則陽
1.
則陽游於楚(칙양유어초) : 칙양이 초나라에 놀러 갔는데,
夷節言之於王(이절언지어왕) : 이절이 그에 관해 초나라 임금에게 얘기했다.
王未之見(왕미지견) : 그러나 임금은 그를 만나지 않았다.
夷節歸(이절귀) : 이절이 그대로 돌아가자
彭陽見王果曰(팽양견왕과왈) : 칙양이 왕과를 보고 말했다.
夫子何不譚我於王(부자하불담아어왕) : “선생께서는 어째서 저를 임금님께 소개해 주지 않으시는
것입니까?”
王果曰(왕과왈) : 왕과가 말했다.
我不若公閱休(아불약공열휴) : “나는 공열휴만 못합니다.”
彭陽曰(팽양왈) : 칙양이 말했다.
公閱休奚爲者邪(공열휴해위자사) : “공열휴란 무엇을 하는 분이십니까?”
曰冬則擉鼈於江(왈동칙착별어강) : 왕과가 말하기를, “그는 겨울에는 강에서 자라를 작살로 찔러
잡고,
夏則休乎山樊(하칙휴호산번) : 여름이면 산기슭에서 쉽니다.
有過而問者(유과이문자) : 누가 지나다가 물으면
曰此予宅也(왈차여택야) : 그곳이 자기 집이라고 대답한다 합니다.
夫夷節已不能(부이절이불능) : 이절이 임금께 말씀드려도 되지 않았는데
而況我乎(이황아호) : 하물며 나 같은 사람이 말씀을 드린다 해서 되겠습니까?
吾又不若夷節(오우불약이절) : 또한 저의 지혜는 이절만 못합니다.
夫夷節之爲人也(부이절지위인야) : 이절의 사람됨은
無德而有知(무덕이유지) : 덕은 없지만 지혜는 있습니다.
不自許以之神其交(불자허이지신기교) : 스스로 자연에 맡겨 신명으로써 외물을 접하지 않고
固顚冥乎富貴之地(고전명호부귀지지) : 본시 부귀를 누리는 지위에 미혹되어 있습니다.
非相助以德(비상조이덕) : 그와 접촉하면 덕으로써 서로를 돕게 되지 않고,
相助消也(상조소야) : 서로의 덕을 없애는 것을 돕는 결과가 됩니다.
夫凍者假衣於春(부동자가의어춘) : 헐벗은 사람이 봄에 가서야 옷을 빌리고,
暍者反冬乎冷風(갈자반동호랭풍) : 더위를 먹은 사람이 겨울이 되어서도 찬바람을 쐬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夫楚王之爲人也(부초왕지위인야) : 초나라 임금의 사람됨은
形尊而嚴(형존이엄) : 형식적으로는 존엄합니다.
其於罪也(기어죄야) : 죄에 대해
無赦如虎(무사여호) : 용서를 하지 않기로는 호랑이와 같습니다.
非夫佞人正德(비부녕인정덕) : 말재주가 있고 올바른 덕을 지닌 사람이 아니라면
其孰能橈焉(기숙능요언) : 어느 누가 그를 설득시킬 수 있겠습니까
故聖人(고성인) : 그러므로 성인은
其窮也使家人忘其貧(기궁야사가인망기빈) : 자신이 곤궁할 때에는 식구들이 가난함을 잊게 만들고,
其達也使王公忘爵祿而化卑(기달야사왕공망작록이화비) : 출세했을 때에는 임금이나 대신들이
벼슬과 녹을 잊고 스스로 겸허하도록 만듭니다.
其於物也(기어물야) : 외물에 대해서는
與之爲娛矣(여지위오의) : 외물과 동화하여 즐기고,
其於人也(기어인야) : 사람들에 대해서는
樂物之通而保己焉(락물지통이보기언) : 도가 서로 통하게 하고 즐김으로써
자기의 본성을 보전합니다.
故或不言而飮人以和(고혹불언이음인이화) : 그러므로 어떤 경우에는 말을 하지 않아도
사람들로 하여금 화합하는 마음을 가지게 만들고,
與人竝立而使人化(여인병립이사인화) : 사람들과 나란히 서 있으면서도 사람들을 동화되게 만듭니다.
父子之宜(부자지의) : 아버지와 아들 같은 정으로
彼其乎歸居(피기호귀거) : 그들을 모두 귀착하도록 만들어 줍니다.
而一閒其所施(이일한기소시) : 가만히 들어앉아 있어도
其於人心者(기어인심자) : 그가 세상에 베푸는 사람들의 마음에 대한 효과는
若是其遠也(약시기원야) : 이처럼 큽니다.
故曰待公閱休(고왈대공열휴) : 그래서 공열휴에게 부탁을 드려야 한다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2.
聖人達綢繆(성인달주무) : 성인은 만물의 혼란을 달관하고,
周盡一體矣(주진일체의) : 모든 것을 하나로 보고 있다.
而不知其然(이부지기연) : 그러면서도 자기가 그처럼 통달하고 있는 것을 모르는 것은
性也(성야) : 천성이기 때문이다.
復命搖作而以天爲師(복명요작이이천위사) : 천명으로 되돌아가 행동하며 자연을 스승으로 삼고
있는데,
人則從而命之也(인칙종이명지야) : 사람들이 그것을 보고 성인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憂乎知(우호지) : 지혜를 의지하면 근심만이 생기며
而所行恒無幾時(이소행항무기시) : 행하는 일도 오래가지 못하여
其有止也(기유지야) : 멈춰지게 될 것이며,
若之何(약지하) : 그것은 어쩔 수도 없는 것이다.
生而美者(생이미자) : 나면서 아름다운 사람은
人與之鑑(인여지감) : 남이 그에게 거울을 주어야 그것을 보고서 자기가 아름다운 것을 알지만
不告則不知其美於人也(불고칙부지기미어인야) : 남이 말하지 않으면 자기가 남보다 아름답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若知之(약지지) : 그러나 그것을 알든
若不知之(약부지지) : 만약 모르든
若聞之(약문지) : 그것을 들었든
若不聞之(약불문지) : 만약 듣지 않았든
其可喜也終無已(기가희야종무이) : 그가 아름답다는 것은 결코 부정될 수 없는 것이며,
人之好之亦無已(인지호지역무이) : 사람들이 그의 아름다움을 좋아하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일이다.
性也(성야) : 그것은 본성이기 때문이다.
聖人之愛人也(성인지애인야) : 성인은 사람들을 사랑하기 때문에
人與之名(인여지명) : 사람들이 그에게 성인이라고 이름을 붙여준 것이다.
不告則不知其愛人也(불고칙부지기애인야) : 그러나 남이 얘기해주지 않으면 그 자신이 사람들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若知之(약지지) : 그러나 그것을 알든
若不知之(약부지지) : 만약 모르든,
若聞之(약문지) : 그것을 들었든
若不聞之(약불문지) : 만약 듣지 못했든 간에
其愛人也終無已(기애인야종무이) : 그가 사람들을 사랑한다는 사실은 끝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며,
人之安之亦無已(인지안지역무이) : 사람들이 그를 통하여 편하게 지내게 된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性也(성야) : 그것은 본성이기 때문이다.
3.
舊國舊都(구국구도) : 고국이나 고향은
望之暢然(망지창연) : 그 곳을 떠난 사람들이 바라보기만 해도 기쁨을 느끼게 된다.
雖使丘陵草木之緡(수사구릉초목지민) : 비록 언덕과 초목에 가려서
入之者十九(입지자십구) : 십분의 일 밖에 보이지 않는다 해도
猶之暢然(유지창연) : 여전히 마음은 기쁜 것이다.
況見見聞聞者也(황견견문문자야) : 하물며 옛날 보던 것을 보고, 옛날 듣던 것을 들을 때는 얼마나
큰 기쁨을 느끼겠는가?
以十仞之臺縣衆閒者也(이십인지대현중한자야) : 옛날에 보던 열 길의 높다란 누각이 사람들 사이에 보일 때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冉相氏得其環中以隨成(염상씨득기환중이수성) : 염상씨는 자연변화의 원리를 체득하여 되는 대로
자신을 맡겨
與物無終無始(여물무종무시) : 만물과 함께 시작도 끝도 없었으며
無幾無時(무기무시) : 시간도 없었고 시간의 흐름도 없었다.
日與物化者(일여물화자) : 매일 만물과 함께 변화해가는 사람이란
一不化者也(일불화자야) : 전혀 변화하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이다.
闔嘗舍之(합상사지) : 어째서 그런 경지에 들려 하지 않는가?
夫師天而不得師天(부사천이부득사천) : 자연을 스승으로 삼으려 하면서도 자연을 스승으로
삼지 못하는 것은
與物皆殉其以爲事也若之何(여물개순기이위사야약지하) : 마음이 밖의 물건을 따라 행동을 하게
되기 때문이니 어찌 하겠는가?
夫聖人未始有天(부성인미시유천) : 성인에게는 처음부터 자연의 의식도 없었다.
未始有人(미시유인) : 처음부터 사람에 대한 의식도 없었다.
未始有始(미시유시) : 처음부터 시작도 없었고,
未始有物(미시유물) : 처음부터 물건도 없었다.
與世偕行而不替(여세해행이불체) : 세상과 더불어 함께 행동하여 거리낌이 없었고,
所行之備而不洫(소행지비이불혁) : 그의 행동은 완비되어 있어 자기를 손상케 하는 일이 없었다.
其合之也若之何(기합지야약지하) : 그가 자연에 합치됨이 이와 같았으니 어떠했겠는가?
湯得其司御門尹登恒爲之傅之(탕득기사어문윤등항위지부지) : 상나라 탕임금은 사어, 문윤, 등항을
스승으로 모셨는데,
從師而不囿(종사이불유) : 스승을 따르기는 하되 얽매이지는 않고
得其隨成(득기수성) : 되는 대로 내맡겼다.
爲之司其名(위지사기명) : 그 때문에 뛰어난 명성을 얻었고,
之名嬴法(지명영법) : 명성에 따를 법도도 무르익어
得其兩見(득기량현) : 명성과 법도 두 가지가 함께 세상에 드러났던 것이다.
仲尼之盡慮(중니지진려) : 공자도 사려를 다해 보았으나
爲之傅之(위지부지) : 그 때문에 결국 자연을 스승으로 삼았던 것이다.
容成氏曰(용성씨왈) : 용성씨는 말하기를
除日無歲(제일무세) : “날(日)이 없으면 해(歲)도 없고,
無內無外(무내무외) : 안이 없으면 겉도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