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삼척부사를 역임했던 허목선생은 자는 문부 또는 화보, 호는 미수 또는 태령노인이라 했는데 선조 28년인 1595년 한양 창선방에서 현감 교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업에 전념하여 일찍 큰 인물로 성장할 수 있었는데 1626년 인조의 생모 계운궁 구씨의 복상문제와 관련하여 과거를 볼 수 없는 정거의 벌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학문에만 전념하게 되었다.
재야의 지도자로 있던 허목선생이 중앙 정계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시작한 것은 효종임금이 돌아가시고 현종임금이 즉위한 1660년 사헌부 장령(정4품)으로 등용되면서부터이다. 이 때 효종임금의 계모인 조대비가 몇 년 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 하는 복상문제로 송시열과 대립하게 되는데, 허목을 비롯한 남인들은 3년설을 주장하고 송시열을 필두로 한 서인들은 만 1년설을 주장했다. 이것은 단순한 복상문제가 아니라 현종임금의 왕통의 정당성과 연관된 매우 민감한 문제였다. 현종은 효종의 둘째아들인데 형인 소현세자가 죽어 맏이 대신 왕위를 계승했기에 효종을 맏아들로 인정하면 조대비의 복상은 3년이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만 1년이다. 그런데 결론은 당시의 법전인 경국대전에 따라 맏아들이든 둘째 이하이든 그 어머니는 모두 만 1년 상복을 입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결국 송시열을 비롯한 서인들의 주장과 같은 결정이 내려지고, 이러한 복제논쟁 시비로 정계가 소란해지자 현종임금은 허목을 삼척부사로 임명(좌천)했던 것이다.
남기게 된다.
그러다 1674년 효종왕비가 죽자 다시 조대비의 복상문제가 다시 제기되는데, 경국대전에는 맏며느리의 상일 경우 시어머니는 만1년 ,둘째며느리 이하는 9개월로 규정되었다. 이 때 조정의 중심을 이루던 송시열과 서인들은 효종왕비를 맏며느리로 인정하지 않았으므로 9개월복을 주장했으나 현종임금은 그것이 부당하다고 생각되어 만1년복으로 고친다.
이로써 송시열과 서인들은 실각하고 남인들의 집권과 더불어 허목은 이조참판,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승진되어 과거를 거치지 않고 유일하게 정승에 올랐다.
우의정으로 재임시 유배 중이던 송시열에 대한 처벌문제를 놓고 영의정 허적과 대립하고, 이로 인해 남인은 양파로 갈라지게 되는데, 허적은 송시열의 처벌을 가볍게 하자는 탁남, 허목은 가혹한 처벌을 주장하는 청남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1678년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고 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이 집권하자 관작을 삭탈당하고 고향에서 저술과 후진양성에 전념하다가 1682년 세상을 하직했다.
허목선생은 그림과 글씨, 문장에 모두 뛰어났으며 글씨는 특히 전서에 뛰어나 동방 제1인자라는 찬사를 받았다. 작품으로는 「척주동해비」와 「영상이원익비문」. 「이성중표문」이 있고, 그림으로는 「묵죽도가 전하며. 저서로는 『동사』 『미수기언』등이 있다.
1688년 관작이 회복되고, 1691년 그의 신위를 봉안하는 사액서원으로 미강서원이 마전군에 세워졌으며, 나주의 미천서원. 창원의 회원서원에도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 이다.
1.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
척주동해비 비문은 삼척 부사 허목이 지은 것으로 비의 규모는 높이 170cm, 높이 76cm, 두께 23cm이다. 현종 3년(1662)에 건립한 척주동해비는 일명 퇴조비(退潮碑)라 불리듯이 조류(潮流)의 피해를 막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당초에는 만리도에 건립되었다. 이후 숙종 34년(1708) 풍랑으로 비석이 부러져 바다에 잠겼던 것을 동왕 35년 부사 홍만기가 문을 본떠서 다시 새겼으며, 동왕 36년 삼척 부사 박내정이 죽관도 동쪽에 다시 건립하였다가 1969년 12월 6일 현재의 위치인 육향산 산정에 이건하였다. 현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비각의 전면에 "척주동해 비각" 제액과 후면에 "동해비각" 제액이 게판되어 있다. 평수토찬비 비문 역시 삼척 부사 허목이 짓고 쓴 것이다. 중국 형산비(衡山碑)의 대우수전(大禹手篆) 77자 가운데 48자를 가려서 새긴 것으로, 임금의 은총과 수령으로서 자신의 치적을 기린 글이다. 현종 원년(1661) 목판에 새기어 읍사(邑司)에 보관되어 오다가 240여년 후인 광무 8년(1904) 칙사(勅使) 강홍대와 삼척 군수 정운철 등이 왕명에 의해 석각하여 죽관도에 건립하였다. 비의 높이는 145cm, 폭 72cm, 두께 22cm이며, 비각의 전면에 "우전각(禹篆閣)" 제액이 게판되어 있다.
2. 대한평수토찬비(平水土讚碑)
평수토찬비 비문 역시 삼척 부사 허목이 짓고 쓴 것이다. 중국 형산비(衡山碑)의 대우수전(大禹手篆) 77자 가운데 48자를 가려서 새긴 것으로, 임금의 은총과 수령으로서 자신의 치적을 기린 글이다. 현종 원년(1661) 목판에 새기어 읍사(邑司)에 보관되어 오다가 240여년 후인 광무 8년(1904) 칙사(勅使) 강홍대와 삼척 군수 정운철 등이 왕명에 의해 석각하여 죽관도에 건립하였다. 비의 높이는 145cm, 폭 72cm, 두께 22cm이며, 비각의 전면에 "우전각(禹篆閣)" 제액이 게판되어 있다.
瀛海漭瀁百川朝宗其大無窮東北沙海無潮
無汐號爲大澤積水稽天浡潏汪濊海動有曀
明明陽谷太陽之門義伯司賓析木之次牝牛
之宮日本無東鮫人之珍涵海百産汗汗漫漫
奇物譎詭宛宛之祥興德而章蚌之胎珠與月
盛衰傍氣昇霏天吳九首恠蘷一股颷囘且雨出
日朝暾轇軋炫煌紫赤滄滄三五月盈水鏡
圓靈列宿韜光扶桑沙華黑齒麻羅撮䯻莆家
蜓蠻之蠔瓜蛙之猴佛齊之牛海外雜種絶黨
殊俗同囿咸育古聖遠德百蠻重譯無遠不服
皇哉熈哉大治廣愽遺風邈哉
동북쪽 사해(沙海))*1여서
밀물 썰물 없으므로 대택(大澤))*2이라 이름했네
바닷물이 하늘에 닿아서
출렁댐이 넓고도 아득하니
바다 움직이고*3 음산하네
밝고 밝은 양곡(暘谷)*4으로/태양의 문이라서
희백(羲伯)*5이 공손히 해를 맞이하네
석목(析木)*6의 위차요
빈우(牝牛)*7의 궁(宮)으로
해가 본시 돋는 동쪽의 끝이네
교인(鮫人)*8의 보배와
바다에 잠긴 온갖 산물은
많기도 많아라
기이한 만물이 변화하여
너울거리는 상서로움이
덕을 일으켜 보여주네
조개 속에 든 진주는
달과 더불어 성하고 쇠하며*9
기운을 토하고 김을 올리네
머리 아홉인 괴물 천오(天吳)*10와
외발 달린 짐승 기(夔)*11는
태풍을 일으키고 비를 내리네
아침에 돋는 햇살
찬란하고 눈부시니
자주 빛 붉은 빛이 가득 넘치네
보름날 둥실 뜬 달
하늘의 수경이 되니
뭇별이 광채를 감추네
부상과 사화(沙華)
흑치(黑齒)와 마라(麻羅)*12
상투 튼 보가(?家)족*13
연만의 굴과 조개*14
조와(爪蛙)*15의 원숭이
불제(佛齊)*16의 소들
바다 밖 잡종으로
무리도 다르고 풍속도 다른데
한곳에서 함께 자라네
옛 성왕의 덕화가 멀리 미치어
온갖 오랑캐들이 중역으로 왔으나
멀다고 복종하지 않은 곳 없었네
아아, 크고도 빛나도다
그 다스림 넓고 크나니
그 치적은 영원히 빛나리.
註
*1 사해(沙海)) : 모래바다. "동해는 모래바다여서 비습(卑濕)한 기운이 없기 때문에 물이 쉽게 새서
조수가 일 지 않는다"<미수(眉?)의 착주기사(陟州記事)>
*2 대택(大澤)) : 큰 못. 곧 동해를 말함.
*3 바다 움직이고(海動有) : "동해는 항시 큰 바람이 많아 파도가 열 길이나 되는데 오직 서풍이 불면
바다가 고요하고 서북풍(西北風 일명 여풍(?風))이 불면 바다가 움직인 다.” 했고 또,
“바람이 없어도 파도가 이는 것을 해악(海惡)이라 한 다.”고 했다.<미수(眉?)의 착주기사
(陟州記事)>
*4 양곡(暘谷) : 해 뜨는 곳. "희중(羲仲)에게 명하여 우이(?夷)에 살게 하니 곧 양곡이다.”<서경(書經)의
요전(堯典>
*5 희백(羲伯) : 요(堯) 때에 천지(天地)ㆍ사시(四時)를 다스린 관원.
*6 석목(析木) : 성차(星次)의 이름으로 기(箕)ㆍ두(斗) 두 별 사이를 가리키며 정 동쪽 인방(寅方)에
해당한다. "석목의 나루는 기(箕)ㆍ두(斗)의 사이에 있으니 은한(銀漢)의 나루다.” <이아
(爾雅) 석천(釋天)>
*7 빈우(牝牛) : 축방(丑方)에 있는 기(箕)ㆍ미(尾) 두 별자리.
*8 교인(鮫人) : 바다의 여신. 큰 잉어와 비슷하며 사지가 있고 갓난아기의 울음소리와 같은 음성을 낸
다고 함. 곧 인어. "교인은 고기와 같이 물속에서 살면서 비단 짜는 일을 하는데, 힘들어
울면 눈물이 모두 구슬을 이룬다."<술이기(述異記)>
*9 조개 속에 든 진주는/달과 더불어 성하고 쇠하며 : “소라가 구슬을 잉태하는데, 그 구슬은 달과 더불어
찼다 줄었다 한다.”<좌사(左思)의 오도부(吳都賦)>
*10 천오(天吳)
여덟 개의 사람 얼굴과 여덟 개의 다리와 여덟 개의 꼬리를 가진 천오(天吳)다.
- 조양곡의 신을 천오라 하는데, 그는 물귀신이다. (중략) 그 생김은 여덟 개의 사람얼굴이며 여덟
개의 다리와 여덟 개의 꼬리를 지니고 있는데, 등은 청황색이다.(朝陽之谷, 曰天吳, 是爲水伯, (중략)
其爲獸也, 八首八面, 八足八尾, 背靑黃.) <산해경(山海經-海外東經)>
* 본문에서 천오구수(天吳九首)라 하여 머리가 아홉 개라 하였는데 잘못된 부분이다.
*11 기(夔)
소같이 생겼는데 뿔이 없는 외발 짐승 기夔
-동해 한가운데에 유파산이 있는데, 바다로부터 7,000리나 들어가 있다. 그 위에 소같이 생긴 짐승이
있는데 푸른 몸빛에 뿔이 없고 외발이다. (이 짐승이) 물속으로 드나들 때면 반드시 비바람이 일며
그 빛이 해와 달과 같고, 그 소리는 우뢰와 같다. 이름을 기(夔)라고 한다. 황제가 이것을 잡아 그
가죽으로 북을 만들고, 뇌수의 뼈를 두들기니 그 소리가 500리 밖까지 들려 천하를 놀라게 했다.
(東海中 有流波山, 入海七千里, 其上有獸, 狀如牛, 蒼身而무角, 一足, 出入水則必風雨, 其光如日月,
其聲如雷, 其名曰夔, 黃帝得之, 以其皮爲鼓, 궐以雷獸之骨, 聲聞五百里, 以威天下)<산해경(山海經-
대황동경_大荒東經)>
*12 부상과 사화(沙華)/흑치(黑齒)와 마라(麻羅) : 동해 가운데 있는 나라와 남만의 종족이름. 부상은
해돋는 곳인데 일본의 별칭,사화는 동해에 있는 나라로 미지의 나라인데, 발음상 사할린과
유사하고 아무르강 하류 타타르해협의 나라, 또. 黑齒麻羅(흑치마라)는 검은 이빨의 흑치국과
마라국인데 마라국은 동남아 말레이 반도의 나라들을 가 리킴. 곧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흑치국은 중국남부 광서 장족 자치구를 말 함. 이 지역사람들은「빈랑」이라는 열매를 씹어
이빨이 검게 염색됨
*13 상투 튼 보가(?家)족 : "가족은 중국 동남해에 사는 부족명으로 귀족은 머리털을 머리 뒤로 모아 묶고
백성들은 머리를 박박 깎았다." <중국의 역사서 「삼재도회(三才圖會)」>
*14 연만의 굴과 조개 : "연만은 세 종족이 있는데, 한 종족은 어연(魚?)으로 낚시질을 잘하고, 다른 한
종족은 호연(??)으로 바다에 들어가 굴조개를 잘 잡고, 또 다른 한 종족은 목연(木?)으로
나무를 베어 과일을 잘 딴다.” <중국의 역사서 「삼재도회(三 才圖會)」> 모두 가난하고
미개한 부족들임.
*15 조와(爪蛙) : 조와국은 '파사국'이라고 조선말에 출판된 문헌비고는 기록했는데, 오늘날 파키스탄에서
이라크에 이르는 지역을 말함.
*16 불제(佛齊) : 불제국은 '그 나라에서 소를 신성시한다'고 했고,
그 위치가 眞臘(진랍)과 파사의 사 이에 있다고함. 곧 인도를 가르킴.
척주동해비 비문은 삼척 부사 허목이 지은 것으로 비의 규모는 높이 170cm, 넓이 76cm, 두께 23cm이다. 현종 3년(1662)에 건립한 척주동해비는 일명 퇴조비(退潮碑)라 불리듯이 조류(潮流)의 피해를 막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당초에는 만리도에 건립되었다. 이후 숙종 34년(1708) 풍랑으로 비석이 부러져 바다에 잠겼던 것을 동왕 35년 부사 홍만기가 글文을 본떠서 다시 새겼으며, 동왕 36년 삼척 부사 박내정이 죽관도 동쪽에 다시 건립하였다가 1969년 12월 6일 현재의 위치인 육향산 산정에 이건하였다. 현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비각의 전면에 "척주동해 비각" 제액과 후면에 "동해비각" 제액이 게판되어 있다. 평수토찬비 비문 역시 삼척 부사 허목이 짓고 쓴 것이다. 중국 형산비(衡山碑)의 대우수전(大禹手篆) 77자 가운데 48자를 가려서 새긴 것으로, 임금의 은총과 수령으로서 자신의 치적을 기린 글이다. 현종 원년(1661) 목판에 새기어 읍사(邑司)에 보관되어 오다가 240여년 후인 광무 8년(1904) 칙사(勅使) 강홍대와 삼척 군수 정운철 등이 왕명에 의해 석각하여 죽관도에 건립하였다. 비의 높이는 145cm, 폭 72cm, 두께 22cm이며, 비각의 전면에 "우전각(禹篆閣)" 제액이 게판되어 있다.
척주동해비를 세운 미수 허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