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다시보는 14경 두부

꿈과인생 2012. 8. 31. 10:46


십사경요혈주치가(十四經要穴主治歌)-두부(頭部)

 

만든이: 본인.

*최초출처.

의종금감(醫宗金鑑) 누구의 저자인지 고증이 필요.

14경락의 주요 혈위를 신체 부위에따라 두부, 흉복부, 배부, 수부, 족부로 구분하여 주치하는 병증을 요점만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내용 출처

일침(一鍼), 한의학 사전 ,그 외 출처는 따로 적었습니다.

저자:          량리우(梁立武)

옮긴이:       이명재(李明宰) 청홍 출판 (2009)

*Photo taken from

A Manual of Acupuncture:        Peter Deadman & Mazin Al-Khafaji with Kevin Baker (2008).

   

*백회(BaiHui:Du20 Hundred Meetings)

중풍과 졸도를 주치하고 전간과 소아경을 다스린다. 대장의 기가 아래로 내려간

탈항에는 침으로 보하여 양기를 상승시킨다.

百會主治卒中風, 兼治癲癎兒病驚, 大腸下氣脫肛病, 提補諸陽氣上昇.

백회주치졸중풍, 겸치전간아병경, 대장하기탈항병, 제보제양기상승.

@전간:현대의학에서는 부르는 간질의 다른 이름, 발작성 정신이상 질병이다. 이병의 주된 발병요인은 대개 칠정실조, 유전적인 요인, 부적합한 음식 섭취, 과도한 노동 또는 다른 질환을 앓고 난후에 발생한 장부실조 등으로 인한 간 비 신의 손상이 주원인이다.

*신정(Shen Ting:Du24 Courtyard of the Spirit)

신정에 뜸을 떠 양간풍을 주치하고, 목현과 두통()에는

뇌공(Nao Kong: GB19 Brain Hollow)을 취한다.


神庭主灸羊癎風, 目眩頭疼及腦空.

신정주구양간풍, 목현두동급뇌공.

@목현:눈앞이 아찔해지거나 사물이 잘 보이지 않는 증상.


*예풍(Yi Feng: SJ 17 Wind Screen)

예풍은 이롱을 주치하고, 아울러 침을 놓아 목 아래 생긴 나력을 치료한다.

翳風專治耳聾病,兼刺癧瘰項下生.

예풍전치이롱병,겸자나력항하생.

@이롱: 이명과 이롱은 모두 청각이상 증상이다. 이명은 귓속이 울리는 것, 이롱은 청력감퇴나 청각상실이 주요 증상이다. 임상에서는 대부눈 신경성으로 침과 뜸으로 어느 정도 효과를 볼수 있다. 하지만 각종 기질성 병변으로 인한 이명과 이롱에는 효과를 보기 어렵다.

@나력: 경부임파결절결핵을 가리켜 한의학에서는 나력이라 부른다. 대부분 결핵

감염된후에 혈액순환을 통해 목 깊은 곳의 임파결절에 침입하여 일어난다.

궤양이 터진후에는 서창(鼠瘡)이라고 한다. 원인은 근심걱정과 분노로 마음이불편하여 담화가 응결 되어 나타나는 것이라고 인식 되고 있다.


*상성(Shang Xing: DU 23 Upper Star)

통천(Tong Tian:BL7 Heavenly Connection)은 비연을 주치한다.


식육치에 뜸을 뜨면 능히 낫고, 두풍과 눈의 백병을 다스린다. 보리알만 한 뜸을 뜨면 편안해 진다.

上星通天主鼻淵, 息肉痔塞灸能痊, 兼治頭風目諸疾, 炷如小麥灼相安.

상성통천주비연, 식육치색구능전, 겸치두풍목제질, 주여소맥작상안.

@식육치: 치질과 비슷한 증상이나 조금 다르다, 마치 항문 안에서 버섯처럼 뿌리를 박고 자란다.

@비연:현대의학의 충농증에 해당 된다. 비염을 한방에서는 비연이라 하며, 역한 냄새를 동반한 걸죽한 콧물, 냄새를 맞지 몾하는 병증이 특징이다. 병증의 원인은 상풍감모(傷風感冒)의 반복적인 발병과 관계가 많다. 비점막의 세균이 비두에 침입하여 발생한다. 사계절 발병하지만  가을 과 겨울 두계절에 기후차가 심할때 발병률이 매우 높고, 유아에 발병률이 성인 보다 많고 증상또한 심하다.


*아문(Ya Men: DU15 Gate of Muteness)과 풍부(Feng Fu:DU16 Palace of wind)에는 침만 놓는다. 중풍, 설완, 경항강급, 계종을 비롯해 모든 두풍과 상한을 다스린다.

啞門風府只宜刺, 中風舌緩不能言, 頸項强急及瘈 頭風百病與傷寒.

아문풍부지의자, 중풍설완부능언, 경항강급급계종 두풍백병여상한. 

@설완: 혀를 내밀때 삐뚤어 지는 현상.           

@경항강급(목경목덜미항굳셀강급합급): 대부분 수면 자세가 좋지 않거나 풍한의 침습을 받아 기혈이 조화를 잃어 근맥이 땅기기 때문이다. 활동 할 때 통증이 심해 지고, 어깨와 등이 땅기고 상완부로 압통이 명확하고 머리와 목이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계종: 내경에서는근육과 맥이 서로 잡아당기는 병을 계()라 하거나 계종()”이라고도 부르는데, 민간에서 축()이라고 하는 병이 바로 이것이다. 근육과 힘줄에 경련이 있는 모든 병은 간()에 속하는 것이다. 열기가 근육과 힘줄을 말리면 경련이 일어나면서 아프다. 모든 열로 정신이 혼미하고 경련이 동반되는 병은 화()에 속한다. 열이 성()하고 풍이 치받아 경락에 머무르면 풍화(風火)가 서로 기세를 타는데, 이 때문에 정신이 혼미하고 경련이 생기는 것이다. 당연히 풍을 없애고 열을 씻어내는 약으로 치료해야 하는데, 화열(火熱)의 기세를 꺾으면 곧 낫는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근육의 병은 모두 간과 화열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출처:[유당 김길우].


*두유(Tou Wei: ST8Head’s Binding)는 두풍과 두통에 침 놓는 자리로 눈물이 흐르고 흐릿한 목통에는 뜸을 뜨지 않고(According to several classical texts, this point is contraindicated to moxibusion) 피부를 다라 3분 깊이로 자침한다(통증의 방향에 따라 자침의 방향을 정한다-Peter Deadman), 더불어 찬죽(Zan Zhu: BL2 Gathered Bamboo)에 자침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

頭維主刺頭風痛, 目痛如脫淚不明, 禁灸隨皮三分刺, 兼刺攢竹更有功.

두유주자두풍통, 목통여탈루부명, 금구수피삼분자, 겸자찬죽갱유공


*솔곡은(Shuai Gu: GB8 Leading Valley) 술로 상하여 가래를 토하여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率谷酒傷吐痰眩,

솔곡주상토담현,


*풍지(Feng Chi: GB20 Wind Pool)는 폐속의 한기를 주치하며, 편두통과 정두통을 다스린다.

風池主治肺中寒, 兼治頭疼偏正痛.

풍지주치페중한, 겸치두동편정통.


*협거(Jia Che: ST6 Jaw Bone)는 구안와사를 주치하는데, 침을 놓으면 저절로 낫는다.

頰車落頰風自痊.

협거락협풍자전.


*두임읍(Tou Ling Qi: GB15 Head Governor of Tears)은 비색, 목예, 경간, 반시, 폭궐과 해질 무렵의 협하통을 주치한다.

臨泣主治鼻不通, 眵䁾冷淚雲翳生, 驚癎反視卒暴厥, 日晡發瘧脇下疼.

임음주치비부통, 치멸냉루운예생, 경간반시졸폭궐, 일포발학협하동.

@비색: 알러지 비염은 먼지나 온도 변화 등 외부 환경 변화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한의학에서는 폐장(肺臟)이 외부 환경 변화에 인체를 보호하고 적응시키는 것을 주관하는 장기이므로, 폐장(肺臟) 기운이 약한 아이가 알러지 비염에 잘 걸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러지 비염을 치료할 때는 코의 과민반응을 가라앉히면서 폐장(肺臟)의 기운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합니다. 이러한 효능이 강한 처방으로는『가미통규탕(加味通竅湯)』이 있습니다. 가미통규탕(加味通竅湯)은 코의 과민반응을 진정시켜 코막힘과 콧물의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폐장(肺臟) 기운을 강화시켜 환경변화에 잘 적응하도록 체질을 개선시켜 주기 때문에 알러지 비염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알러지성 비염은 유전과 체질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질환이기 때문에, 치료가 쉽지 않으며 치료 기간도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인내심을 가지고 치료에 임해야 하며, 자신의 일상생활의 관리를 잘 하지는 않으면 치료 효과가 느려지므로 반드시 일상생활에서의 관리도 철저히 하도록 해야 합니다. 출처: [이광현 한의원]



 

재채기가 날 때 또는 발작 예방을 위해서는 V자 지압법이 효과적입니다. 양쪽 둘째손가락을 콧대 양쪽에 대고 뒤집어진 V자 모양을 만든 후, 손가락을 아래위로 20~30회 정도 왕복하면서 비벼줍니다. 이 때 입은 다물고 코로 숨을 쉬도록 하며, 콧바람 소리가 심하게 날 정도로 숨을 크게 들이쉬고 내쉬도록 합니다. 그리고 둘째손가락과 셋째손가락을 V자로 펴서 콧방울 양옆을 20~30회 정도 지긋이 눌러줍니다. 이곳은 영향(迎香)이라는 경혈로 알러지 비염이나 축농증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지압점입니다. 출처:[이광현 한의원]

 

@목예():눈병의 일종으로 눈 가장자리가 짓무르는 현상, 현대의학의 백내장 (Cataract)로 이해 하시면 되지 않을까 하는 제 생각 입니다.{백내장이란: 눈에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부분인 수정체가 혼탁하게 변해서 시력의 장에가 생기는것. 출처:EnglishKorean dictionary.

(눈곱치) discharge(rheum) from the mucous membranes of the eye, 목위지예(目爲之) Reference from the EnglishChinese dictionary.

@경간: 놀랐을때 발작하는 간질증상, 소아에게 많이 발생.

 @반시[反視]=사시[斜視] - [명사] 양쪽 눈의 방향이 같은 방향이 아니어서, 정면을 멀리 바라보았을 양쪽 눈의 시선이 평행하게 되지 아니하는 상태. 눈알 자체는 온전하나 동안근에 이상이 생겨서 나타나는 것으로, 변위된 시선의 방향에 따라 내사시, 외사시, 상사시, 하사시 따위로 나눈다.

@폭궐[暴厥] - 명사] [한의학] 궐증의 하나. ()가 갑자기 역상(逆上)하여 정신을 잃고 넘어져서 인사불성이 되고 손발이 싸늘해지는 병증이다.

@학질[瘧疾] - 말라리아라고도 하며,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급성 및 만성 재발성 감염질환.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오한과 열, 빈혈, 비장비대증이 주요증상이며 간혹 치명적인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출처: 동양의학 배우기-동구.

@협하통: 협통은 간담의 문제에서 비롯 된다. 간기울결, 어혈정착, 간담습열, 간음부족 등이 협통을 유발하는 주요 병증이다.


*수구(Ren Zhong: DU26 Man’s Middle) 水溝(붓도랑구) 人中 (목덜미항) 參照(관여할참,비추다조). [인중의 다른이름], 중풍, 구금불개, 중악전간, 구안와사를 주치한다. 풍수두면종은 침을 놓아 다스리고, 아풍과 만성질환에는 뜸을 다스린다.

水溝中風口不開, 中惡癲癎口眼歪, 刺治風水頭面腫, 灸治兒風急慢災.

수구중풍구부개, 중악전간구안왜, 자치풍수두면종, 구치아풍급만재.

@구금불개: 입을 꽉 다물어 벌리지 몾하는 증상.

@중악전간: 간질 (epilepsy) 을 동반한 중풍의 병증, 정신적인 충격으로 손발이 차가와 지고어지러우면 졸도를 동반하다.

@풍수두면종: 풍수[風水] - 수종증후(水腫證候)의 유형의 하나이다. 주요표현은, 발병이 급격하며, 맥상이 부()하고, 골절이 동통(疼痛)하며, 발열(發熱), 악풍(惡風)하고, 부종(浮腫)이 두면(頭面)에 비교적 심하며, 대개는 풍사(風邪)의 침습(侵襲), 비신(脾腎)의 기허(氣虛), 폐기(肺氣)의 숙강기능실조(肅降機能失調)  수도(水道)를 통조(通調)하는 조수(調水)기능의 장애로 인해, 수기(水氣)가 운행(運行) 하지 않기 때문에 생긴다.

두면[頭面] - [명사] 머리와 얼굴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 (피부, 점막, 근육 등의 조직이 염증, 출혈, 장애, 곪음 등으로 인해) 붓다. 부스럼. 출처: 동양의학 배우기-동구


*승장(Cheng Jang: RN24 Container of Fluids)은 남자의 칠산과 여자의 가취, 소아의 긴순을 주치한다. 반신불수에 침을 놓으면 효과가 있으며, 소갈과 아감에 뜸을 놓으면 효과가 심오하다.

承漿主治男七疝, 女子瘕聚兒緊脣, 偏風不遂刺之效, 消渴牙疳灸功深.

승장주치남칠산, 여자하취아긴순, 편풍부수자지효, 소갈아감구공심.

@칠산: 일곱 가지의 산증(疝症) [疝症]생식기와 고환이 붓고 아픈 병증. 아랫배가 땅기며 통증이 있고 소변과 대변이 막히기도 한다.

*[한산(寒疝)· 수산(水疝)· 근산(筋疝)· 기산(氣疝)· 혈산(血疝)· 호산(狐汕)· 퇴산()

 *오산[五疝] -석산(石疝)· 혈산(血疝)· 기산(氣疝)· 음산(陰疝)· 투산(妬疝)

@가취: [瘕聚] - 부녀(婦女)의 임맥(任脈)에 수병(受病병을얻음)하는 증후(症候)이다. 주요증상(主要症狀), 복부(腹部)의 제하(배꼽제 )에 경괴(단단하다 덩어리)가 생겨, 밀면 이동(移動)하고, 통처(痛處)가 일정(一定)하지 않다.

@()[緊脣] - 같은 말: 견순[繭脣]  입술에 생기는 병의 하나. 입술이 오그라져서 마음대로 입을 벌리지 못하는 급성병으로, 어린아이에게 많다.

@편풍[偏風] = 반신불수[半身不隨] = 반신마비[半身痲痹] - 중추신경계의 피질척수로에 손상이 생겨 정중면을 기준으로, 손상이 생긴 뇌의 반대편 몸의 근육에 나타난 마비, 보통 중풍의 후유증임.

@불수[不遂] -. 뜻대로 되지 않다. 바라는 대로 되지 않다.

@소갈[消渴] - 갈증으로 물을 많이 마시고 음식을 많이 먹으나 몸은 여위고 오줌의 양이 많아 지는 병.

*삼소[三消]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의 세 가지 소갈증을 통틀어 이르

는 말로 물을 많이 마시나 오줌량은 보통인 것을 상소(上消), 오줌량이 적고 붉은색을 띈 것을 중소(中消), 오줌이 탁한 것을 하소(下消)라고 함].

@당뇨병[糖尿病] -소변에 당분이 많이 섞여 나오는 병. 당분을 분해하는 효소인 인슐린이 부족하여 생기는 것으로 소변량과 소변보는 횟수가 늘어나고,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며, 자주 허기가 지고, 전신권태가 따르는 한편 식욕이 늘어난다.

@아감[牙疳] -치조농루(齒槽膿漏). [이가 흔들리고 잇몸의 가장자리가 검붉어지며 치조에서 고름이 나는 병으로 치옹이라고도 함].

@아감창[牙疳瘡] - 잇몸이 벌겋게 붓고 헐며 아픈 병증. 열독이 위()에 몰려서 생긴다. 출처: 동양의학 배우기-동구.


*영향(Ying Xiang: LI20 Welcome Fragrance)에 침을 놓아 냄새 몾 맡는 것과 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 같은 면양을 치료한다. 선보후사 하며 3분 깊이로 자침하고 불로 자극을 주지 않는다(Contraindicated to moxibustion-Peter Deadman).


迎香主刺鼻失臭, 兼刺面痒若蟲行, 先補後瀉三分刺, 此穴須知禁火攻.

영향주자비실취, 겸자면양약충행, 선보후사삼분자, 차혈수지금화공.


*지창(Di Cang: ST4 Earth Granary)은 구안와사에 뜸뜨는 자리로, 협종과 순이, 아금감, 실음불어, 목불폐, 안검순동, 목황황을 치료한다.

喎斜灸地倉, 脇腫脣弛牙噤强, 失音不語目不閉, 瞤動視物目䀮䀮.

안쾌사구지창 협종순이아금강, 실음부어목불폐, 순동시물목황황.

@협종(脇種): (빰협)안면,근육등 조직의 염증, 출혈, 곪아서 붓는 증상.

@순이(脣弛):입술순, 누출이, 느슨할이.

@아금감: (牙噤强)어금니아, 입다물금, 굳셀강).

@실음불어:목소리가 쉬어 말을 몾하는 증상.

@목불폐(目不閉)눈을 감지 몾하는 장애

@안검순동:눈꺼풀의 경련.

@목황황: 눈앞이 아물아물하여 잘 안 보이는 증상.


청회(Ting Hui: GB2 Meeting of Hearing)는 이롱과 이명을 주치하는데, 더불어 영향(LI20) 에 자침하면 효과가 매우 좋다. 중풍과 계종, 구안와사, 아거탈구, 치근통을 치료한다.



聽會主治耳聾鳴, 兼刺迎香功最靈, 中風瘈瘲喎斜病, 牙車脫臼齒根疼.

청회주치이롱명, 겸자영향공최영, 중풍계종쾌사병, 아거탈구치근동.

#계종[]: 힘줄이 당기거나 늘어져서 팔다리가 움츠러졌다 늘어졌다를 반복하는 증상, 계종[] - 추축(). [경련(痙攣, convulsion)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구안와사[口眼]: 안면 신경 마비 증상. 입과 눈이 한쪽으로 틀어지는 병이다.

아거탈구[牙車脫臼] - []; 이빨의 총칭 거[]; 수레, 탈구[脫臼] - 【의학】 탈구(脫臼)하다. 탈골(脫骨)하다. [관절이 빠지는 것을 가리킴]. =[]

#치근[齒根] - [명사] [의학] 잇몸 속에 들어 있는 이의 뿌리

 

*청궁(Ting Gong: SI19 Palace of Hearing)은 이롱과 이명을 주치하고, 정명(BL1)과 찬죽(BL2)은 목혼과 영풍류루, 목양통, 작목혼정, 백예를 치료한다.


聽宮主治耳聾鳴, 睛明攢竹目昏蒙, 迎風流淚兼痒痛, 雀目昏睛白翳生.

청궁주치이롱명, 정명찬죽목혼몽, 영풍류루겸양통, 작목혼정백예생.

@목혼: 눈이 어지럽고 깔깔하며 잘 보이지 않는 증상이 목혼(目昏)이다.

기허(氣虛), 간혈(肝血)의 부족, 신정(腎精)의 허손으로 눈을

영양하지 못해 생긴다.

@목현(目眩): 주위 사물이 빙빙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며 배를 타고 있는 것처럼

흔들리는 증상이 목현(目眩)이다.

■ 머리가 어지럽고 머리가 터지는 것처럼 아프며 얼굴이 붉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허리와 무릎이 시큰한 증상

- 신음허(腎陰虛)로 인한 화왕(火旺)

■ 머리가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하고 몸이 노곤하고 팔다리가

저리며 메스꺼운 증상 - 담습(痰濕)

@작목(雀目)혼정(昏睛): 야맹증으로 참새가 밤에 잘 보지 못하는 것처럼 저녁이 되면 시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간허(肝虛)로 생긴다. 

목통:눈이 몹시 아프고 심하면 머리로까지  미치며 속이 메스껍고 토하고 동공이 커지며 혼탁해지고 색이 퍼렇거나 노란 증상- 간담(肝膽)의 풍화(風火)

출처:chimtm.net

@영풍류루(迎風流淚):맞을영, 바람풍, 흐를류, 샐루.

@백예(白翳):흰백,일산예


출처 : 金烏김홍경을 사랑하는 사람들
글쓴이 : 고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