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곡지혈 설명
한의학공부방에 곡지혈에 대한 질문을 보고 답글를 써 놓았는데 막상 이곳에 곡지혈 설명을 올리지 않았군요. 해서 부랴부랴 찾아서 올립니다. 혹 오류나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바랍니다.
곡지혈은 혈성이 강하고 대장정격에 사용하는 혈이라 사용하는 곳이 대단히 많습니다.
특히 살을 부작용 없이 빼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제 몸이)되었습니다.
습진 등 습이 많아 생기는 질환에도 아주 좋습니다.
물론 마른 사람이 사용하면 해롭습니다.^.^
曲池穴(곡지혈 금금토 이부혈)
수양명대장경 곡지혈 보하는 방향
수양명대장경 곡지혈 사하는 방향
위치 : 팔굽 바깥쪽 보골에서 팔굽을 구부리면 두 뼈가 구부러지는 가운데에 있다[동인].
취혈법 : 팔굽 바깥쪽 보골에서 팔굽을 구부리면 두 뼈 사이에 가로 생기는 금의 끝에 있다. 침혈을 잡을 때에는 손을 가슴에 대고 잡는다[입문].
혈설명 : 수양명경의 합혈(合穴)이다. 침은 5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영추].
침법 : 전통침에서는 직자. 사암침에서 보하려면 어깨쪽으로, 사하려면 손목쪽으로 놓는다.
혈성 : 막힌 것을 뚫어주고, 관절에 이롭고, 풍습을 제거하며 기혈을 조화롭게 하는 작용이 있다.
사암침법에서는 보하면 대장정격으로 습을 제거하여 살을 빠지게 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전통 침법에서 주로 사용하는 질환
1. 피부질환 중 특히 습으로 인한 습진(대장정격의 응용) : 혈해혈과 삼음교혈을 함께 사용.
2. 모든 머리 어지러움증
3. 고혈압 치료(중풍, 반신불수)에 사관과 수삼리, 족삼리와 함께 사용
4. 일반적으로 고혈압에는 간정격과 담승격을 병용함
5. 대장질환과 변비통에 사용함(대장정격의 응용), 이때는 대장경락의 원혈인 합곡혈과 병용합니다.
6. 테니스엘보우는 주로 곡지혈 주변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참고 :
- 수양명대장경 합(土)혈임
- 十三鬼穴中의 하나(鬼腿)이다.
- 中風七處穴之一(백회, 곡빈, 견정, 풍시, 족삼리, 절골, 곡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