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오언절구(五言絶句)

꿈과인생 2012. 7. 16. 10:32

바. 오언절구(五言絶句)

   오언절구는 한위(漢魏)의 악부(樂府)에서 비롯되었다. 은유(隱喩)를 주로 사용하여 다소 해학적(諧謔的)이고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辭)가 대종을 이루었다.

그후 당대에 와서 완성되었는데, 오언절구는 20자로, 칠언절구는 28자로 된다.

제1구를 기(起) 제2구를 승(承) 제3구를 전(轉) 제4구를 결(結)구라 하는데, 제1구에서는 상(想)을 일으키고 제2구에서는 뜻을 이어 받으며(承繼) 제3구에서는 뜻을 살짝 전환(轉換)시키며 제4구에서는 1.2.3구의 뜻을 종합하여 묶는다.

예를 들면

  ①1.2구는 산구(散句)로써 기(起)하고 3.4구는 대구(對句)로써 결(結)한 경우

    - 駱賓王의 易水送別 등

  ②1.2구는 대구(對句)로써 기(起)하고, 3.4구는 산구(散句)로써 결(結)한 경우

    - 陳子昻의 贈喬侍御 등

  ③1.2.3.4구 모두 대구(對句)로써 하는 경우

    - 王之渙의 登鶴鵲樓 등

  ④1.2.3.4구 모두 산구(散句)로 하는 경우

    - 賀志章의 題袁氏別 등

오언절구는 풍취가 고아(古雅)하고, 운(韻)이 청고(淸高)하며, 뜻이 심오(深奧)함에 있으니, 비록 말은 끊어지지만 뜻은 끊기지 않아야 하며, 말은 짧지만 뜻은 깊어야 한다.

    1)평기식과 측기식

      가)측기식(仄起式)

         기(起) ◑●○○●

         승(承) ◑○◑●○韻

         전(轉) ◑○○●●

         결(結) ◑●●○○韻

      예문)秋浦歌 李白(平聲陽韻)

          白髮三千尺 綠愁似個長 不知明鏡裏 何處得愁霜

      나)평기식(平起式)

         기(起) ◑○○●●

         승(承) ◑●●○○韻

         전(轉) ◑○◑○●

         결(結) ◑●◑●○韻

       예문)三閭廟  載叔倫(平聲侵韻)

           沅湘流不盡 屈子怨何深 日暮秋風起 蕭蕭楓樹林

운법(韻法)은 평기식 측기식 모두 제2구 제4구의 맨 끝자에 동운9同韻)의 글자를 압운(押韻)함이 정격(正格)이다.

그러나 때론 제1구에도 압운하는 경우에는

  측기식은 제1구의 끝3자가 ●○○이 되어야 하고

  평기식은 제1구의 끝3자가 ●●○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운자는 가능하면 평운(平韻)을 쓰며, 24부동(二四不同)의 원칙은 엄격하게 적용된다.

출처 : 천안박씨
글쓴이 : Kingpin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