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漢文의 特性(특성)
꿈과인생
2012. 6. 11. 15:27
漢文의 特性(특성)
1. 漢子(한자) 는 文字 (문자) 自體 (자체) 가 하나의 單語 (단어) 이며,
이것이 서로 결합하여 文語體(문어체) 문장을 형성힌다
이것이 漢文文章(한문문장)이다.
2. 漢字(한자)는 낱 글자의 형성이 象徵性(상징성)을 지닌 문자이며
漢文(한문)은 象徵的(상징적) 의미가 더욱 다양하다.
3. 漢字(한자)가 원래 각 글자가 독립된 의미를 지닌 고립어인 까닭에
語尾(어미)나 助詞(조사)가 없이 文章 (문장)을 이룬다.
4. 漢文(한문)에 韻律(운율)이 발달해 있는데,
이것을 맞추기 위해서 實辭(실사)를 虛詞(허사)로 代用(대용) 했다.
특히 詩經(시경)이나 古詩(고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5. 漢文(한문)에 對句(대구)를 많이 쓰는 것은 문장에 리듬감을 주고,
또 그것이 고립어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의미 파악의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해
먼저 알기 쉬운 문장을 제시하고 그것과 꼭 같은 문장 형식으로 어려운 내용을 표현하여
대구로 만든다
이는 쉬운 문장의 형식을 통해서 어려운 문장의 뜻을 파악하는데 단서를 주기 위해서다
6. 漢文(한문)은 대구를 통하여 比喩(비유)를 끌어 意味(의미) 表現(표현)을 용이하게 하며,
문장의 의미를 선명하게 하고, 密度(밀도)를 확충시켜 준다.
7. 한문은 文體(문체)로서 그 간결성을 위해 고사성어나 관용어를 많이 사용한다.
출처 : 양지
글쓴이 : 양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