘者存(오유불망자존) : 나에게는 언제나 잊혀질 수 없는 참된 나도 그 중에 존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