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삼부혈 강좌3 육기
삼부혈 강좌3 육기
음양은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즉 하늘↔땅, 남자↔여자, 열↔한, 손↔발 등으로 말입니다. 기준이 없다면 음양도 없습니다. 음양이 상대적인 개념이라면 오행은 형의 성쇠로 우주만물 변화의 중심입니다. 즉 목화토금수, 동서남북중앙, 봄여름장하가을겨울, 간심비폐신 등으로 말입니다. 세상의 유일한 진리는 무상성입니다. 즉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는 것이죠.
주역에서는 오행을 천간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즉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가 그것이죠. 들어보셨을 겁니다. 갑기합토, 을경합금, 병신합수, 정임합목, 무계합화죠. 그런데 세상의 이치는 단순하지 않죠. 즉 겨울에도 따듯할 때가 있고, 눈이나 비가 와서 습할 때가 있고, 건조할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운은 풍열화습조한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를 육기라고 합니다. 이를 주역괘상과 연계하여 표현하면 궐음풍목(厥陰風木), 소음군화(少陰君火), 소양상화(少陽相火), 태음습토(太陰濕土), 양명조금(陽明燥金), 태양한수(太陽寒水)가 됩니다. 육기는 띠라고 알고 있는 12지지와 연결됩니다.
즉 사해=궐음풍목, 자오=소음군화, 인신=소양상화, 축미=태음습토, 묘유=양명조금, 진술=태양한수가 됩니다. 동양철학에서는 오운과 육기를 완벽하게 이해하면 현재 상황에 대한 해석은 물론 미래도 예측 가능하다고 합니다. 즉 올해가 무자년이므로 더울 것이라는 예상을 한 것처럼 말입니다. 솔직히 이보다 더 깊은 뜻은 제 능력 밖입니다.^.^
육기에 대한 해석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우리 인체는 단순한 유기체가 아니라 오행과 육기의 복합적인 작용에 따라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오행을 물리적인 실체라고 한다면 의식과 감정은 육기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인간은 간심비폐신의 물질적인 실체와 의식과 감정이 순조롭게 조화가 되어야만 건강할 수 있습니다.
우리 경락의 명칭이 육기와 오행의 조합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예로부터 인간의 이러한 본성을 인식하고 질병관리에 응용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인체의 오행 육기의 변화를 완벽하게 해석할 수 있다면 질병의 치료는 물론 예방도 가능합니다.
아래 표를 보십시오. 가운데를 접으면 둘이 겹쳐집니다. 상호 보완 관계라고나 할까요? 정말 신비하고 오묘합니다. 경락명에 육기의 개념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밝혀낸 것은 사암침을 재 발굴한 김홍경한의사입니다. 사암침을 心鍼이라고 하는 이유는 사암침이 물리적인 경락의 흐름이 아니라 오운육기의 유기적인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치료하기 때문입니다.
지난번 보내드린 오행과 육기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시면, 누구나 자신의 상태를 진단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혈자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삼부혈입니다.^.^ 어려우시다고요?
우선 아래 육기에 대한 개념을 봐 두십시오.
팔괘의 천지 육기 연관표
一乾天 |
二兌澤 |
三離火 |
四震雷 |
五巽風 |
六坎水 |
七艮山 |
八坤地 |
하늘 |
太陰濕土 |
少陰君火 |
少陽相火 |
厥陰風木 |
太陽寒水 |
陽明燥金 |
땅 |
양 |
丑 |
子 |
寅 |
巳 |
辰 |
卯 |
음 |
독맥 |
未 |
午 |
申 |
亥 |
戌 |
酉 |
임맥 |
부정 |
1차 리듬 만족 |
2차 리듬 만족 |
3차 리듬 불만족 |
3차 리듬 만족 |
2차 리듬 불만족 |
1차 리듬 불만족 |
긍정 |
육기의 개념 취상 참고(동양의학혁명 중에서)
이 외에도 수많은 취상이 가능하지만 제 뇌의 다양성 한계로 ㅠㅠ
太陰濕土
- 뚱뚱한 것, 단맛, 육질이 풍부하고 원만한 모양, 과일, 열매, 채소(무, 버섯), 수분이 풍부하고, 땅이 기름지면서 둥근 식물, 번성, 둥근 그림, 뚱뚱하고 졸기 잘하고 먹을 것을 밝히는 사람, 황색, 둥근 초가집, 향긋한 바다 내음, 달콤한 냄새, 포만감, 지루함, 나태, 게으름, 비대함, 지상부분, 沈脈, 복부에 살이 많은 境遇, 엄지가 발달, 사장타입, 덩굴식물, 황색 - 바나나,
少陰君火
- 성충동, 욕화, 즐거워서 생기는 충동, 지구내부의 화, 생명력 유지에 필요한 열, 삼키고 싶은 쓴맛(멍게), 아름답고, 연약, 예민, 화초, 사춘기 청소년, 먹을 수 없는 식물, 불이 타는 모양, 홍, 적색, 지성리듬, 예술충동, 열정, 음탕, 방탕한 마음, 방종, 퇴폐적 쾌락, 자기 비하의식, 뿌리, 數脈, 가슴부위가 벌떡벌떡 뛰거나 동계가 있는 경우, 손바닥 전체의 혈색이 좋은 경우, 손바닥이 따듯하고 핏줄이 보이며 훈훈, 난처럼 섬세하고 유연하면 간드러지고 아름다운 자태를 가진 것, 적색 - 가련하고 마른사람이 더 많은 꽃을 피우는 이치
少陽相火
- 화가 날 때 생기는 화, 태양이 비추는 불, 공격적인 열, 잔소리, 생명이 들어오는 문, 명문상화, 성질이 급한 것, 뱉고 싶은 쓴맛, 홍, 적색, 키가 크고, 뾰족뾰족, 발산지기, 톱니바퀴 모양, 솜털모양의 잎, 쓴맛, 잘 먹어 힘써 누르는 형국, 수치심, 무지, 패배의식, 열등감, 공격적 狀況, 파괴, 살인, 살생, 잔혹함, 잔인함, 몰인정, 경계의식, 냉정, 열등감, 자기비하, 공격적성품, 방어의식, 톱니바퀴 잎, 緩脈, 筋肉은 없고 皮膚가 거칠고 下焦가 건조하고 열감이 있고 발산되는 반점이 있는 경우, 손에 실핏줄이 없는 경우, 손등에 털이 많은 경우, 백광 - 발산하고 동하는 성질
厥陰風木
- 신맛, 근육이미지, 섬유질이 없으며 질김, 약초, 청, 녹색, 시큼, 산뜻, 시원하고 상쾌한 냄새, 산림욕 냄새, 지성리듬, 명예욕, 지식욕, 승부욕, 권력욕, 자존심, 거만심, 교만감, 경멸감, 승부욕, 열매, 急脈, 배가 팽팽하고 筋肉이 발달되어 있는 경우, 가운데 손가락이 발달, 권력가 타입, 손에 실핏줄이 많은 경우, 식초, 청색 - 안으로 위축되고 모이는 성질, 회전하고 깔려있는 것, 시고 파란 것, 움추리고 팽팽한 긴장성
太陽寒水
- 짠맛, 흑색, 딱딱한 상황, 위축, 담미, 숨길장, 미모사, 너무 실하면 소음군화로 다스림, 비린내, 지린내, 한, 불안감, 경계의식, 긴장감, 겁이 많음, 졸렬, 의혹과 의심, 니힐리즘(허무주의), 遲脈, 보통의 체격에 손발이 차고 배도 찬 경우, 혈색이 없는 경우, 손끝이 차다가 덮다가 하고,
陽明燥金
- 매운맛, 백색, 뾰족한 산, 큰 키, 연한 솜털종류, 섬유질이 많고 사철 푸른 나무, 배고파서 잡아먹는 형국, 담배, 건조, 초조감, 허기짐, 재물상실, 빈곤감, 배고픔, 궁상스러운 것, 거지근성, 가시, 浮脈, 마르고 뼈가 발달되어 있는 경우, 손등뼈와 손톱이 발달, 고춧가루, 은빛, 솜털이 보송보송, 건조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