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진급시험

꿈과인생 2014. 8. 6. 11:09

 

1. 다음 단어의 독음을 쓰시오.(1~150)
希望(희망)/바랄희,바랄망.      纖細(섬세)/가늘성,가늘세. 

 憂慮(우려)/근심우,생각할려.   永眠(영면)/길영,잠잘면       

 發表(발표)/필발,겉표             照準(조준)/비칠조,준할준. 

基盤(기반)/터기,소반반          業務(업무)/업업,힘쓸무.       

書籍(서적)/글서,문서적          建設(건설)/세울건,베풀설.    

企業(기업)/꾀할기,업업.         美術(미술)/아름다울미,재주술  
漢字(한자)/한수한,글자자.     景氣(경기)/볍경,가운기.       

妥結(타결)/온당할타,맺을결.

課程(과정)/과정과,길정.        受賞(수상)/받을수.상줄상.     交涉(교섭)/사귈교,건널섭   
與論(여론)/더불여,논할론.     振興(진흥)/떨칠진,일흥.        起案(기안)/일어날기,책상안 

緊張(긴장)/긴할긴,베풀장.     年鑑(연감)/해년,거울감.        實錄(실록)/열매실,기록할록.   

音樂(음악)/소리음.노래악.     哀悼(애도)/슬플애,슬플도      批准(비준)/비평할비,준할준.

跳躍(도약)/뛸도,뛸약.            謙虛(겸허)/겸손할겸,빌허.    達辯(달변)/통달할달,말씀변. 

履歷(이력)/밟을리,지날력.     稀薄(희박)/드물희,엷을박.     到着(도착)/이를도,붙을착. 

銘心(명심)/새길명,마음심.     拘束(구속)/잡을구,묶을속.     模範(모범)/본뜰모,법범   
拔擢(발탁)/뽑을발,뽑을탁.     氣分(기분)/기운기,나눌분.     調査(조사)고를조,조사할사.

執筆(집필)/ 잡을집,붓필        覇權(패권)/으뜸패,권세권.     繁盛(번성)/번성할번,성할성 

豫約(예약)/미리예,맺을약      寶庫(보고)/보배보,곳집고.     協議(협의)/화합할협,의논할의.

奉仕(봉사)/받들봉,섬길사      去來(거래)/갈거,올래            指彈(지탄)/가르킬지,탄알탄.
革新(혁신)/가죽혁,새신.        瓦解(와해)/기와와,풀해         取消(취소)/가질취,사라질소. 

召命(소명)/부를소,목숨명.     追擊(추격)/쫓을추.칠격.        嚴肅(엄숙)/엄할엄,엄숙할숙.

成功(성공)/이룰성,공공         興行(흥행)/일흥,다닐행         認許(인허)/알인,허락할허.     

基金(기금)/터기,쇠금.           遵法(준법)/ 쫒을준,법법.       策略(책략)/꾀책,간략할략(약)           

嚴格(엄격)/엄할엄,격식격      推論(추론)/밀추,논할론.        惹起(야기)/이끌야,일어날기  
施工(시공)/베풀시,장인공.     復興(부흥)/다시부,일흥.        營利(영리)/경영할영,이로울리   

仲裁(중재)/버금중,마를재.     措置(조치)/ 둘조,둘치.          堡壘(보루)/작은성보,보루루 

確立(확립)/굳을확,설립.        誤解(오해)/그르칠오,풀해.     雅量(아량)/맑을아,헤아릴량.
契約(계약)/맺을계,맺을약      書籍(서적)/글서,문서적.        審判(심판)/살필심,판단할판 
引受(인수)/끌인,받을수.        賃貸(임대)/품삯임,빌릴대.     包攝(포섭)/ 쌀포,다스릴섭.

揷畵(삽화)/꽂을삽,그림화.     爭取(쟁취)/다툴쟁,가질취.     倫理(윤리)/인륜윤,다스릴리. 

諮問(자문)/물을자,물을문.     救急(구급)/구원할구,급할급   償還(상환)/갚을상,돌아올환.    
適切(적절)/맞을적,끊을절.     觀覽(관람)/볼관,볼람             歎服(탄복)/탄식할탄,엎드릴복   

思慮(사려)/생각사,생각려      提携(제휴)/끌제,이끌휴          便利(편리)/편할편,이로울리.   
製造(제조)/지을제,지을조.     考試(고시)/생각할고,시험시.   訴訟(소송)/ 호소할소,송사할송.  
編纂(편찬)/엮을편,모을찬.     賦與(부여)/ 부세부,더불여.     駭怪(해괴)/놀랄해,괴이할괴.

選擧(선거)/가릴선.들거.        借用(차용)/빌릴차,쓸용.         港灣(항만)/항구항,물굽이만.    
應急(응급)/응할응,급할급.     處理(처리)/곳처,다스릴리.      委託(위탁)/맡길위,부탁할탁. 

借款(차관)/빌릴차,항목관.     處罰(처벌)/곳처,벌할벌.         賀禮(하례)/하례할하,예도례. 

部署(부서)/ 떼부,관청서.       忠告(충고)/충성충,고할고.      結制(결제)/맺을결,결제할제. 

發射(발사)/필발,쏠사            智略(지략)/지혜지,간략할략.   秘密(비밀)/숨길비,빽빽할밀. 

實質(실질)/열매실,바탕질.     猛烈(맹렬)/사나울맹,매울렬    純粹(순수)/순수할순,순수할수. 
解雇(해고)/풀해.품팔고.        貸與(대여)/빌릴대.더불여.      現實(현실)/나타날현,열매실.

空想(공상)/빌공,생각상.        報償(보상)/갚을상,갚을보.      理論(이론)/다스릴리,논할론. 

逝去(서거)/갈서,갈거.           勝負(승부)/이길승.질부.         勤勉(근면)/부지런할근,힘쓸면. 

累積(누적)/포갤루,쌓을적.     納付(납부)/들일납.줄부.         緊密(긴밀)/긴할긴,빽빽할밀.

感情(감정)/느낄감,뜻정.        名譽(명예)/이름명,기릴예.      自立(자립)/스스로자,설립  

充實(충실)/찰충,열매실.        加熱(가열)/더할가,더울열.      延長(연장)/늘일연,길장,어른장 

客觀(객관)/손객,볼관.           敏感(민감)/ 浪費(낭비)           質疑(질의)/바탕질,의심할의. 
斬新(참신)/벨참,새신.           分明(분명)/나눌분,밝을명.      需要(수요)/쓰일수,요긴할요.

浪費(낭비)/물결낭,쓸비.        正常(정상)/바를정,항상상.      實際(실제)/열매실,즈음제.

主觀(주관)/주인주,볼관.        都心(도심)/도읍도,마음심.      敏感(민감)/민첩할민,느낄감.  

友好(우호)/벗우,좋을호.        恩惠(은혜)/은혜은,은혜혜.      複合(복합)/겹칠복,합할합. 

空虛(공허)/빌공,빌허            吉兆(길조)/길할길,조짐조.      供給(공급)/이바지할공,줄급.

榮轉(영전)/영화영,구를전.     沈着(침착)/ 잠길침,붙을착.

 

1. 다음 단어의 독음을 쓰시오.(1~150)
希望      纖細      憂慮    永眠     發表      照準    基盤,    業務      書籍

建設      企業      美術    漢字     景氣      妥結    課程     受賞      交涉
與論      振興      起案    緊張     年鑑      實錄    音樂     哀悼      跳躍           

謙虛      達      履歷     稀薄    到着       銘心    拘束     模範      拔擢  

氣分      調査     執筆     覇權     繁盛      豫約,               奉仕    

去來      指彈     革新     瓦解     取消        召命     追擊     嚴肅      成功  

興行      認許     基金     遵法     策略      嚴格     推論     惹起      施工     

復興      營利     仲裁     措置     堡壘      確立     誤解.    雅量      契約      

書籍.     審判     引受.    賃貸     包攝      揷畵.    爭取     倫理      諮問    

救急      償還     適切     觀覽     歎服      思慮     提携     便利      製造.    

考試            編纂     賦與     駭怪      應急     處理.    委託     借款    

處罰      賀禮     部署     忠      結制      發射     智略     秘密     實質     

猛烈      純粹     解雇     貸與      現實     空想     報償     理論      逝去  

勝負      勤勉     累積     納付      緊密     感情     名譽     自立      充實      

加熱      延長     敏感     質疑      斬新     分明      需要     浪費     正常      

實際      主觀     都心     敏感      友好     恩惠      複合     空虛     吉兆   

供給      榮轉     沈着

 

2. 다음 단어의 독음과 뜻을 참조하여 한자를 쓰시오.(151~220)
기구ㅡ많은 사람이 모여 어떤 목적을 위하여 구성한 조직이나 기관의 구성체계 

/機構(틀기,얽을구)   
방향ㅡ 나아가거나 향하는 쪽 /方向(모방,향할향)   

 

계열 ㅡ서로 관계가 있거나, 공통되거나, 유사한 점에서 연결되는 계통이나 조직

系列 (맬계,벌일렬)  
쇄신ㅡ 나쁜 폐단이나 묵은 것을 버리고 새롭게 함/ 刷新(인쇄할쇄,새신)   
반영ㅡ다른 것에 영향을 받아 어떤 현상이 나타남/ 反映(돌이킬반,비칠영)   
급여ㅡ 돈이나 물품 따위를 줌. 또는 그 돈이나 물품/ 給與(줄급,더불여)   
개정ㅡ 이미 정하였던 것을 고쳐 다시 정함/ 改定(고칠개,정할정)   
극복ㅡ (어려운 상태를) 이겨 내어 본디의 상태로 되돌아감/克服(이길극,다스릴복)   
협박ㅡ 남에게 어떤 일을 하도록 위협함/ 脅迫(위협할협,핍박할박)   
수요ㅡ 어떤 재화나 용역을 일정한 가격으로 사려고 하는 욕구/ 需要(쓰일수,요긴할요)   
격려ㅡ 용기나 의욕이 솟아나도록 북돋워 줌 / 激勵(격할격,힘쓸려)   
도덕ㅡ 사람이 해야 할 바른 길/ 道德 (길도/큰덕,덕덕)  
조종ㅡ 비행기나 선박, 자동차 따위의 기계를 다루어 부림/ 操縱 (잡을조,세로종)  
동기ㅡ 의사결정이나 어떤 행위의 직접적인 원인/ 動機(움직일동,틀기)   
득표ㅡ 투표에서, 찬성의 표를 얻음, 또는 그 얻은 표 수/ 得票(얻을득,표표)   
향응ㅡ 특별히 융숭하게 대접함. 또는 그런 대접/ 饗應(울릴향,응할응)   
희박ㅡ 어떤 일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적다/ 稀薄 (드물희,엷을박)  
문안ㅡ 웃어른께 안부를 여쭘/ 問安(물을문,편안할안)   
공헌ㅡ 힘을 써 이바지함/ 貢獻(바칠공,바칠헌)   
타결ㅡ 의견이 대립된 양편에서 서로 양보하여 일을 마무름 /妥結(온당할타,맺을결)   
포옹ㅡ 남을 아량으로 너그럽게 품어 줌/ 抱擁(안을포,껴안을옹)   
보도ㅡ 새 소식을 널리 알림/ 報道(알릴보/길도,알릴도)   
수습ㅡ 학업이나 실무 따위를 배워 익힘. 또는 그런 일/ 修習 (닦을수,익힐습)  
응시ㅡ 눈길을 모아 한 곳을 똑바로 바라봄 / 凝視(엉길응,볼시)   
맹수ㅡ 주로 육식을 하는 사나운 짐승. 사자나 범 따위를 이른다/ 猛獸(사나울맹,짐승수)   
단서ㅡ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일의 첫 부분/ 端緖(끝단,실마리서)   
선전ㅡ 말하여 전함, 널리 전함/ 宣傳(베풀선,전할전)  
숙원ㅡ 오랫동안 묵은 원한/宿願(잘숙,원할원)   
연소ㅡ 물질이 산소와 화합할 때에, 많은 빛과 열을 냄. 또는 그런 현상/ 燃燒(탈연,사를소)   
부임ㅡ 임명이나 발령을 받아 근무할 곳으로 감/ 赴任(다다를부,맡길임)   
시인ㅡ 옳다고 인정함/ 是認(이시,알인)   
도약ㅡ 몸을 위로 솟구쳐 뛰는 일/跳躍(뛸도,뛸약)   
양식ㅡ 일정한 형식/ 樣式(모양양,법식)   
반복ㅡ 같은 일을 되풀이함/ 反復(돌이킬반,회복할복)   
연구ㅡ 사물을 깊이 생각하거나 자세히 조사하거나 하여 어떤 이치나 사실을 밝혀냄

硏究(갈연,연구할구)   
목욕ㅡ 머리를 감으며 온몸을 씻는 일/ 沐浴(머리감을목,목욕할욕)   
멸균ㅡ 해로운 균을 없앰/ 滅菌(멸할멸,버섯균)   
요망ㅡ 꼭 이루어지길 바람 /要望(요긴할요,바랄망)   
포착ㅡ 꼭 붙잡음/ 어떤 기회나 정세를 알아차림/ 捕捉(잡을포,잡을착)   
우수ㅡ 뛰어나고 빼어남/ 優秀(넉넉할우,빼어날수)   
액운ㅡ 나쁜 일을 당할 운수/ 厄運(액액,옮길운)   
육성ㅡ 길러서 자라게 함 /育成(기를육,이룰성)   
붕괴ㅡ 무너지고 깨어짐/ 崩壞 (무너질붕,무너질괴)  
해박ㅡ 여러 방면으로 학식이 넓다 /該博(갖출해,넓을박)   
수필ㅡ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느낌이나 체험을 생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

隨筆(따를수,붓필)   
이성ㅡ 사물의 이치를 생각하는 능력/理性(다스릴리,성품성)   
소란ㅡ 시끄럽고 어수선함/ 騷亂(떠들소,어지러울란)   
인정ㅡ 옳다고 믿고 정함/ 認定(알인,정할정)   
실수ㅡ 조심하지 아니하여 잘못함. 또는 그런 행위 /失手(잃을실,손수)   
재고ㅡ 다시 한 번 생각함/ 再考(두재,생각할고)   
합격ㅡ 시험, 검사, 심사 등에서 일정한 조건을 갖추어 어떠한 자격이나 지위를 얻음

合格(합할합,격식격)   
전시ㅡ 물건을 늘어놓아 보임/ 展示(펼전,보일시)   
공천ㅡ 공인된 정당에서 선거에 출마할 당원을 공식적으로 추천하는 일

公薦 (공평할공,천거할천)  
정교ㅡ 정밀하고 교묘함/ 精巧(정할정,공교할교)   
장학ㅡ 공부나 학문을 장려함 /奬學(장려할장,배울학)   
할부ㅡ 돈을 여러 번에 나누어 냄/ 割賦(벨할,부세부)   
지각ㅡ 알아서 깨닫는 능력 /知覺(알지,깨달을각)   
지사ㅡ 회사,단체 등에서 지방이나 외국에 설치한 사업소/ 支社(지탱할지,모일사)   
초청ㅡ (남을) 청하여 부름/ 招請(부를초,청할청)   
임용ㅡ직무를 맡기어 사람을 씀 /任用 (맡길임,쓸용)  
낙선ㅡ 심사나 선발에서 떨어짐/ 落選 (떨어질낙,가릴선)  
면접ㅡ 서로 대면하여 만나 봄/ 面接(낮면,접할접)   
취미ㅡ 마음이 끌려 치우치는 일./ 趣味(뜻취,맛미)   
타협ㅡ 서로 양보하여 협의함 /妥協(온당할타,화합할협)   
통상ㅡ 외국과 서로 무역함/ 通商(통할통,장사상)   
표결ㅡ 의안에 대하여 가부의 의사를 표시하여 결정함/ 表決(겉표,결달할결)   
보편ㅡ 두루 널리 미침, 모든 것에 공통되거나 들어맞음 /普遍(넓을보,두루편)   
도서ㅡ 그림, 글씨, 책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圖書(그림도,글서)   
침몰ㅡ 물속에 가라앉음 /沈沒 ( 잠길침,빠질몰) 
역사ㅡ 어떠한 사물이나 사실이 존재해 온 연혁 /歷史(지날력,역사사) 

 

3. 다음 한자의 훈과 음을 쓰시오. (221~260)
覺 (깨달을 각)  懇 (간절할 간)  儉 (검소할 검)  淨 (깨끗할 정)  錦 (비단 금)   
諾 (허락할 낙)  證 (증거 증)      努 (힘쓸 노)     淡 (맑을 담)     催 (재촉할 최)   
厭 (싫어할 염)  辨 (분별할 변)   復 (회복할 복)  朝 (아침 조)     備 (갖출 비)   
散 (흩을 산)     抽 (뽑을 추)      惜 (아낄 석)     續 (이을 속)     述 (펼 술)   
卽 (곧즉)         熟 (익을 숙)      握 (쥘 악)        悅 (기쁠 열)      欲 (하고자 할 욕)   
郵 (우편 우)     廳 (관청 청)      融 (녹을 융)     粧 (단장할 장)  寂 (고요할 적)   
族 (겨레 족)     從 (좇을 종)      駐 (머무를 주) 哲 (밝을 철)      初 (처음 초)   
憲 (법 헌)        把 (잡을 파)      驗 (시험할 험) 厚 (두터울 후)   訓 (가르칠 훈) 

 

4. 다음 훈과 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261~300)
집 각 (閣)        속일 기 (欺)       검사할 검 (檢)     무역할 무 (貿)      민첩할 민 (敏)   
이길 극 (克)     법 규 (規)          편안 녕 (寧)         길 도 (途)            인도할 도 (導)   
얼 동 (凍)        뭍 륙 (陸)          이웃 린 (隣)         찰 만 (滿)            사나울 맹 (猛)   
화목할 목 (睦)  감독할 독 (督)   인륜 륜 (倫)         잠잠할 묵 (默)      손 빈 (賓)   
갚을 상 (償)     천천할 서 (徐)    빼어날 수 (秀)     아낄 석 (惜)         소통할 소 (疏)   
익을 숙 (熟)     맡길 위 (委)       떠날 리 (離)        의원 의 (醫)         작을 미 (微)   
거짓 가 (假)     갑자기 돌 (突)   임할 림 (臨)         빚 채 (債)            흩을 산 (散)   
예 구 (舊)        특별할 특 (特)   클 태 (泰)            넓을 박 (博)         형통할 형 (亨) 

 

5. 다음 독음과 뜻에 맞춰 해당하는 사자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301~320)


각골난망/ 깊이 새기어 두고 은혜를 잊지 않음을 뜻함 (刻骨難忘/새길각,뼈골,어려울난,잊을망)   
청출어람/ 스승보다 제자가 더 뛰어나거나 훌륭함을 뜻함 

(靑出於藍/푸를청,날출,어조사어,쪽람)   
탁상공론 /탁자 위에서만 펼치는 헛된 논설, 실현성이 없는 허황된 이론 

(卓上空論/높을탁,윗상,빌공,논할론)   
견강부회/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 주장의 조건에 맞도록 함 

(牽强附會/이끌견,강할강,붙을부,모일회)   
결초보은/ 무슨 짓을 하여서든지 잊지 않고 은혜에 보답함 

(結草報恩/맺을결,풀초,갚을보,은혜은)   
망연자실/ 제 정신을 잃고 어리둥절한 모양 (茫然自失/아득할망,그러할연,스스로자,잃을실)   
대기만성/ 큰 인물이 될 사람은 오랜 기간의 꾸준한 노력으로 이루어짐을 뜻함 

(大器晩成/클대,그릇기,늦을만,이룰성)   
연목구어/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말로,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려고 함 

(緣木求魚/인연연,나무목,구할구,고기어)   
소탐대실/ 작은 것을 탐하다가 오히려 큰 것을 잃음 (小貪大失/작을소,탐낼탐,클대,잃을실)   
득의양양/ 바라던 일이 이루어져서 우쭐거리며 뽐냄 (得意揚揚/얻을득,뜻의,날릴양,날릴양)   
만사형통/ 모든 일이 뜻한 바대로 잘 이루어짐 (萬事亨通/일만만,일사,형통할형,통할통)   
일취월장/ 학업이 날이 가고 달이 갈수록 진보함을 이름  (日就月將/날일,나아갈취,달월,장수장)

 파안대소/ 얼굴빛을 밝게 하여 한바탕 그게 웃음을 뜻한다 

(破顔大笑/깨뜨릴파,얼굴안,클대,웃음소)   
근묵자흑/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진다는 말로서, 사람은 주변의 환경이나 친구의 영향을

받게 됨을 의미함 (近墨者黑/가까울근,먹묵,놈자,검을흑)   
좌지우지/ 사람이 어떤 일이나 대상을 제 마음대로 처리하거나 다루는 것을 말한다 

(左之右之/왼좌,갈지,오른우,갈지)   
안분지족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한다는 뜻 

(安分知足/편안할안,나눌분,알지,발족)   
심사숙고/ 깊이 생각하고 깊이 고찰함 (深思熟考/깊을심,생각사,익을숙,생각할고)   
전화위복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는 뜻 (轉禍爲福/구를전,재앙화,할위,복복)   
사필귀정/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곳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모든 잘잘못은 반드시 그 원인에

따라서 바른 결과를 얻게 된다는 뜻 (事必歸正/일사,반드시필,돌아갈귀,바를정)   
견문발검/ 모기를 보고 칼을 빼듯이 하찮은 일에 화를 낸다는 뜻 

(見蚊拔劍/볼견,모기문,뽑을발,칼검) 

 

6. 다음 설명을 토대로 사자성어의 빈칸을 한자로 채우시오.(321~340)
朝令(暮)改ㅡ 아침에 명령을 내리고서 저녁에 다시 바꾼다는 뜻으로, 법령의 개정이 너무

빈번하여 믿을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조령모개( 아침조,하여금령,저물모,고칠개)  
會者定(離)ㅡ ‘만난 사람은 헤어짐이 정해져 있다’는 뜻으로,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기

마련이라는 뜻 /회자정리(모일회,놈자,정할정,떠날리)   
(苦)盡甘來ㅡ 고통이 다하면 기쁨이 온다 /고진감래 (쓸고,다할진,달감,올래)  
刮目相(對)ㅡ 학식이나 재주가 매우 늘어 눈을 비비고 다시 볼 정도로 놀라운 성장을 일컬음 

/괄목상대( 비빌괄,눔목,서로상,대할대)  
(附)和雷同ㅡ 우레소리에 맞춰 함께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뚜렷한 소신 없이 그저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을 의미함 /부화뇌동(붙을부,화할화,우레뇌,한가지동)   
姑息之(計)ㅡ 1.근본 해결책이 아닌 임시로 편한 것을 취하는 계책. 2.당장의 편안함만을 꾀하는

 일시적인 방편 /고식지계(시어머니고,쉴식,갈지,셀계)   
沙上(樓)閣/ 모래 위에 세운 다락집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약하여 무너질 염려가 있을 때나

실현 불가능한 일을 두고 이르는 말 /사상누각(모래사,윗상,다락루,집각)   
桑田(碧)海/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라는 뜻으로, 세상이 몰라 볼 정도로 바뀐 것.

세상의 모든 일이 엄청나게 변해버린 것/ 상전벽해(뽕나무상,밭전,푸를벽,바다해)   
(群)鷄一鶴 /무리 지어 있는 닭 가운데 있는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여러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있는 뛰어난 한 사람을 이르는 말 /군계일학(무리군,닭계,한일,학학)   
龍(頭)蛇尾/ 머리는 용이고 꼬리는 뱀이라는 뜻으로, 시작은 좋았다가 갈수록 나빠짐의 비유 

/용두사미(용용,머리두,긴뱀사,꼬리미)   
抱(腹)絶倒/ 몹시 우스워서 배를 알고 몸을 가누지 못할 만큼 웃음 /포복절도

(안을포,배복,끓을절,거꾸러질도)   
背水之(陣)/ 물을 등지고 치는 진으로, 어떤 일에 죽기를 각오하고 정면으로 맞서는 병법을

일컬음 /배수지진(등배,물수,갈지,진칠진)   
(鶴)首苦待/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기다린다는 뜻으로, 몹시 기다림을 이르는 말

/ 학수고대(학학,머리수,쓸고,기다릴대)   
格物(致)知 /사물의 이치를 구명하여 자기의 지식을 확고하게 함 

/격물치지(격식격,물건물,이를치,알지)   
一網打(盡)/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을 의미함 /일망타진(한일,그물망,칠타,다할진)   
三人成(虎)/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든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남이 참말로 믿기 쉽다는 말 /삼인성호(석삼,사람인,이룰성,범호)   
(傍)若無人/ 곁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여긴다는 뜻으로, 주위에 있는 다른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이르는 말 /방약무인(곁방,같을약,없을무,사람인)   
泰(然)自若/ 마음에 충동을 받아도 동요하지 않고 천연스러운 것 

/태연자약(클태,그러할연,스스로자,같을약)   
明若(觀)火/ 불을 보는 것 같이 밝게 보인다는 뜻으로, 더 말할 나위 없이 명백함

 /명약관화(밝을명,같을약,볼관,불화)   
浩(然)之氣 /어떤 사물에도 구애됨이 없는 넓고 큰 기운이나 공명정대하여 흔들리거나 꺾이지

않는 도덕적 용기 /호연지기(넓을호,그러할연,갈지,기운기) 

 

7. 다음 한자와 반대의 뜻을 지니는 한자를 쓰시오.(341~370)
可(옳을가)↔否(아닐부)         功(공공)↔(過(허물과)       近(가까울근)↔遠(멀원) 

公(공변될공↔(私(개인사)      貸(빌릴대)↔借(빌릴차)    得(얻을득)↔失(잃을실)   
曲(굽을곡)↔直(곧을직)         得(얻을득)↔失(잃을실)     問(물을문)↔答(대답할답) 

深(깊을심)↔淺(얕을천)         善(착할선)↔惡(악할악)     勤(부지런할근)↔怠(게을를태)

勝(이길승)↔敗(패할패)         始(처음시)↔終(마칠종)     安(편안할안)↔危(위태할위) 

玉(구슬옥)↔石(돌석)            主(주인주)↔客(손객)        逆(거스를역)↔順(순할순)  

增(다할증)↔減(덜감)            尊(높을존)↔卑(낮을비)     集(모일집)↔散(흩을산) 

出(날출)↔納(드릴납)            朝(아침조)↔夕(저녁석)     贊(도울찬)↔反(돌아올반) 

表(겉표)↔裏(속리)               興(흥할흥)↔亡(망할망)     彼(저피)↔此(이차) 

狹(좁을협)↔廣(넓을광)         晝(낮주)↔夜(밤야)           進(나아갈진)↔退(물러날퇴)

喜(기쁠희)↔悲(슬플비) 

 

8. 다음 단어의 독음과 뜻을 쓰시오. (371~390) 
校訂 (교정, 책의 잘못된 글자나 글귀를 바르게 고치는 일)/바로잡을교,바로잡을정

/이미나온책을교정..교정(矯正); 좋지않은 버릇이나 결점을 바로잡음

救助 (구조, 재난을 당하여 위기에 빠진 사람을 구해줌)/구원할구,도울조   
怨望 (원망, 남이 한 일을 억울하게 여겨 탓함)/원망할원,바랄망   
念慮 (염려, 앞일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마음을 써서 걱정함. 또는 그런 걱정)/생각념,생각할려   
應援 (응원, 운동경기 따위를 곁에서 성원함, 호응하며 도와줌)/응할응,도울원   
有志 (유지, 마을이나 지역에서 명망 있고 영향력을 가진 사람)/있을유,뜻지   
方途 (방도, 일을하여 갈 방법과 도리)/모방,길도   
聯盟 (연맹, 공동 목적을 가진 조직)/ 연이을련, 맹세맹 
付託 (부탁, 어떤 일을 해 달라고 맡기거나 청함)/줄부,부탁할탁   
祥瑞 (상서, 경사롭고 길한 징조)/ 상서상,상서서  
積立 (적립, 모아서 쌓아둠)/쌓을적,설립   
造詣 (조예, 어떤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이나 이해)/지을조,이를예   
肅然 (숙연, 고요하고 엄숙함)/ 엄숙할숙,그러할연  
現象 (현상,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사물의 형상)/나타날현,코끼리상   
沈着 (침착, 행동이 들뜨지 않고 찬찬함)/가라앉을침,붙을착   
洞察 (통찰, 환히 내다 봄, 꿰뚫어 봄)/밝을통,살필찰   
花壇 (화단, 화초를 심기 위하여 만든 꽃밭)/꽃화,단단   
謙讓 (겸양, 겸손한 태도로 사양함)/겸손할겸,사양할양   
勳章 (훈장, 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에게 주는 휘장)/공훈,글장   
聰氣 (총기, 총명한 기질)/귀밝을총,기운기 


9.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391~400)
1) 경찰(警察)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財産)을 지키며 국가를 보위(保衛)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한다.ㅡ(경계할경,살필찰),(재물재,낳을산),(지킬보,지킬위)

2) 사회가 보다 민주화(民主化)되고 다양해지면서 사람들의 관심(關心)과 알 권리를

충족(充足)시켜야 할 대상도 그만큼 다양해졌다.ㅡ(백성민,주인주,될화),(관계할관,마음심)

3) 예술은 인간과 연관되는 모든 것을 표현(表現)하고 체험(體驗)하게 한다.
 ㅡ(겉표,나타날현),(몸체,시험험)
4) 한글 창제(創製)의 의의는 아무리 강조(强調)해도 지나칠 것이 없다.

ㅡ(비롯할창, 지을제),(강할강, 고를조)

 

1. 다음 단어의 독음을 쓰시오.(1~150)
希望        纖細       憂慮.

永眠        發表(발표)/필발,겉표            照準(조준)/비칠조,준할준. 

基盤(기반)/터기,소반반         業務(업무)/업업,힘쓸무.        書籍(서적)/글서,문서적 

建設(건설)/세울건,베풀설.     企業(기업)/꾀할기,업업.        美術(미술)/아름다울미,재주술  
漢字(한자)/한수한,글자자.     景氣(경기)/볍경,가운기.        妥結(타결)/온당할타,맺을결.

課程(과정)/과정과,길정.        受賞(수상)/받을수.상줄상.     交涉(교섭)/사귈교,건널섭   
與論(여론)/더불여,논할론.     振興(진흥)/떨칠진,일흥.        起案(기안)/일어날기,책상안 

緊張(긴장)/긴할긴,베풀장.     年鑑(연감)/해년,거울감.        實錄(실록)/열매실,기록할록.   

音樂(음악)/소리음.노래악.     哀悼(애도)/슬플애,슬플도      批准(비준)/비평할비,준할준.

跳躍(도약)/뛸도,뛸약.            謙虛(겸허)/겸손할겸,빌허.    達辯(달변)/통달할달,말씀변. 

履歷(이력)/밟을리,지날력.     稀薄(희박)/드물희,엷을박.     到着(도착)/이를도,붙을착. 

銘心(명심)/새길명,마음심.     拘束(구속)/잡을구,묶을속.     模範(모범)/본뜰모,법범   
拔擢(발탁)/뽑을발,뽑을탁.     氣分(기분)/기운기,나눌분.     調査(조사)고를조,조사할사.

執筆(집필)/ 잡을집,붓필        覇權(패권)/으뜸패,권세권.     繁盛(번성)/번성할번,성할성 

豫約(예약)/미리예,맺을약      寶庫(보고)/보배보,곳집고.     協議(협의)/화합할협,의논할의.

奉仕(봉사)/받들봉,섬길사      去來(거래)/갈거,올래            指彈(지탄)/가르킬지,탄알탄.
革新(혁신)/가죽혁,새신.        瓦解(와해)/기와와,풀해         取消(취소)/가질취,사라질소. 

召命(소명)/부를소,목숨명.     追擊(추격)/쫓을추.칠격.        嚴肅(엄숙)/엄할엄,엄숙할숙.

成功(성공)/이룰성,공공         興行(흥행)/일흥,다닐행         認許(인허)/알인,허락할허.     

基金(기금)/터기,쇠금.           遵法(준법)/ 쫒을준,법법.       策略(책략)/꾀책,간략할략(약)           

嚴格(엄격)/엄할엄,격식격      推論(추론)/밀추,논할론.        惹起(야기)/이끌야,일어날기  
施工(시공)/베풀시,장인공.     復興(부흥)/다시부,일흥.        營利(영리)/경영할영,이로울리   

仲裁(중재)/버금중,마를재.     措置(조치)/ 둘조,둘치.          堡壘(보루)/작은성보,보루루 

確立(확립)/굳을확,설립.        誤解(오해)/그르칠오,풀해.     雅量(아량)/맑을아,헤아릴량.
契約(계약)/맺을계,맺을약      書籍(서적)/글서,문서적.        審判(심판)/살필심,판단할판 
引受(인수)/끌인,받을수.        賃貸(임대)/품삯임,빌릴대.     包攝(포섭)/ 쌀포,다스릴섭.

揷畵(삽화)/꽂을삽,그림화.     爭取(쟁취)/다툴쟁,가질취.     倫理(윤리)/인륜윤,다스릴리. 

諮問(자문)/물을자,물을문.     救急(구급)/구원할구,급할급   償還(상환)/갚을상,돌아올환.    
適切(적절)/맞을적,끊을절.     觀覽(관람)/볼관,볼람             歎服(탄복)/탄식할탄,엎드릴복   

思慮(사려)/생각사,생각려      提携(제휴)/끌제,이끌휴          便利(편리)/편할편,이로울리.   
製造(제조)/지을제,지을조.     考試(고시)/생각할고,시험시.   訴訟(소송)/ 호소할소,송사할송.  
編纂(편찬)/엮을편,모을찬.     賦與(부여)/ 부세부,더불여.     駭怪(해괴)/놀랄해,괴이할괴.

選擧(선거)/가릴선.들거.        借用(차용)/빌릴차,쓸용.         港灣(항만)/항구항,물굽이만.    
應急(응급)/응할응,급할급.     處理(처리)/곳처,다스릴리.      委託(위탁)/맡길위,부탁할탁. 

借款(차관)/빌릴차,항목관.     處罰(처벌)/곳처,벌할벌.         賀禮(하례)/하례할하,예도례. 

部署(부서)/ 떼부,관청서.       忠告(충고)/충성충,고할고.      結制(결제)/맺을결,결제할제. 

發射(발사)/필발,쏠사            智略(지략)/지혜지,간략할략.   秘密(비밀)/숨길비,빽빽할밀. 

實質(실질)/열매실,바탕질.     猛烈(맹렬)/사나울맹,매울렬    純粹(순수)/순수할순,순수할수. 
解雇(해고)/풀해.품팔고.        貸與(대여)/빌릴대.더불여.      現實(현실)/나타날현,열매실.

空想(공상)/빌공,생각상.        報償(보상)/갚을상,갚을보.      理論(이론)/다스릴리,논할론. 

逝去(서거)/갈서,갈거.           勝負(승부)/이길승.질부.         勤勉(근면)/부지런할근,힘쓸면. 

累積(누적)/포갤루,쌓을적.     納付(납부)/들일납.줄부.         緊密(긴밀)/긴할긴,빽빽할밀.

感情(감정)/느낄감,뜻정.        名譽(명예)/이름명,기릴예.      自立(자립)/스스로자,설립  

充實(충실)/찰충,열매실.        加熱(가열)/더할가,더울열.      延長(연장)/늘일연,길장,어른장 

客觀(객관)/손객,볼관.           敏感(민감)/ 浪費(낭비)           質疑(질의)/바탕질,의심할의. 
斬新(참신)/벨참,새신.           分明(분명)/나눌분,밝을명.      需要(수요)/쓰일수,요긴할요.

浪費(낭비)/물결낭,쓸비.        正常(정상)/바를정,항상상.      實際(실제)/열매실,즈음제.

主觀(주관)/주인주,볼관.        都心(도심)/도읍도,마음심.      敏感(민감)/민첩할민,느낄감.  

友好(우호)/벗우,좋을호.        恩惠(은혜)/은혜은,은혜혜.      複合(복합)/겹칠복,합할합. 

空虛(공허)/빌공,빌허            吉兆(길조)/길할길,조짐조.      供給(공급)/이바지할공,줄급.

榮轉(영전)/영화영,구를전.     沈着(침착)/ 잠길침,붙을착.

 

2. 다음 단어의 독음과 뜻을 참조하여 한자를 쓰시오.(151~220)
기구ㅡ많은 사람이 모여 어떤 목적을 위하여 구성한 조직이나 기관의 구성체계 

/機構(틀기,얽을구)   
방향ㅡ 나아가거나 향하는 쪽 /方向(모방,향할향)   
계열 ㅡ서로 관계가 있거나, 공통되거나, 유사한 점에서 연결되는 계통이나 조직

系列 (맬계,벌일렬)  
쇄신ㅡ 나쁜 폐단이나 묵은 것을 버리고 새롭게 함/ 刷新(인쇄할쇄,새신)   
반영ㅡ다른 것에 영향을 받아 어떤 현상이 나타남/ 反映(돌이킬반,비칠영)   
급여ㅡ 돈이나 물품 따위를 줌. 또는 그 돈이나 물품/ 給與(줄급,더불여)   
개정ㅡ 이미 정하였던 것을 고쳐 다시 정함/ 改定(고칠개,정할정)   
극복ㅡ (어려운 상태를) 이겨 내어 본디의 상태로 되돌아감/克服(이길극,다스릴복)   
협박ㅡ 남에게 어떤 일을 하도록 위협함/ 脅迫(위협할협,핍박할박)   
수요ㅡ 어떤 재화나 용역을 일정한 가격으로 사려고 하는 욕구/ 需要(쓰일수,요긴할요)   
격려ㅡ 용기나 의욕이 솟아나도록 북돋워 줌 / 激勵(격할격,힘쓸려)   
도덕ㅡ 사람이 해야 할 바른 길/ 道德 (길도/큰덕,덕덕)  
조종ㅡ 비행기나 선박, 자동차 따위의 기계를 다루어 부림/ 操縱 (잡을조,세로종)  
동기ㅡ 의사결정이나 어떤 행위의 직접적인 원인/ 動機(움직일동,틀기)   
득표ㅡ 투표에서, 찬성의 표를 얻음, 또는 그 얻은 표 수/ 得票(얻을득,표표)   
향응ㅡ 특별히 융숭하게 대접함. 또는 그런 대접/ 饗應(울릴향,응할응)   
희박ㅡ 어떤 일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적다/ 稀薄 (드물희,엷을박)  
문안ㅡ 웃어른께 안부를 여쭘/ 問安(물을문,편안할안)   
공헌ㅡ 힘을 써 이바지함/ 貢獻(바칠공,바칠헌)   
타결ㅡ 의견이 대립된 양편에서 서로 양보하여 일을 마무름 /妥結(온당할타,맺을결)   
포옹ㅡ 남을 아량으로 너그럽게 품어 줌/ 抱擁(안을포,껴안을옹)   
보도ㅡ 새 소식을 널리 알림/ 報道(알릴보/길도,알릴도)   
수습ㅡ 학업이나 실무 따위를 배워 익힘. 또는 그런 일/ 修習 (닦을수,익힐습)  
응시ㅡ 눈길을 모아 한 곳을 똑바로 바라봄 / 凝視(엉길응,볼시)   
맹수ㅡ 주로 육식을 하는 사나운 짐승. 사자나 범 따위를 이른다/ 猛獸(사나울맹,짐승수)   
단서ㅡ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일의 첫 부분/ 端緖(끝단,실마리서)   
선전ㅡ 말하여 전함, 널리 전함/ 宣傳(베풀선,전할전)  
숙원ㅡ 오랫동안 묵은 원한/宿願(잘숙,원할원)   
연소ㅡ 물질이 산소와 화합할 때에, 많은 빛과 열을 냄. 또는 그런 현상/ 燃燒(탈연,사를소)   
부임ㅡ 임명이나 발령을 받아 근무할 곳으로 감/ 赴任(다다를부,맡길임)   
시인ㅡ 옳다고 인정함/ 是認(이시,알인)   
도약ㅡ 몸을 위로 솟구쳐 뛰는 일/跳躍(뛸도,뛸약)   
양식ㅡ 일정한 형식/ 樣式(모양양,법식)   
반복ㅡ 같은 일을 되풀이함/ 反復(돌이킬반,회복할복)   
연구ㅡ 사물을 깊이 생각하거나 자세히 조사하거나 하여 어떤 이치나 사실을 밝혀냄

硏究(갈연,연구할구)   
목욕ㅡ 머리를 감으며 온몸을 씻는 일/ 沐浴(머리감을목,목욕할욕)   
멸균ㅡ 해로운 균을 없앰/ 滅菌(멸할멸,버섯균)   
요망ㅡ 꼭 이루어지길 바람 /要望(요긴할요,바랄망)   
포착ㅡ 꼭 붙잡음/ 어떤 기회나 정세를 알아차림/ 捕捉(잡을포,잡을착)   
우수ㅡ 뛰어나고 빼어남/ 優秀(넉넉할우,빼어날수)   
액운ㅡ 나쁜 일을 당할 운수/ 厄運(액액,옮길운)   
육성ㅡ 길러서 자라게 함 /育成(기를육,이룰성)   
붕괴ㅡ 무너지고 깨어짐/ 崩壞 (무너질붕,무너질괴)  
해박ㅡ 여러 방면으로 학식이 넓다 /該博(갖출해,넓을박)   
수필ㅡ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느낌이나 체험을 생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

隨筆(따를수,붓필)   
이성ㅡ 사물의 이치를 생각하는 능력/理性(다스릴리,성품성)   
소란ㅡ 시끄럽고 어수선함/ 騷亂(떠들소,어지러울란)   
인정ㅡ 옳다고 믿고 정함/ 認定(알인,정할정)   
실수ㅡ 조심하지 아니하여 잘못함. 또는 그런 행위 /失手(잃을실,손수)   
재고ㅡ 다시 한 번 생각함/ 再考(두재,생각할고)   
합격ㅡ 시험, 검사, 심사 등에서 일정한 조건을 갖추어 어떠한 자격이나 지위를 얻음

合格(합할합,격식격)   
전시ㅡ 물건을 늘어놓아 보임/ 展示(펼전,보일시)   
공천ㅡ 공인된 정당에서 선거에 출마할 당원을 공식적으로 추천하는 일

公薦 (공평할공,천거할천)  
정교ㅡ 정밀하고 교묘함/ 精巧(정할정,공교할교)   
장학ㅡ 공부나 학문을 장려함 /奬學(장려할장,배울학)   
할부ㅡ 돈을 여러 번에 나누어 냄/ 割賦(벨할,부세부)   
지각ㅡ 알아서 깨닫는 능력 /知覺(알지,깨달을각)   
지사ㅡ 회사,단체 등에서 지방이나 외국에 설치한 사업소/ 支社(지탱할지,모일사)   
초청ㅡ (남을) 청하여 부름/ 招請(부를초,청할청)   
임용ㅡ직무를 맡기어 사람을 씀 /任用 (맡길임,쓸용)  
낙선ㅡ 심사나 선발에서 떨어짐/ 落選 (떨어질낙,가릴선)  
면접ㅡ 서로 대면하여 만나 봄/ 面接(낮면,접할접)   
취미ㅡ 마음이 끌려 치우치는 일./ 趣味(뜻취,맛미)   
타협ㅡ 서로 양보하여 협의함 /妥協(온당할타,화합할협)   
통상ㅡ 외국과 서로 무역함/ 通商(통할통,장사상)   
표결ㅡ 의안에 대하여 가부의 의사를 표시하여 결정함/ 表決(겉표,결달할결)   
보편ㅡ 두루 널리 미침, 모든 것에 공통되거나 들어맞음 /普遍(넓을보,두루편)   
도서ㅡ 그림, 글씨, 책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圖書(그림도,글서)   
침몰ㅡ 물속에 가라앉음 /沈沒 ( 잠길침,빠질몰) 
역사ㅡ 어떠한 사물이나 사실이 존재해 온 연혁 /歷史(지날력,역사사) 

 

3. 다음 한자의 훈과 음을 쓰시오. (221~260)
覺 (깨달을 각)  懇 (간절할 간)  儉 (검소할 검)  淨 (깨끗할 정)  錦 (비단 금)   
諾 (허락할 낙)  證 (증거 증)      努 (힘쓸 노)     淡 (맑을 담)     催 (재촉할 최)   
厭 (싫어할 염)  辨 (분별할 변)   復 (회복할 복)  朝 (아침 조)     備 (갖출 비)   
散 (흩을 산)     抽 (뽑을 추)      惜 (아낄 석)     續 (이을 속)     述 (펼 술)   
卽 (곧즉)         熟 (익을 숙)      握 (쥘 악)        悅 (기쁠 열)      欲 (하고자 할 욕)   
郵 (우편 우)     廳 (관청 청)      融 (녹을 융)     粧 (단장할 장)  寂 (고요할 적)   
族 (겨레 족)     從 (좇을 종)      駐 (머무를 주) 哲 (밝을 철)      初 (처음 초)   
憲 (법 헌)        把 (잡을 파)      驗 (시험할 험) 厚 (두터울 후)   訓 (가르칠 훈) 

 

4. 다음 훈과 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261~300)
집 각 (閣)        속일 기 (欺)       검사할 검 (檢)     무역할 무 (貿)      민첩할 민 (敏)   
이길 극 (克)     법 규 (規)          편안 녕 (寧)         길 도 (途)            인도할 도 (導)   
얼 동 (凍)        뭍 륙 (陸)          이웃 린 (隣)         찰 만 (滿)            사나울 맹 (猛)   
화목할 목 (睦)  감독할 독 (督)   인륜 륜 (倫)         잠잠할 묵 (默)      손 빈 (賓)   
갚을 상 (償)     천천할 서 (徐)    빼어날 수 (秀)     아낄 석 (惜)         소통할 소 (疏)   
익을 숙 (熟)     맡길 위 (委)       떠날 리 (離)        의원 의 (醫)         작을 미 (微)   
거짓 가 (假)     갑자기 돌 (突)   임할 림 (臨)         빚 채 (債)            흩을 산 (散)   
예 구 (舊)        특별할 특 (特)   클 태 (泰)            넓을 박 (博)         형통할 형 (亨) 

 

5. 다음 독음과 뜻에 맞춰 해당하는 사자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301~320)


각골난망/ 깊이 새기어 두고 은혜를 잊지 않음을 뜻함 (刻骨難忘/새길각,뼈골,어려울난,잊을망)   
청출어람/ 스승보다 제자가 더 뛰어나거나 훌륭함을 뜻함 

(靑出於藍/푸를청,날출,어조사어,쪽람)   
탁상공론 /탁자 위에서만 펼치는 헛된 논설, 실현성이 없는 허황된 이론 

(卓上空論/높을탁,윗상,빌공,논할론)   
견강부회/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 주장의 조건에 맞도록 함 

(牽强附會/이끌견,강할강,붙을부,모일회)   
결초보은/ 무슨 짓을 하여서든지 잊지 않고 은혜에 보답함 

(結草報恩/맺을결,풀초,갚을보,은혜은)   
망연자실/ 제 정신을 잃고 어리둥절한 모양 (茫然自失/아득할망,그러할연,스스로자,잃을실)   
대기만성/ 큰 인물이 될 사람은 오랜 기간의 꾸준한 노력으로 이루어짐을 뜻함 

(大器晩成/클대,그릇기,늦을만,이룰성)   
연목구어/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말로,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려고 함 

(緣木求魚/인연연,나무목,구할구,고기어)   
소탐대실/ 작은 것을 탐하다가 오히려 큰 것을 잃음 (小貪大失/작을소,탐낼탐,클대,잃을실)   
득의양양/ 바라던 일이 이루어져서 우쭐거리며 뽐냄 (得意揚揚/얻을득,뜻의,날릴양,날릴양)   
만사형통/ 모든 일이 뜻한 바대로 잘 이루어짐 (萬事亨通/일만만,일사,형통할형,통할통)   
일취월장/ 학업이 날이 가고 달이 갈수록 진보함을 이름  (日就月將/날일,나아갈취,달월,장수장)

 파안대소/ 얼굴빛을 밝게 하여 한바탕 그게 웃음을 뜻한다 

(破顔大笑/깨뜨릴파,얼굴안,클대,웃음소)   
근묵자흑/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진다는 말로서, 사람은 주변의 환경이나 친구의 영향을

받게 됨을 의미함 (近墨者黑/가까울근,먹묵,놈자,검을흑)   
좌지우지/ 사람이 어떤 일이나 대상을 제 마음대로 처리하거나 다루는 것을 말한다 

(左之右之/왼좌,갈지,오른우,갈지)   
안분지족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한다는 뜻 

(安分知足/편안할안,나눌분,알지,발족)   
심사숙고/ 깊이 생각하고 깊이 고찰함 (深思熟考/깊을심,생각사,익을숙,생각할고)   
전화위복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는 뜻 (轉禍爲福/구를전,재앙화,할위,복복)   
사필귀정/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곳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모든 잘잘못은 반드시 그 원인에

따라서 바른 결과를 얻게 된다는 뜻 (事必歸正/일사,반드시필,돌아갈귀,바를정)   
견문발검/ 모기를 보고 칼을 빼듯이 하찮은 일에 화를 낸다는 뜻 

(見蚊拔劍/볼견,모기문,뽑을발,칼검) 

 

6. 다음 설명을 토대로 사자성어의 빈칸을 한자로 채우시오.(321~340)
朝令(暮)改ㅡ 아침에 명령을 내리고서 저녁에 다시 바꾼다는 뜻으로, 법령의 개정이 너무

빈번하여 믿을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조령모개( 아침조,하여금령,저물모,고칠개)  
會者定(離)ㅡ ‘만난 사람은 헤어짐이 정해져 있다’는 뜻으로,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기

마련이라는 뜻 /회자정리(모일회,놈자,정할정,떠날리)   
(苦)盡甘來ㅡ 고통이 다하면 기쁨이 온다 /고진감래 (쓸고,다할진,달감,올래)  
刮目相(對)ㅡ 학식이나 재주가 매우 늘어 눈을 비비고 다시 볼 정도로 놀라운 성장을 일컬음 

/괄목상대( 비빌괄,눔목,서로상,대할대)  
(附)和雷同ㅡ 우레소리에 맞춰 함께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뚜렷한 소신 없이 그저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을 의미함 /부화뇌동(붙을부,화할화,우레뇌,한가지동)   
姑息之(計)ㅡ 1.근본 해결책이 아닌 임시로 편한 것을 취하는 계책. 2.당장의 편안함만을 꾀하는

 일시적인 방편 /고식지계(시어머니고,쉴식,갈지,셀계)   
沙上(樓)閣/ 모래 위에 세운 다락집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약하여 무너질 염려가 있을 때나

실현 불가능한 일을 두고 이르는 말 /사상누각(모래사,윗상,다락루,집각)   
桑田(碧)海/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라는 뜻으로, 세상이 몰라 볼 정도로 바뀐 것.

세상의 모든 일이 엄청나게 변해버린 것/ 상전벽해(뽕나무상,밭전,푸를벽,바다해)   
(群)鷄一鶴 /무리 지어 있는 닭 가운데 있는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여러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있는 뛰어난 한 사람을 이르는 말 /군계일학(무리군,닭계,한일,학학)   
龍(頭)蛇尾/ 머리는 용이고 꼬리는 뱀이라는 뜻으로, 시작은 좋았다가 갈수록 나빠짐의 비유 

/용두사미(용용,머리두,긴뱀사,꼬리미)   
抱(腹)絶倒/ 몹시 우스워서 배를 알고 몸을 가누지 못할 만큼 웃음 /포복절도

(안을포,배복,끓을절,거꾸러질도)   
背水之(陣)/ 물을 등지고 치는 진으로, 어떤 일에 죽기를 각오하고 정면으로 맞서는 병법을

일컬음 /배수지진(등배,물수,갈지,진칠진)   
(鶴)首苦待/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기다린다는 뜻으로, 몹시 기다림을 이르는 말

/ 학수고대(학학,머리수,쓸고,기다릴대)   
格物(致)知 /사물의 이치를 구명하여 자기의 지식을 확고하게 함 

/격물치지(격식격,물건물,이를치,알지)   
一網打(盡)/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을 의미함 /일망타진(한일,그물망,칠타,다할진)   
三人成(虎)/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든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남이 참말로 믿기 쉽다는 말 /삼인성호(석삼,사람인,이룰성,범호)   
(傍)若無人/ 곁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여긴다는 뜻으로, 주위에 있는 다른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이르는 말 /방약무인(곁방,같을약,없을무,사람인)   
泰(然)自若/ 마음에 충동을 받아도 동요하지 않고 천연스러운 것 

/태연자약(클태,그러할연,스스로자,같을약)   
明若(觀)火/ 불을 보는 것 같이 밝게 보인다는 뜻으로, 더 말할 나위 없이 명백함

 /명약관화(밝을명,같을약,볼관,불화)   
浩(然)之氣 /어떤 사물에도 구애됨이 없는 넓고 큰 기운이나 공명정대하여 흔들리거나 꺾이지

않는 도덕적 용기 /호연지기(넓을호,그러할연,갈지,기운기) 

 

7. 다음 한자와 반대의 뜻을 지니는 한자를 쓰시오.(341~370)
可(옳을가)↔否(아닐부)         功(공공)↔(過(허물과)       近(가까울근)↔遠(멀원) 

公(공변될공↔(私(개인사)      貸(빌릴대)↔借(빌릴차)    得(얻을득)↔失(잃을실)   
曲(굽을곡)↔直(곧을직)         得(얻을득)↔失(잃을실)     問(물을문)↔答(대답할답) 

深(깊을심)↔淺(얕을천)         善(착할선)↔惡(악할악)     勤(부지런할근)↔怠(게을를태)

勝(이길승)↔敗(패할패)         始(처음시)↔終(마칠종)     安(편안할안)↔危(위태할위) 

玉(구슬옥)↔石(돌석)            主(주인주)↔客(손객)        逆(거스를역)↔順(순할순)  

增(다할증)↔減(덜감)            尊(높을존)↔卑(낮을비)     集(모일집)↔散(흩을산) 

出(날출)↔納(드릴납)            朝(아침조)↔夕(저녁석)     贊(도울찬)↔反(돌아올반) 

表(겉표)↔裏(속리)               興(흥할흥)↔亡(망할망)     彼(저피)↔此(이차) 

狹(좁을협)↔廣(넓을광)         晝(낮주)↔夜(밤야)           進(나아갈진)↔退(물러날퇴)

喜(기쁠희)↔悲(슬플비) 

 

8. 다음 단어의 독음과 뜻을 쓰시오. (371~390) 
校訂 (교정, 책의 잘못된 글자나 글귀를 바르게 고치는 일)/바로잡을교,바로잡을정

/이미나온책을교정..교정(矯正); 좋지않은 버릇이나 결점을 바로잡음

救助 (구조, 재난을 당하여 위기에 빠진 사람을 구해줌)/구원할구,도울조   
怨望 (원망, 남이 한 일을 억울하게 여겨 탓함)/원망할원,바랄망   
念慮 (염려, 앞일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마음을 써서 걱정함. 또는 그런 걱정)/생각념,생각할려   
應援 (응원, 운동경기 따위를 곁에서 성원함, 호응하며 도와줌)/응할응,도울원   
有志 (유지, 마을이나 지역에서 명망 있고 영향력을 가진 사람)/있을유,뜻지   
方途 (방도, 일을하여 갈 방법과 도리)/모방,길도   
聯盟 (연맹, 공동 목적을 가진 조직)/ 연이을련, 맹세맹 
付託 (부탁, 어떤 일을 해 달라고 맡기거나 청함)/줄부,부탁할탁   
祥瑞 (상서, 경사롭고 길한 징조)/ 상서상,상서서  
積立 (적립, 모아서 쌓아둠)/쌓을적,설립   
造詣 (조예, 어떤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이나 이해)/지을조,이를예   
肅然 (숙연, 고요하고 엄숙함)/ 엄숙할숙,그러할연  
現象 (현상,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사물의 형상)/나타날현,코끼리상   
沈着 (침착, 행동이 들뜨지 않고 찬찬함)/가라앉을침,붙을착   
洞察 (통찰, 환히 내다 봄, 꿰뚫어 봄)/밝을통,살필찰   
花壇 (화단, 화초를 심기 위하여 만든 꽃밭)/꽃화,단단   
謙讓 (겸양, 겸손한 태도로 사양함)/겸손할겸,사양할양   
勳章 (훈장, 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에게 주는 휘장)/공훈,글장   
聰氣 (총기, 총명한 기질)/귀밝을총,기운기 


9.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391~400)
1) 경찰(警察)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財産)을 지키며 국가를 보위(保衛)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한다.ㅡ(경계할경,살필찰),(재물재,낳을산),(지킬보,지킬위)

2) 사회가 보다 민주화(民主化)되고 다양해지면서 사람들의 관심(關心)과 알 권리를

충족(充足)시켜야 할 대상도 그만큼 다양해졌다.ㅡ(백성민,주인주,될화),(관계할관,마음심)

3) 예술은 인간과 연관되는 모든 것을 표현(表現)하고 체험(體驗)하게 한다.
 ㅡ(겉표,나타날현),(몸체,시험험)
4) 한글 창제(創製)의 의의는 아무리 강조(强調)해도 지나칠 것이 없다.

ㅡ(비롯할창, 지을제),(강할강, 고를조)

1. 다음 단어의 독음을 쓰시오.(1~150)

 

希望(희망)/바랄희,바랄망.

希(희)-○부수: 巾 ○풀이: 수건 건(巾) + 점괘 효(爻) /바랄 희(希)자는 '베(巾)의 올이 효(爻)라는 글자처럼 성기다'는 뜻입니다. 이후 '성기다→드물다→희소성(稀少性)이 있다→바라다, 희망(希望)한다'는 뜻이 생김.

望(망)-○부수: 月(월) ○풀이: 달 월(月) + 줄기 정(壬) + [망할 망(亡)] /바랄 망(望)자의 아래에 있는 줄기 정(壬)자는 흙(土) 위에 사람(人)이 서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언덕(土) 위에 사람(人)이 서서 보름달(月)을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이후, '바라다'와 '보름'이란 뜻이 생겨났습니다. 망루(望樓)는 '바라보는(望) 누각(樓)'이고, 망원경(望遠鏡)은 '멀리(遠) 바라보는(望) 안경(鏡)'입니다. 희망(希望)은 '바라고(希望) 바라다(希望)'는 뜻이고, 욕망(慾望)은 '욕심내어(慾) 바라다(望)'는 뜻입니다.

 

纖細(섬세)/가늘성,가늘세.

纖(섬)-○부수: 糸 ○풀이: 실 사(糸) + [산부추 섬(韱)] /섬유(纖維), 섬세(纖細) 등에 사용되는 가늘 섬(纖)자는 '실(糸)이나 산부추(韱)처럼 가늘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 산부추 섬(韱)자는 가늘게 생긴 부추의 일종으로, 부추 모습을 본떠 만든 부추 구(韭)자, 낫 모양의 창인 창 과(戈)자, 낫으로 잘려진 부추의 모습(人人)이 합쳐진 글자입니다. 섬섬옥수(纖纖玉手)는 '가늘고(纖) 가는(纖) 옥(玉)같이 고운 손(手)'이란 뜻으로, 가냘프고 고운 여자의 손을 일컫는 말. 섬모운동(纖毛運動)은 '가는(纖) 털(毛)들이 움직이는 운동(運動)'으로, 짚신벌레 등이 세포 표면에 나 있는 가는 털로 흡사 노를 젓듯이 움직여서 앞으로 나아가는 운동.

▶ 섬섬옥수(纖:가늘 섬 纖:가늘 섬 玉:옥 옥 手:손 수) : 가냘프고 고운 여자의 손

細(세)-○부수: 糸 ○풀이: 실 사(糸) + [밭 전(田)→세] /가늘 세(細)자는 '실(糸)처럼 가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후 '가늘다→잘다→자세하다→적다'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憂慮(우려)/근심우,생각할려.

憂(우)-○부수: 心/忄○풀이: 머리 혈(頁) + 마음 심(心) + 천천히 걸을 쇠(夊) /근심 우(憂)자는 '머리(頁)와 마음(心)으로 근심하다'는 뜻입니다. 기우(杞憂)는 '기(杞)나라 사람의 근심(憂)'으로, 하늘이 무너질까 걱정한 기(杞)나라 사람의 이야기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쓸데없는 걱정을 이르는 말입니다.▶ 식자우환(識:알 식 字:글자 자 憂:근심할 우 患:근심 환) : 아는 것이 도리어 근심을 사게 된다는 말.

慮(려)-○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밥그릇 로(盧)→려] /생각 려(慮)자는 배려(配慮), 염려(念慮), 고려(考慮) 등에 사용됩니다. 조불려석(朝不慮夕)는 '아침(朝)에 저녁(夕) 일을 생각하지(慮) 못한다(不)'는 뜻으로, 앞일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을 일컫는 말입니다.

▶ 조불려석(朝:아침 조 不:아닐 부 慮:생각할 려 夕:저녁 석) : "아침에 저녁 일을 생각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당장을 걱정할 뿐이고 바로 그 다음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

永眠(영면)/길영,잠잘면

永(영)-○부수: 水 ○풀이: 물 수(水) + 점 주(丶) /길 영(永)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물(水)에서 헤엄치는 사람의 모습입니다. 영(永)자가 '길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자, 본래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물 수(氵)자가 추가되어 헤엄칠 영(泳)자가 만들어 졌습니다. 접영(蝶泳)은 '팔을 나비(蝶)처럼 움직이는 헤엄(泳)'이고, 배영(背泳)은 '등(背)으로 누워 치는 헤엄(泳)'입니다.

眠(면)-○부수: 目/罒 ○풀이: 눈 목(目) + [백성 민(民)→면] /졸거나 쉬면 눈을 감기 때문에. 눈 목(目)자가 들어갑니다. 소리 역할을 하는 백성 민(民)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눈(目)을 바늘로 찌르는 형상입니다. 잠잘 면(眠)자는 수면(睡眠), 동면(冬眠), 숙면(熟眠), 최면(催眠) 등에 들어감. 최면(催眠)은 '잠(眠)을 재촉하다(催)'는 뜻으로, 인위적으로 만든 수면 상태.

 

發表(발표)/필발,겉표

發(발)-○부수: 癶 ○풀이: 활 궁(弓) + 창 수(殳) + [걸을 발(癶)] /필 발(發)자는 원래 '손(又)에 화살을 들고(殳) 활(弓)을 쏜다, 발사(發射)한다'는 뜻. 창 수(殳)자는 손(又)에 창이나 연장, 막대기 등을 들고 있는 모습. 여기에서는 화살을 들고 있습니다. 이후 '쏘다→떠나다→나타나다→드러내다→일어나다→피다' 등의 여러가지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발사(發射), 발포(發砲)에서는 '쏘다', 발차(發車), 출발(出發)에서는 '떠나다', 발병(發病), 발생(發生)에서는 '나타내다', 발명(發明), 발표(發表)에서는 '드러내다', 발화(發火), 발기(發起)에서는 '일어나다', 발화(發花)에서는 '피다'의 뜻으로 사용. 또 두발을 상형하는 걸을 발(癶)과 칠 수(殳)를 합치면 발로 짓밟을 발(癹)이 되어, 소리로 사용. 나중에 '피다'는 의미도 생겼습니다.

表(표)-○부수: 衣 ○풀이: 옷 의(衣) + 털 모(毛) /겉 표(表)자는 옷(衣)에 털(毛)이 나 있는 형상으로, 원래 털옷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런 털옷은 겉에 입는다고 해서 '털옷→겉옷→겉→(겉으로) 나타내다→(나타내는) 표'라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표피세포(表皮細胞)는 식물의 '겉(表) 가죽(皮), 즉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細胞)'로, 사람의 피부세포에 해당합니다.

표음문자(表音文字)는 '소리(音)를 나타내는(表) 문자(文字)'이고, 표의문자(表意文字)는 '뜻(意)을 나타내는(表) 문자(文字)'로, 한자가 대표적인 표의문자입니다. 또, 신하가 자기의 생각을 표현(表現)하여 임금에게 고하는 글을 표(表)라고 합니다. 출사표(出師表)는 '전쟁터로 군대(師)가 나가면서(出) 올린 글(表)'로, 제갈공명이 전쟁터에 나가면서 임금에게 올린 글입니다. 경세유표(經世遺表)는 '세상(世)을 다스리는(經) 글을 남겨(遺) 임금에게 올리는 글(表)'로,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이 나라의 정치 사회적 제도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한 책의 이름입니다.

 

照準(조준)/비칠조,준할준.

照(조)-○부수: 灬 ○풀이: 불 화(灬) + 날 일(日) + [부를 소(召)→조] /밝을 소(昭)자 아래에 불 화(灬)자가 들어가면 '해(日)와 불(灬)이 밝게(昭) 비치다'는 뜻의 비칠 조(照)자가 됩니다. 조명(照明)은 '밝게(明) 비치는(照) 불빛'이고, 일조량(日照量)은 '해(日)가 비치는(照) 양(量)'으로, 일조량이 많아야 식물이 잘 자랍니다. 비칠/밝을 조(照)자는 '해(日)와 불(灬)이 밝게 비치다'는 뜻입니다. 조도(照度)는 '밝은(照) 정도(度)'로, 단위 면적이 단위 시간에 받는 빛의 양을 말합니다. 단위는 럭스(lux)입니다.

準(준)-○부수: 氵○풀이: 물 수(氵) + 빠를 곽([송골매 준(隼)]) /법도 준(準)자는 원래 '물(氵)의 수면이 평평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평평하다→고르다→바로잡다→기준(基準)→표준(標準)→법도→반드시'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표준(標準)은 '표시한(標) 기준(準)'이란 뜻으로, 일을 처리할 때 따르는 기준입니다.

 

基盤(기반)/터기,소반반

基(기)-○부수: 土○풀이: 흙 토(土) + [그 기(其)] /터 기(基)자도 땅위의 터를 의미합니다. 군사기지, 우주기지, 남극기지 등에 나오는 기지(基地)는 '터(基)가 되는 땅(地)'이란 뜻으로, 군대나 탐험대 따위의 활동의 기점이 되는 근거지를 의미합니다.

盤(반)-○부수: 皿○풀이: 그릇 명(皿) + [일반 반(般)]/소반 반(盤)자의 소반(小盤)은 음식이나 그릇을 받치기 위한 큰 쟁반이나 자그마한 밥상입니다. 소반 반(盤)자는 원래 큰 쟁반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후, '쟁반→소반→받침→바탕' 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소반(小盤), 쟁반(錚般)에서는 그릇이란 의미로, 기반(基盤), 지반(地盤)에서는 받침이나 바탕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業務(업무)/업업,힘쓸무.

業(업)- ○부수: 木 ○풀이: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어떤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인지 알 수 없지만, 어떤 일을 하는데 필요한 도구의 모습으로 짐작합니다.

務(무)-○부수: 力 ○풀이: 힘 력(力) + 칠 복(攵) + 창 모(矛)/힘쓸 무(務)자는 '손에 막대기를 들고(攵) 창(矛)을 이기려고 힘을 쓴다'는 뜻인데,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힘 력(力)자가 추가 되었습니다. 이후, 힘쓰다→일하다→업무(業務)→직무(職務)'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국무회의(國務會議)는 '국가(國)의 일(務)을 의논하는 회의(會議)'로, 행정부 내에서 국가의 일을 의논하기 위해 대통령, 국무총리, 장관 등이 모두 모여 하는 회의입니다. 대통령이 의장이 되고, 국무총리가 부의장이 되어 진행합니다. 의무(義務)는 '마땅히 해야 할 옳은(義) 일(務)'이고, 채무(債務)는 '빚(債)을 갚을 의무(義務)'입니다.

사무실(事務室)은 '일(事)과 업무(務)를 하는 방(室)'입니다. 양무운동(洋務運動)은 '서양(洋) 문물을 받아들이는데 힘쓰는(務) 운동(運動)'으로, 19세기 후반 중국 청나라가 서양에서 근대기술을 도입하여 이루려 한 자강운동(自强運動: 스스로 강해지려는 운동)을 말합니다.

 

書籍(서적)/글서,문서적

書(서)-○부수: 曰 ○풀이: 붓 율(聿) + 벼루/글 서(書)자는 붓(聿)과 벼루(日)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날 일(日)자는 해와 상관없이 그냥 벼루의 모습일 뿐입니다. 서방(書房)은 '공부하는 글(書) 방(房)'이란 뜻으로, 원래 아내가 남편을 부르는 말이었는데, 아내 집안의 손윗사람들이 남편을 부르는 말로 변했습니다. 옛 사람들은 부모가 만들어 준 이름을 다른 사람들이 부르는 것을 꺼려하였기 때문입니다. 중서성(中書省)은 '중앙(中)에서 글(書)을 쓰는 관청(省)'이란 뜻으로, 중국의 수, 당, 송, 원나라와 우리나라의 고려시대에 중앙(中央)에서 각종 정책과 제도, 황제의 명령 등을 글로 작성하여 올린다고 해서 중서성(中書省)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 백면서생(白:흰 백 面:낯 면 書:쓸 서 生:날 생) : "흰 얼굴의 글읽는 사람"이란 뜻으로, 글만 읽고 세상일에 어두운 사람.

籍(적)- ○부수: 竹○풀이: 대 죽(竹) + 쟁기 뢰(耒) + [옛 석(昔)→적]/서적(書籍), 부적(符籍) 등에 사용되는 문서 적(籍)자는 원래 대나무 죽간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후, '문서(文書)→서적(書籍)→호적(戶籍)→신분(身分)→등록(登錄)하다' 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신분이나 등록이란 뜻으로 쓰인 예로 국적(國籍), 호적(戶籍), 본적(本籍), 제적(除籍) 등.

 

建設(건설)/세울건,베풀설.

建(건)-○부수: 廴○풀이: 길게 걸을 인(廴) + 붓 율(聿)/건물(建物), 건축(建築), 건국(建國)등에 들어가는 세울 건(建)자는 길게 걸을 인(廴)자와 붓 율(聿)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사람이 걸어가듯이(廴) 붓(聿)을 세워서(建) 글을 쓰다'는 뜻입니다. 혹은 '도로(廴)를 건설(建設)하기 위해 붓(聿)으로 설계도를 그리다'에서 세울 건(建)자가 유래한다고도 합니다. 길게 걸을 인(廴)자는 '발과 길'을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건국대학교(建國大學校)는 '나라(國)를 세우는(建) 인재를 키우는 대학교(大學校)'입니다.

設(설)-○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창 수(殳)/베풀 설(設)자는 원래 '창(殳)이나 무기를 들고, 말(言)로 남에게 명령하여 일을 시키다'는 뜻에서, '만들다→설립(設立)하다→설치(設置)하다→진열(陳列)하다→베풀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설의법(設疑法)은 '의문(疑)을 설정하는(設) 수사법(法)'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사실에 대해 의문의 형식으로 표현하여 상대편이 스스로 판단하게 하는 수사법입니다. 예를 들어, "도둑질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까?" 등이 있습니다.

 

企業(기업)/꾀할기,업업.

企(기)-○부수: 人○풀이: 사람 인(人) + [그칠 지(止)→기]/꾀할 기(企)자는 원래 '사람(人)이 발(止)돋음하다'는 뜻이었으나, 이후, '발돋움하다→바라다→꾀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그칠 지(止)자는 사람 발의 상형입니다. 기획(企劃)은 '일을 꾀하여(企) 계획하다(劃)'는 뜻

기업(企業)은 '이익을 목적으로 사업을 꾀하고(企) 일(業)을 하는 회사'입니다.

業(업)-○부수: 木 ○풀이: 나무 목(木) + 플 무성할 착(丵)/어떤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인지 알 수 없지만, 어떤 일을 하는데 필요한 도구의 모습으로 짐작합니다.

 

美術(미술)/아름다울미,재주술

美(미)-○부수: 羊○풀이: 양 양(羊) + 큰 대(大)/아름다울 미(美)자는 '살찐(大) 양(羊)이 아름답다(美)'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상형문자를 보면 큰 사람(大)이 머리에 양(羊) 가죽을 쓰고 있는 모습입니다, 즉, '이렇게 장식한 모습 아름답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미학(美學)은 '아름다움(美)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學)'입니다. 미학에서는 어떤 사물이 아름답다고 할 때, 이러한 아름다움은 경험에서 나온 것인지, 아니면 태어날 때 부터 알고 있는 것인지, 또는 사람마다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 등등을 연구

術(술)-○부수: 行 ○풀이: 다닐 행(行) + [차조/삽주 출(朮)→술]/재주 술(術)은 '도로(行)를 만드는 기술(技術)이나 재주'를 뜻합니다. 기술(技術), 예술(藝術), 수술(手術), 미술(美術).

 

漢字(한자)/한수한,글자자.

漢(한)-○부수: 氵○풀이: 물 수(氵) + [진흙 근(堇)→한]/한수 한(漢)자는 한나라의 수도였던 장안(長安: 지금의 서안) 남서쪽에 위치하는 양자강의 지류입니다. 한(漢)자는 '한나라 한(漢)'자로도 사용됩니다. 우리나라 서울을 중국 사람들은 한성(漢城)이라고 하는데, '한강(漢)에 있는 성(城)'이란 뜻입니다. 중국에서는 한성(漢城) 대신 간체자인 한성(汉城)이라고 써야 알아봅니다.

字(자)-○부수: 宀 ○풀이: 집 면(宀) + [아들 자(子)]/글자 자(字)자는 원래 '집(宀)에서 아이(子)를 낳아 기르다'라는 뜻이었으나, 가차되어 글자나 문자(文字)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자전(字典)은 '글자(字)를 풀이해 놓은 책(典)'입니다. 사전(辭典)은 영어나 한글처럼 여러 개의 글자로 이루어진 낱말의 뜻을 풀이한 책이지만, 자전(字典)은 한자와 같이 한 글자로 된 글자의 뜻을 풀이한 책입니다.

 

景氣(경기)/볍경,가운기.

景(경)-○부수: 日○풀이: 날 일(日) + [서울 경(京)]/경복궁(景福宮), 경치(景致)에 들어가는 볕 경(景)자는 높은 건물(京) 위에 해(日)가 떠 있는 모습에서 '볕'이라는 뜻이 생겼입니다. 소리로 사용되는 서울 경(京)자는 높은 고(高)자와 마찬가지로 원래 높은 건물을 뜻하는 글자였는데, 높은 건물이 서울에 많다고 해서 서울이란 뜻이 생겼습니다. 볕 경(景)자는 볕이 비치는 '경치'라는 뜻도 있습니다. 관동팔경(關東八景)은 '대관령(關) 동(東)쪽에 있는 여덟(八) 가지 좋은 경치(景)'라는 뜻으로, 관동 지방의 8가지 명승지를 일컫습니다.

氣(기)-○부수: 米○풀이: 쌀 미(米) + [기운 기(气)]/기운 기(氣)자에 들어있는 기운 기(气)자는 아지랑이나 안개 등이 옆으로 깔려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이 글자가 가지고 있는 뜻을 살펴보면 '기운, 기백, 기세, 힘, 숨, 공기, 냄새, 바람, 기후, 날씨, 자연 현상, 기체' 등이 있습니다. 이 많은 낱말들의 공통점은, 분명히 무엇이 있기는 한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현대 과학으로 보면, 몸의 기운은 혈액 속의 혈당량에 비례하고, 힘은 근육의 수축으로 생기고, 기후는 공기의 온도로 결정되고, 기체는 분자가 자유롭게 운동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옛 사람들은 이런 과학적인 지식이 없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으나 느낄 수 있는 이런 것들을 통틀어 기(氣) 혹은 기운(氣運: 기의 움직임)이라고 불렀습니다. 이후 기(气)자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쌀 미(米)자를 추가하여 기운 기(氣)자를 만들었습니다. 쌀(米)로 만든 밥을 먹으면 기운이 생기기 때문에, 쌀에 기운(氣運)을 만드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기절(氣絶)은 '기(氣)가 끊어지다(絶)'는 뜻으로, 정신을 잃는 것을 말합니다.

 

妥結(타결)/온당할타,맺을결.

妥(타)-○부수: 女○풀이: 여자 녀(女) + 손톱 조(爪)/평온할 타(妥)자는 '약한 여자(女)는 남자의 손(爪)안에 있는 것이 평온하다'는 뜻입니다. 손(又)으로 생포한 여자(女)가 종(奴)이라는 종 노(奴)자와 비교되는 글자입니다. 타협(妥協)은 '평온해지도록(妥) 서로 협력하다(協)'.

結(결)-○부수: 糸○풀이: 실 사(糸) + [길할 길(吉)→결]/맺을 결(結)자는 '실(糸)이나 끈으로 묶어 매듭을 맺는다'는 뜻입니다. 이후, 매듭을 맺어 '끝내다, 마치다'는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결합(結合), 결속(結束), 결부(結付) 등에 나오는 결(結)자는 '잇다, 묶다, 맺다'는 뜻이고,결과(結果),결국(結局),결말(結末),결실(結實) 등에 나오는 결(結)자는 '마치다'는 뜻.

 

課程(과정)/과정과,길정.

課(과)-○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열매 과(果)]/매길 과(課)자는 원래 '말(言)로 농사지은 결과(果)에 대해 세금을 매기다'는 뜻입니다. 이후, '매기다→부과(賦課)하다→세금(稅金)→(세금을 매기기 위해 분류한) 과목(科目)→과정(科程)→부서(部署)'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과세(課稅)는 '세금(稅)을 매기다(課)'는 뜻입니다. 과외공부(課外工夫)는 '정해진 과정(課) 외(外)에 하는 공부(工夫)'입니다.

程(정)-○부수: 禾○풀이: 벼 화(禾) + [드릴 정(呈)]/길 정(程)자는 원래 '세금으로 낼 벼(禾)의 무게나 양을 헤아리다'는 뜻입니다. 이후, '헤아리다→일정한 분량→(헤아리는) 계량기→(계량하는) 규정→법칙→(법칙대로 따라가는) 길'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정도껏 먹어라'의 정도(程度)는 '어떤 일정한 분량(程)이나 한도(度)'이고, 이정표(里程標)는 '마을(里)까지 가는 길(程)을 안내하는 표(標)'입니다.

 

受賞(수상)/받을수.상줄상.

受(수)-○부수: 又○풀이: 손톱 조(爪) + 덮을 멱(冖) + 또 우(又)/받을 수(受)자는 '위의 손(爪)과 아래의 손(又) 어떤 물건(冖)을 주고받다'는 뜻입니다. 상형문자를 보면 이 물건의 모습이 배 주(舟)자와 닮아 있으나 간략화 되어 현재의 모습이됨. 여기에 손 수(扌)자를 다시 추가하면 줄 수(授)자가 . 두 글자의 모양과 뜻이 비슷하여 혼돈할 수 있는데, 줄 수(授)자가 획수가 '많으니 줄 것이 있다'고 암기하세요. 수수(授受)는 '주고(授) 받다

賞(상)-○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오히려 상(尙)]/금상(金賞), 대상(大賞), 상금(賞金), 상품(賞品), 입상(入賞) 등에 들어가는 상줄 상(賞)자는 '공을 세운 사람에게 재물(貝)을 주다'는 뜻입니다. 이후 '상주다→(상을 주며) 칭찬하다→(상을 받아) 즐기다'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관상식물(觀賞植物)은 '보고(觀) 즐기는(賞) 식물(植物)'이라는 뜻이고, 상춘곡(賞春曲)은 '봄(春)을 즐기는(賞) 노래(曲)'라는 뜻으로, 조선 성종 때 정극인이 만든 한국 최초의 가사(歌辭)입니다. 조선시대에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전라북도 태인에 은거한 정극인이 그 곳의 봄 경치를 읊은 것입니다.

 

交涉(교섭)/사귈교,건널섭

交(교)-○부수: 亠○풀이: 다리를 교차한 사람 모습/사귈 교(交)자는 다리를 꼬고 서 있는 사람(大)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양다리가 교차되어 있다'고 해서 원래 '교차하다'는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교차하다→주고 받다→오고 가다→사귀다'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교차(交叉), 주고 받는 교류(交流), 오고 가는 교통(交通), 사귀는 교제(交際) 등에 사용됩니다.

涉(섭)-○부수: 氵○풀이: 물 수(氵) + 걸음 보(步)/건널 섭(涉)자는 '물(氵)을 걸어서(步) 건너다'는 뜻입니다. 이후, '(물을) 건너다→(물 건너) 이르다→미치다→간섭(干涉)하다→교섭(交涉)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섭외(涉外)는 '외부(外)와 교섭(涉)한다'는 뜻입니다.

 

與論(여론)/더불여,논할론.

與(여)-○부수: 臼○풀이: 줄 여(与) + [마주들 여(舁)]/더불 여(與)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글자 중앙에 있는 글자가 어금니 아(牙)자의 모습입니다. 즉, '여러 명이 상아(象牙)를 마주 들고(舁) 건네주다'는 뜻입니다. 이후, '주다→(주면서) 돕다→(돕기 위해) 참여(參與)하다→더불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또, 글자의 모습도 어금니 아(牙)자가 여(与)자로 변했고, 이후 여(與)자는 간략하게 여(与)자로 사용되었습니다. 지금 중국 간체자나 약자로도 여(与)자가 사용됩니다.

論(론)-○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둥글 륜(侖)→론]/논할 론(論)자는 '말(言)로 책(侖)에 대해서 논하다'는 뜻입니다. 둥글 륜(侖)자는 책(冊)을 둥글게 말아 모아놓은(亼) 모습입니다. 사서삼경 중의 하나인 논어(論語)는 '토론(論)과 말씀(語)'이란 뜻으로,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전하는 책입니다. 책의 형식이 공자와 그 제자들이 토론(討論)한 내용과 공자가 남긴 말씀이 실려 있습니다. 그래서 책 이름이 논어가 되었습니다.

 

振興(진흥)/떨칠진,일흥.

振(진)-○부수: 扌○풀이: 손 수(扌) + [별 진(辰)]/진동(振動), 진폭(振幅), 공진(共振) 등에 사용되는 떨칠 진(振)자는 '손으로 떨치다'는 뜻입니다. 단진동(單振動)은 '단순한(單) 진동(振動)'으로, 물체가 진동을 할 때 위치 변화를 사인 또는 코사인 함수로 나타낼 수 있는 진동으로. 진동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진동입니다.

興(흥)-○부수: 八○풀이: 마주들 여(舁) + 같을 동(同)/일어날 흥(興)자는 '무거운 물건을 여러 사람이 같이(同) 마주 들고(舁)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흥부(興夫)는 '제비 다리 고쳐주고 크게 흥(興)한 사내(夫)'라는 뜻이고, 법흥왕(法興王)은 '법(法)을 흥(興)하게 한 왕(王)'이란 뜻으로, 신라 시대에 처음으로 법률을 반포한 왕입니다.

 

起案(기안)/일어날기,책상안

起(기)-○부수: 走○풀이: 달릴 주(走) + [몸 기(己)] /일어날 기(起)자는 '꿇어 앉아 있는 사람(己)이 달려가기(走) 위해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기중도설(起重圖說)은 '무거운(重) 물건을 일으켜(起) 세우는 방법을 그림(圖)으로 설명한(說) 책'으로, 조선시대의 실학자 정약용이 1792년에 지은 책입니다. 이 책에는 정약용이 만든 거중기(擧重機)의 그림이 실려 있습니다. 일어날 기(起)자는 '꿇어 앉아 있는 사람(己)이 달려가기(走) 위해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기상(起床)은 '평상(床), 즉 침대에서 일어나다(起)'는 뜻입니다.

案(안)-○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편안할 안(安)]/책상 안(案)자는 '편안하게(安) 앉아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나무(木)로 만든 물건이 책상이다'는 뜻입니다. 이후 '책상→책상에 앉아 만든 문서→안건(案件)→(새로운 안에 따라) 인도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방안(方案), 법안(法案), 안건(案件), 안내(案內) 등에 사용됩니다.

 

緊張(긴장)/긴할긴,베풀장.

緊(긴)-○부수: 糸○풀이: 실 사(糸) + [굳을 간(臤)→긴]/팽팽할 긴(緊)자는 '실(糸)이 굳은(臤) 것처럼 팽팽하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긴장(緊張), 긴급(緊急), 긴박(緊迫) 이란 말을 들으면 팽팽함이 느껴집니다.

張(장)-○부수: 弓○풀이: 활 궁(弓) + [길 장(長)]/베풀 장(張)자도 '활(弓)을 길게(長) 잡아당기다'는 뜻입니다. 이후 '당기다→넓히다→일을 벌이다→베풀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장력(張力)은 '잡아당기는(張) 힘(力)', 표면장력(表面張力)은 '액체의 표면을 이루는 분자들이 표면(表面)에서 서로 당기는(張) 힘(力)'입니다. ▶ 장삼이사(張:활줄 당길 장 三:석 삼 李:오얏나무 이 四:넷 사) : "장씨 3명과 이씨 4명"이란 뜻으로, 특별히 신분을 일컬을 정도가 못 되는 사람을 일컬음. 중국에서는 장씨와 이씨가 흔한 성씨임에서 유래.

 

年鑑(연감)/해년,거울감.

年(년)-○부수: 干○풀이: 벼 화(禾) + 사람 인(人)/해 년(秊)자는 사람(亻→千)이 벼(禾)를 이고 있는 모습으로, 가을에 벼(禾)를 수확하는 모습입니다. 추수를 하니까 한 해가 다 갔다라는 의미로 한 해를 의미합니다. 이 글자는 지금 거의 사용되지 않고, 대신 이 글자의 모습이 변하여 해 년(年)자가 되었습니다. 수확의 계절은 고대 사회에서 해를 계산하는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鑑(감)-○부수: 金○풀이: 쇠 금(金) + [볼 감(監)]/거울 감(鑑)자에 들어있는 볼 감(監)자는 사람(人)이 눈(臣)으로 그릇(皿) 속의 물에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는 모습으로, 원래 '거울'이라는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거울을) 보다'는 뜻으로 사용되자, 원래의 뜻을 살리기 위해 쇠 금(金)자가 추가되어 거울 감(鑑)자가 되었습니다. 유리가 없었던 옛날에는 금속면을 매끈하게 갈아서 거울을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명심보감(明心寶鑑)처럼 책 이름에 거울 감(鑑)자가 들어가는데, 이때는 '본보기'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감(寶鑑)은 '다른 사람이나 후세에 본보기(鑑)가 될 만한 귀중한(寶) 것을 적은 책'이란 뜻이 됩니다.

 

實錄(실록)/열매실,기록할록.

實(실)-○부수: 宀 ○풀이: 집 면(宀) + 꿸 관(貫)/열매 실(實)자는 원래 '집(宀)안에 있는 돈 꾸러미(貫)'라고 해서 재물이란 뜻을 가졌습니다. 꿸 관(貫)자는 조개를 줄에 꿴 모습인 꿸 관(毌)자에,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조개 패(貝)자가 추가 되었습니다. 옛날에는 돈(조개)을 줄에 꿰어 다녔기 때문입니다. 이후, '재물→열매→곡식이 익다→튼튼하다→참으로→실제로'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옛날에는 곡식이나 열매가 재물이었습니다. 과실(果實)은 '과일(果)의 열매(實)'이고 매실(梅實)은 '매화나무(梅) 열매(實)'입니다. 실학(實學)은 '백성들의 생활에 실제로(實) 도움을 주는 학문(學)'입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오랜 전쟁으로 백성들은 생활이 어려워졌지만, 당시의 유학자들은 이론만 중시하였습니다. 실학은 청나라에서 들어온 고증학과 서양의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 들여 백성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자는 학문입니다.

錄(록)-○부수: 金○풀이: 쇠 금(金) + [새길 록(彔)]/주(周)나라 때에는 쇠(金)로 만든 솥이나 종 등을 깎아(彔) 금석문자를 새겨 기록하였습니다.

기록할 록(錄)자는 '쇠(金)를 깎아(彔) 글을 새겨 기록하다'는 뜻입니다. 녹음(錄音)은 '소리(音)를 기록한다(錄)'는 뜻이고, 녹화(錄畵)는 '그림(畵)을 기록한다(錄)'는 뜻입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朝鮮) 왕조(王朝)의 역사적 사실(實)을 기록(錄)한 책'입니다.

 

音樂(음악)/소리음.노래악.

音(음)-○부수: 音○풀이: 입과 피리 모습/소리 음(音)자는 입(口)과 입에 물고 있는 나팔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상형문자를 보면 말씀 언(言)자와 거의 유사합니다. 둘 다 소리를 내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상형문자의 맨 위에 있는 -가 소리를 나타냅니다. 복음(福音)은 '복(福)을 주는 소리(音)'라는 뜻으로, 예수의 생애와 교훈을 기록한 신약성경을 말하며,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등이 있습니다. 관음보살(觀音菩薩) 혹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은 '세상(世)의 모든 소리(音)를 살펴보는(觀) 보살(菩薩)'로, 중생이 고통스러울 때 열심히 이 이름을 외면 도움을 받게 됩니다.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카메라 중의 하나인 캐논(CANON)의 원래 이름은 관음(觀音, 일본어로 Kwanon로 발음)입니다. 회사 창업자의 한명인 '요시다 고로'가 불교를 믿고 있었는데, 관음보살처럼 세상을 모두 살펴보고 그 모습을 담을 수 있는 카메라를 만들려는 생각이 담겨 있는 이름입니다.

樂(악)- ○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실을 매단 현악기/즐거울 락(樂)자는 원래 나무(木) 위에 실(幺幺)을 매어 만든 현악기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나중에 소리를 나타내는 백(白)자가 중간에 끼어들었습니다. 이후 '악기→노래→즐겁다→좋아하다' 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소리도 오락(娛樂)의 즐거울 락(樂) 이외에, 음악(音樂)의 노래 악(樂), 요산요수(樂山樂水)의 즐거울 요(樂) 등 모두 3가지가 있습니다. 요산요수(樂山樂水)는 '산(山)을 즐기고(樂) 물(水)을 즐기다(樂)'는 뜻으로, 자연을 사랑함을 일컫는 말입니다.

▶ 요산요수(樂:즐거울 요 山:뫼 산 樂:즐거울 요 水:물 수) : "산과 물을 즐긴다"라는 뜻으로, 자연을 사랑함을 일컬음.

 

哀悼(애도)/슬플애,슬플도

哀(애)-○부수: 口○풀이: [옷 의(衣)→애] + 입 구(口)/슬플 애(哀)자는 '입(口)으로 소리 내어 울 정도로 슬프다'는 뜻입니다. 옷 의(衣)자가 소리로 사용되었습니다. 애수(哀愁)는 '슬픈(哀) 근심(愁)'이란 뜻으로, 비비안 리와 로버트 테일러가 주연한 추억의 영화 제목이기도 합니다. 전쟁터로 떠난 남자의 전사 소식을 들은 여자는 생계를 위해 거리의 여자로 나서는데, 살아 돌아온 남자와 우연히 다시 만나는 가슴 아픈 러브스토리입니다. 원 제목은 워털루 브릿지(Waterloo Bridge)입니다.

悼(도)-○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忄) + [높을 탁(卓)→도]/마음으로 슬퍼하니까, 마음 심(忄)자가 들어 갑니다. 사도세자(思悼世子)

 

批准(비준)/비평할비,준할준.

批(비)-○부수: 扌○풀이: 손 수(扌) + [견줄 비(比)]/비평할 비(批)자는 원래 '손(扌)으로 치다'는 뜻입니다. 이후, '치다→때리다→(때려서) 바로잡다→비평(批評)하다'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비판(批判)은 '비평(批評)하여 판정(判定)하다'는 뜻입니다. 비난(批難)은 '비평하여(批) 나무라다(難)'는 뜻입니다. 어려울 난(難)자는 '나무라다'는 뜻도 있습니다.

准(준)-○부수: 冫○풀이: 얼음 빙(冫) + [새 추(隹)→준]

 

跳躍(도약)/뛸도,뛸약.

跳(도)-○부수: 足○풀이: 발 족(足) + [조짐 조(兆)→도]/발로 뛰니까, 발 족(足)자가 들어갑니다. 도약(跳躍)은 '뛰고(躍) 뛰다(跳)'는 뜻입니다.

躍(약)-○부수: 足○풀이: 발 족(足) + [꿩 적(翟)→약]/대약진운동(大躍進運動)은 '크게(大) 뛰어(躍) 나아가는(進) 운동(運動)'으로, 1958년에 모택동(毛澤東: 마오쩌둥)이 추진한 경제 성장 운동으로, '15년 내에 영국을 따라잡자'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당시 식량을 증산하기 위해 식량을 좀먹는 참새를 박멸하라는 모택동의 지시에 따라, 농민들이 빗자루를 들고 논두렁을 뛰어다니며 굉음을 질렀다고 합니다. 참새가 논밭에 앉지 못해 지쳐 떨어지면 죽인다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이 운동이 성공하여 참새가 박멸되자, 이번에는 해충들이 번성하였습니다. 해충을 잡아먹는 참새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해충으로 농작물은 다 죽게 되었고, 때마침 일어난 가뭄의 영향까지 가세하여 인류 역사상 최대의 아사자가 생겼습니다. 공식적인 집계로는 2천만 명 이상의 농촌인구가 굶어 죽었다고 합니다. 결국 중국 정부는 극비로 소련에 서한을 보내 '참새 20만 마리만 보내 달라'고 애원해야 했습니다.

 

謙虛(겸허)/겸손할겸,빌허.

謙(겸)-○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겸할 겸(兼)]/겸손할 겸(謙)자는 '말(言)을 할 때에는 겸손(謙遜)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겸허(謙虛)는 '겸손하고(謙) 자신을 비우다(虛)'는 뜻.

虛(허)-○부수: 丘○풀이: 언덕 구(丘) + [범 호(虍)→허]/허(虛)자는 범 호(虍)자 아래에 언덕 구(丘)자가 있는 모습으로, 원래 큰 언덕을 의미하였습니다. 큰 언덕은 사람이 없이 항상 비어있습니다고 해서 "비어 있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 허허실실(虛:빌 허 虛:빌 허 實:열매 실 實:열매 실 ) : 전쟁에서 적의 허(虛)를 찌르고 실(實)을 피하는 싸우는 전략

 

達辯(달변)/통달할달,말씀변.

達(달)-○부수: 辶○풀이: 갈 착(辶) + [어린양 달(羍)]/통달(通達)은 '막힘없이 환히 통하다'는 뜻입니다. 통달할 달(達)자는 원래 '어린양(羍)이 어미 배속에서 수월하게 나오다(辶)'는 뜻입니다. 이후, '나오다→도달(到達)하다→전달(傳達)하다→통(通)하다→통달(通達)하다' 등의 여러 가지 뜻이 생겼습니다. 어린양 달(羍)자의 모습이 조금 변했는데, 아랫부분은 양 양(羊)자입니다. 배달(配達), 발달(發達), 달성(達成) 등에 사용됩니다. 달인(達人)은 '학술과 기예에 통달한(達) 사람(人)'입니다.

辯(변)-○부수: 辛○풀이: 말씀 언(言) + [죄인 서로 송사할 변(辡)]/말잘할 변(辯)자는 '두 명의 죄인(辛)이 서로 소송하여(辡) 싸울 때 말(言)을 잘해야 이긴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매울 신(辛)자는 죄인에게 문신을 새기는 침을 본떠 만든 글자로 죄인이란 뜻도 있습니다. 변호사(辯護士)는 '말을 잘해(辯) 도와주는(護) 선비(士)'라는 뜻으로 재판에서 소송을 대행해 주는 사람입니다.

 

履歷(이력)/밟을리,지날력.

履(이)-○부수: 尸○풀이: 주검 시(尸) + 돌아올 복(復)/밟을 리(履)자는 글자의 모양이 여러 번 바뀌었는데, 최종적으로 '사람(尸)이 땅을 밟으며 돌아오다(復)'는 뜻으로 만들었습니다. 이후, '밟다→신→(신을) 신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여리박빙(如履薄氷)은 '얇은(薄) 얼음(氷)을 밟는(履) 것과 같이(如) 하라'이란 뜻으로, 처세에 극히 조심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는 '참외(瓜) 밭(田)에 신(履)을 들여놓지(納) 말라(不)'는 뜻으로, 참외 밭에서 신을 고쳐 신으면 혹시 남이 볼 때 참외를 도둑질하는 것으로 오해하니, '오해받기 쉬운 행동은 삼가하라'는 뜻입니다.

여리박빙(如:같을 여 履:밟을 리 薄:엷을 박 氷:얼음 빙) : "엷은 얼음을 밟는 것과 같이하라"이란 뜻으로, 처세에 극히 조심함을 이르는 말. 시경(詩經) 소아편(小雅篇)의 소민(小旻)이라는 시(詩)에 나오는 말로 모신(謀臣)이 군주의 측근에 있으면서 옛 법을 무시한 정치를 하고 있음을 개탄한 내용에서 유래.

歷(력)-○부수: 止○풀이: 그칠 지(止) + [厤]/지낼 력(歷)자에 들어가는 셀/책력 력(厤)자는 언덕(厂) 에 벼(禾)를 수확한 횟수를 하나 둘 그려 넣은 모습에서, 햇수를 세거나 책력(冊曆)이란 뜻이 생겼습니다. 지낼 력(歷)자는 '햇수를 세면서(厤) 지나가다(止)'는 뜻입니다. 역사(歷史)는 '지나간(歷) 과거를 손에 든 붓(史)으로 기록한 것'입니다. 역사 사(史)자는 손에 든 붓의 상형입니다.

稀薄(희박)/드물희,엷을박.

稀(희)-○부수: 禾○풀이: 벼 화(禾) + [바랄 희(希)]/드물 희(稀)자는 '벼(禾)를 드문드문 성기게 심었다'는 뜻입니다. 희귀(稀貴), 희미(稀微), 희박(稀薄), 희석(稀釋), 희소(稀少) 등에 사용됩니다. 고희(古稀)는 70세란 뜻으로,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 사람이 70세까지 사는 것은 예로부터 드물다)는 두보의 곡강시(曲江詩)에서 유래합니다.

▶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 : "사람이 70세까지 사는 것은 예로부터 드물다"라는 뜻으로, 두보(杜甫)의 곡강시(曲江詩)에서 유래

薄(박)-○부수: 艹○풀이: 풀 초(艹) + [펼 부(溥)→박]/얇을 박(薄)자는 '풀(艹)잎이 얇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이후, '얇다→적다'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미인박명(美人薄命)은 '아름다운(美) 여자(人)는 수명(命)이 적다(薄)'는 뜻입니다. 박리다매(薄利多賣)는 '이익(利)은 적지만(薄), 많이(多) 팔아(賣) 이문을 올리다'는 뜻입니다.

▶ 가인박명(佳:아름다울 가 人:사람 인 薄:엷을 박 命:목숨 명) : 아름다운여자는 명이 짧음

▶ 여리박빙(如:같을 여 履:밟을 리 薄:엷을 박 氷:얼음 빙) : "엷은 얼음을 밟는 것과 같이하라"이란 뜻으로, 처세에 극히 조심함을 이르는 말. 시경(詩經) 소아편(小雅篇)의 소민(小旻)이라는 시(詩)에 나오는 말로 모신(謀臣)이 군주의 측근에 있으면서 옛 법을 무시한 정치를 하고 있음을 개탄한 내용에서 유래.

 

到着(도착)/이를도,붙을착.

到(도)-○부수: 刂○풀이: 이를 지(至) + [칼 도(刂)]/도착(到着), 도달(到達)에 사용되는 이를 도(到)자는 뜻을 나타내는 이를 지(至)자에 소리를 나타내는 칼 도(刂)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칼 도(刂)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입니다.

着(착)-○부수: 目○풀이: /붙을 착(著)의 변형자로 양(羊)자와는 상관없는 글자입니다.

 

銘心(명심)/새길명,마음심.

銘(명)-○부수: 金○풀이: 쇠 금(金) + [이름 명(名)]/한자를 만들었던 은(殷)나라에서는 갑골(甲骨)에 글을 새겨 남겼지만, 이후 주(周)나라 때에는 쇠(金)로 만든 청동 그릇이나 종(鐘)에 글을 새겼습니다. 이러한 글자를 금석문자(金石文字)라고 합니다.

새길 명(銘)자는 '쇠(金)에다 이름(名)을 새기다'는 뜻입니다. 고구려 불상으로,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발견된,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은 '서기 537년인 연가(延嘉) 7년(七年)에 글을 새긴(銘) 금동(金銅)으로 만들어진 여래(如來)의 서(立) 있는 상(像)'입니다.

心(심)-○부수: 心/忄○풀이: 심장 모습/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을 보면, 춘추전국시대의 명의인 편작(扁鵲)이 뜻(志)은 강하나 기(氣)가 약한 사람과 기(氣)는 강하나 뜻(志)이 약한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 두 사람의 가슴을 갈라 심장을 바꾸어 놓으니, 두 사람은 집을 서로 바꾸어 찾아가고, 처자식도 바꾸어 알더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보듯이 고대 중국인들은 마음이 머리가 아니라 심장에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보면 가슴이 설레이고, 흥분되고 화가 나면 가슴이 벌렁거리고, 슬프거나 안타까운 것을 보면 가슴이 아프며, 두려우면 가슴이 뛰니까, 마음이 가슴에 있는 심장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한자에서 마음을 의미하는 마음 심(心)자는 심장(心臟)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拘束(구속)/잡을구,묶을속.

拘(구)-○부수: 扌○풀이: 손 수(扌) + [글귀 구(句)]/잡을 구(拘)자는 구금(拘禁), 구류(拘留), 구속(拘束) 등에 사용됩니다. 구류(拘留)는 '잡아서(拘) 일시 머무르게(留) 하다'는 뜻으로, 죄인을 1일~30일 미만의 기간 동안 교도소나 경찰서 유치장(留置場)에 가두어 놓는 일이나 형벌입니다. 구속(拘束)은 '잡아서(拘) 묵다(束)'는 뜻으로, 형사소송법상 구인(拘引)과 구금(拘禁)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구인(拘引)은 '잡아서(拘) 끌고(引) 가다'는 뜻으로, 피고인 또는 피의자를 법원이 신문하기 위하여 법원 기타 일정한 장소에 강제로 끌고 가는 일이고, 구금(拘禁)은 '잡아서(拘) 감금(禁)한다'는 뜻으로, 피고인 또는 피의자를 구치소나 교도소 따위에 가두어 신체의 자유를 구속하는 강제 처분입니다.

束(속)-○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입 구(口)/속박(束縛), 결속(結束), 단속(團束), 약속(約束)등에 사용되는 묶을 속(束)자는 나무(木) 중간이 끈(口)으로 묶여 있는 모습입니다.

 

模範(모범)/본뜰모,법범

模(모)-○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없을 막(莫)→모]/법 모(模)자는 원래 '나무(木)를 깎아 실제 모습을 똑같이 본뜨다'는 뜻의 글자입니다. 이후, '본뜨다→본보기→(본보기가 되는) 법'이란 뜻이 생겼습니다. 모형(模型), 모방(模倣), 모조품(模造品)은 '본뜨다'는 뜻으로 사용되었고, 모범(模範)은 본보기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모의(模擬)는 '모방(模倣)하여 흉내 내다(擬)'는 뜻입니다. 모의시험이나 모의고사는 실제의 시험에 대비하여 그것을 흉내 내어 쳐보는 시험입니다. 모의재판은 실제의 재판을 흉내 내어 해보는 재판입니다.

範(범)-○부수: 竹○풀이: 수레 차/거(車) + [법 범(笵)]/규범(規範)에 사용되는 법 범(範)자에 들어 있는 법 범(笵)자는 대 죽(竹)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넘칠 범(氾)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법(法)을 책(竹)에 기록한 데에서 법(法)이란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물 수(氵)자 대신 수레 차(車)자가 붙었는데, 옛날 높은 사람들이 밖에 나갈 때 수레로 개를 치여 바퀴에 피를 묻혀 액막이를 했는데, 이것을 범(範)이라 하였습니다. 하지만 범(笵)자의 원래 뜻이 살아나 법이란 뜻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본보기라는 뜻도 생겼는데, 모범(模範)이 그러한 사용의 예입니다.

 

拔擢(발탁)/뽑을발,뽑을탁.

拔(발)-○부수: 扌○풀이: 손 수(扌) + [달릴 발(犮)]/뺄 발(拔)자는 '손(扌)으로 빼다, 뽑다'는 뜻입니다. 견인불발(堅忍不拔)은 '굳게(堅) 참으며(忍) 뽑히지(拔) 않는다(不)는 뜻으로, 굳게 참고 견디며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 견인불발(堅:굳을 견 忍:참을 인 不:아닐 불 拔:뺄 발) : 굳게 참고 견뎌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

▶ 발산개세(拔:뺄 발 山:뫼 산 蓋:덮을 개 世:대 세) :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의 준말로 힘은 산을 뽑고 기상은 세상을 덮음이란 뜻. 전한시대(前漢時代) 역사학자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중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 말로, 초패왕(楚王) 항우(項羽)의 빼어난 힘과 기개(氣槪)를 표현한 말

擢(탁)-○부수: 扌○풀이: 손 수(扌) + [꿩 적(翟)→탁]/손으로 뽑으니까, 손 수(扌)자가 들어 갑니다.

 

氣分(기분)/기운기,나눌분.

氣(기)-○부수: 米○풀이: 쌀 미(米) + [기운 기(气)]/기운 기(氣)자에 들어있는 기운 기(气)자는 아지랑이나 안개 등이 옆으로 깔려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이 글자가 가지고 있는 뜻을 살펴보면 '기운, 기백, 기세, 힘, 숨, 공기, 냄새, 바람, 기후, 날씨, 자연 현상, 기체' 등이 있습니다. 이 많은 낱말들의 공통점은, 분명히 무엇이 있기는 한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현대 과학으로 보면, 몸의 기운은 혈액 속의 혈당량에 비례하고, 힘은 근육의 수축으로 생기고, 기후는 공기의 온도로 결정되고, 기체는 분자가 자유롭게 운동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옛 사람들은 이런 과학적인 지식이 없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으나 느낄 수 있는 이런 것들을 통틀어 기(氣) 혹은 기운(氣運: 기의 움직임)이라고 불렀습니다. 이후 기(气)자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쌀 미(米)자를 추가하여 기운 기(氣)자를 만들었습니다. 쌀(米)로 만든 밥을 먹으면 기운이 생기기 때문에, 쌀에 기운(氣運)을 만드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기절(氣絶)은 '기(氣)가 끊어지다(絶)'는 뜻으로, 정신을 잃는 것을 말합니다.

分(분)-○부수: 刀○풀이: 칼 도(刀) + 여덟 팔(八)/나눌 분(分)자에 들어있는 여덟 팔(八)자는 둘로 나누어져 있는 모습으로 원래 '나누다'는 뜻을 가지고 있었으나, 나중에 가차되어 여덟이란 뜻이 생기면서 원래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칼 도(刀)자가 추가 되었습니다. 고등학교 수학 시간에 배우는 미분(微分)은 '작게(微) 나누다(分)'는 뜻으로, 어떤 함수에서 아주 작은 구간을 나누어 이 구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수학이며, 반대로 적분(積分)은 '작게 나누어진(分) 것을 합쳐서 쌓다(積)'는 뜻으로, 어떤 함수에서 아주 작은 구간들을 합쳐서 쌓으면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수학입니다.

 

調査(조사)고를조,조사할사.

調(조)-○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두루 주(周)→조]/고를 조(調)자는 원래 '말(言) 소리를 고르게(周)하다'는 뜻입니다. '고르다→조율(調律)하다→(노래나 음악의) 가락'이란 뜻이 생겼습니다. 곡조(曲調)는 '가락(曲)과 가락(調)'이란 뜻이고, 시조(詩調)는 '시(詩)의 가락(調)' 혹은 '가락(調)이 있는 시(詩)'란 뜻입니다.

査(사)-○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또 차(且)→사]/조사할 사(査)자은 원래 '뗏목'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나중에 '조사히다'는 뜻으로 가차되었습니다. 범죄 수사(搜査)는 '찾아서(搜) 조사하다(査)'는 뜻이고, 감사(監査)는 '감시하고(監) 조사하다(査)'는 뜻으로, 회사나 국가에서 재산 상태 및 업무 수행을 제대로 하는지 살펴보거나 조사하는 일이나 사람을 의미합니다.

 

執筆(집필)/ 잡을집,붓필

執(집)-○부수: 幸○풀이: 다행 행(幸) + 알 환(丸)/잡을 집(執)자는 꿇어 앉아 있는 사람(丸)의 두 손에 수갑(幸)을 채운 형상으로, 죄인을 잡아 놓은 모습입니다. 여기에서 알 환(丸)자는 두 손을 앞으로 내밀고 꿇어 앉아 있는 사람의 모습입니다. 집정관(執政官)은 '정권(政權)을 잡고(執) 있는 관리(官)'로, 고대 로마 공화정 때에, 행정과 군사를 맡아보던 장관입니다. 고대 로마의 삼두정치(三頭政治)에서는 3명의 집정관이 로마를 다스렸습니다.

집권(執權)은 '권력(權)을 잡다(執)'는 뜻입니다.

筆(필)-○부수: 竹○풀이: 대 죽(竹) + 붓 율(聿)/붓 필(筆)자에 들어가는 붓 율(聿)자는 손(彐)으로 붓을 을 잡고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대나무 죽(竹)자가 추가되어 붓 필(筆)자가 되었습니다. 붓 필(筆)자의 간체자를 보면 붓이라는 느낌이 더욱 살아납니다. 간체자인 붓 필(笔)자는 '대나무(竹)에 털(毛)이 붙어 있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칠판에 글을 쓰는 분필(粉筆)은' 가루(粉)가 나는 붓(筆)'입니다. 필석(筆石)은 '분필(筆)로 사용할 수 있는 화석(石)'으로 고생대의 바다 속에 살던 풀잎처럼 생긴 동물의 화석. 빛이 희고 반짝이는 화석인데, 분필처럼 쓸 수 있어서 필석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지필고사(紙筆考査)는 '종이(紙)와 연필(筆)로 치는 고사(考査)'. 지필고사가 아닌 시험으로는 면접시험이나 실기시험이 있습니다. 필통(筆筒)은 원래 '붓(筆)을 꽂아 두는 대나무 통(筒)'이지만, 이제는 '연필(筆)을 넣어 두는 플라스틱 통(筒)'입니다.

 

覇權(패권)/으뜸패,권세권.

覇(패)-○부수: 雨○풀이: 비 우(雨) + [으뜸 패(䩗)]/비 우(雨)자가 들어 갑니다. 비 우(雨)자 대신 덮을 아(覀)자를 쓴 패(覇)자로 쓰기도 합니다.

權(권)-○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황새 관(雚)→권]/권세 권(權)자는 원래 '나무(木)로 만든 저울'을 뜻합니다. 이후, '저울→저울질하다→(저울의 한쪽이) 유리한 형세(形勢)→권세(權勢)' 등의 뜻이 추가되었습니다. 또, 때와 형편에 따라 저울질하는 데에서' 꾀하다'는 뜻도 생겼습니다.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을 권모술책이라고 하는데, 권모술책(權謀術策)에 나오는 4 글자는 모두 '꾀'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繁盛(번성)/번성할번,성할성

繁(번)- ○부수: 糸○풀이: 실 사(糸) + [재빠를 민(敏)→번]/번성(繁盛), 번영(繁榮) 등에 사용되는 번성할 번(繁)자는 원래 말의 갈기에 붙이는 장식인데, '장식이 많다'는 뜻에서 '번성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盛(성)-○부수: 皿○풀이: 그릇 명(皿) + [이룰 성(成)]/성할 성(盛)자는 '그릇(皿)이 완성되다(成)'는 뜻에서 '성하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豫約(예약)/미리예,맺을약

豫(예)-○부수: 豕○풀이: 코끼리 상(象) + [나/줄 여(予)→예]/코끼리는 의심이 많은 동물이어서 행동 전에 미리 생각을 해 본다고 해서, 미리 예(豫)자에는 코끼리 상(象)자가 들어갑니다. 또, '바로 행동하지 않고 머뭇거리다'는 뜻도 있습니다. 예언(豫言), 예감(豫感), 예상(豫想), 예산(豫算) 등에 사용되는 예(豫)자는'미리'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집행유예, 기소유예 등에 사용되는 유예(猶豫)는'머뭇거리고(猶) 머뭇거린다(豫)'는 뜻으로,' 망설이며 실행하지 않고 시일을 늦추다'는 뜻입니다.

約(약)-○부수: 糸○풀이: 실 사(糸) + [구기/잔 작(勺)→약]/맺을 약(約)자도, 맺을 결(結)자와 마찬가지로 '실(糸)이나 끈으로 묶어 매듭을 맺다'는 뜻입니다. 이후, 실로 단단히 묶듯이 굳게 '약속하다'는 뜻도 생겼습니다. 결혼(結婚)은 '혼인(婚)으로 남녀 두 사람을 묶는다(結)'는 뜻이지만 약혼(約婚)은 '결혼(結婚)은 약속(約束)하다'는 뜻입니다.

 

寶庫(보고)/보배보,곳집고.

寶(보)-○부수: 宀○풀이: 집 면(宀) + 구슬 옥(玉) + [장군 부(缶)→보] + 조개 패(貝)/보배 보(寶)자는 '집(宀) 안에 있는 옥(玉/王)과 돈(貝)이 보배이다'는 뜻입니다. 상평통보(常平通寶)는 '항상(常) 고르게(平) 통용되는(通) 보배(寶)'라는 뜻으로, 조선시대의 화폐입니다.

중국식당에서 먹는 팔보채(八寶菜)는 '여덟(八) 가지 보배(寶)와 같은 재료를 넣어 만든 채소(菜) 요리'로, 해삼, 새우, 오징어, 죽순, 돼지고기 등 8가지 진귀한 재료를 넣어 만든 채소요리입니다. 국보(國寶)는 나라'(國)의 보배(寶)'입니다.

庫(고)-○부수: 广○풀이: 집 엄(广) + [수레 차/거(車)→고]/곳집 고(庫)자는 '수레(車)를 넣어 두는 집(广)이 곳집 혹은 창고(倉庫)'라는 의미입니다. 곳집은 곳간이나 창고를 말하며, '고(庫) + 사이시옷(ㅅ) + 집'이 합쳐진 글자입니다. 국고(國庫)는 '나라(國)의 창고(庫)'로, 국가에서 사용하는 돈의 수입과 지출을 담당하기 위하여 한국은행에 설치한 예금 계정입니다. 재고품(在庫品)은 '창고(庫)에 있는(在) 물건(品)'으로, 새로 만든 물건이 아니고 전에 만들어 창고에 쌓아 놓은 물건. 냉장고(冷藏庫)는 '차게(冷) 저장(藏)해두는 창고(庫)'

 

協議(협의)/화합할협,의논할의.

協(협)-○부수: 十○풀이: 열 십(十) + [힘을 합할 협(劦)]/도울 협(協)자에 들어있는 힘을 합할 협(劦)자는 '여러 개의 힘(力力力)을 합하다'는 뜻입니다. 나중에 뜻을 강조하기 위해 '많다'는 뜻의 열 십(十)자를 추가하였습니다. 이후 '힘을 합하다→협력(協力)하다→화합하다→돕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협주곡(協奏曲)은 '독주와 관현악이 협력하여(協) 연주하는(奏) 곡(曲)'으로,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등 독주(獨奏) 악기와 관현악(管絃樂)의 합주(合奏)를 말합니다. 독주 악기에 따라 피아노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첼로 협주곡 이라고 합니다. 영어로 콘체르토(concerto)입니다.

議(의)-○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옳을 의(義)]/의논할 의(議)자는 '말(言)로 옳은지(義) 의논(議論)하다'는 뜻입니다. 의정부(議政府)는 '정사(政)를 의논(議)하는 관청(府)'으로, 조선시대 최고의 행정기관으로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등 3정승(三政丞)이 의정부에 소속되어 있었습니다. 의정서(議定書)는 '의논(議)하여 정(定)한 글(書)'로, 외교적인 회의에서 의논하여 결정한 사항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奉仕(봉사)/받들봉,섬길사

奉(봉)-○부수: 大○풀이: 큰 대(大) + 손맞잡을 공(廾) + [우거질 봉(丰)]/받들 봉(奉)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두 손(廾)으로 어떤 물건을 받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후 글자 아래에 손 수(手/扌)자가 추가되어 세 손으로 받드는 모습입니다. 또, 어떤 물건은 소리를 나타내는 우거질 봉(丰)자로 변했습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다시 손 수(手/扌)자를 추가하여 받들 봉(捧)자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글자에는 모두 4개의 손이 들어있습니다. 봉사(奉仕)는 '받들고(奉) 섬기다(仕)'는 뜻으로, 국가나 남을 위하여 열심히 일하는 것입니다.

仕(사)-○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선비 사(士)]/벼슬할 사(仕)자는 '선비인 사람(亻)이 벼슬을 하다'는 뜻입니다. 또, '벼슬을 하여 임금을 섬기다'는 뜻도 있습니다. 봉사(奉仕)는 '받들어(奉) 섬기다(仕)'는 뜻입니다.

 

去來(거래)/갈거,올래

去(거)-○부수: 土○풀이: 흙 토(土) + 나 사(厶)/갈 거(去)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큰 사람(大)의 다리 사이에 입 구(口)자가 그려져 있습니다. 입 구(口)자가 무었을 의미하는지는 아직도 논란이 많은데, 입 구(口)자가 구멍이나 들락날락하는 출입구(出入口)라는 뜻으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아마도 사람의 항문을 표시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갈 거(去)자는 원래 '버리다'는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버리다→내쫓다→물리치다→피하다→가다→과거(過去)'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來(래)-○부수: 人○풀이: 보리 이삭 모습/올 래(來)자는 원래 익은 보리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보리(來)가 외부(중앙아시아)에서 중국에 들어온 식물이라 '오다'는 뜻으로 쓰이자, 원래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보리는 뿌리가 매우 길기 때문에, 뿌리 모습(夂)을 추가하여 보리 맥(麥)자를 만들었습니다. 맥아(麥芽)는 '보리(麥)에 물을 뿌려 싹(芽)이 트게 한 다음에 말린 것'으로, 녹말을 당분으로 바꾸는 효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식혜나 엿을 만드는 데에 쓰고, '엿기름'이라고도 합니다. 또한 맥주(麥酒)는 '보리(麥)를 발효시켜 만든 술(酒)'입니다.

 

指彈(지탄)/가르킬지,탄알탄.

指(지)-○부수: 扌○풀이: 손 수(扌) + [뜻/맛있을 지(旨)]/손가락 지(指)자는 '손(扌)에 손가락이 있다'는 뜻입니다. 이후, '손가락→가리키다→지시(指示)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십이지장(十二指腸)은 '12(十二)개의 손가락(指) 마디 길이의 창자(腸)'로, 위와 작은창자 사이에 있으며. 길이는 25~30cm입니다. 지수(指數)는 '거듭 제곱 횟수를 가리키는(指) 수(數)'로, 어떤 수나 문자의 오른쪽 위에 덧붙여 씁니다.

彈(탄)-○부수: 弓○풀이: 활 궁(弓) + [홑 단(單)→탄]/탄알 탄(彈)자에 들어가는 홑 단(單)자는 줄 양끝에 돌을 매어 던져 짐승이나 사람을 줄에 감아 산채로 잡는 무기의 일종으로 추정합니다. 따라서 궁(弓)자와 단(單)자가 모두 전쟁이나 사냥에서 사용된 무기입니다. 탄알 탄(彈)자는 원래 탄알을 쏘는 활이란 뜻에서 '(탄알을 쏘는) 활→(탄알을) 쏘다→탄알→(탄알을) 튕기다→치다'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총탄(銃彈), 폭탄(爆彈), 탄약(彈藥)에서는 탄알이란 뜻으로 사용되지만, 탄력(彈力), 탄성(彈性)에서는 '튕기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革新(혁신)/가죽혁,새신.

革(혁)-○부수: 革○풀이: 펼쳐 놓은 가죽 모습/가죽 혁(革)자는 짐승의 껍질을 벗겨 응달에서 말리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글자의 위로부터, 머리, 앞발, 뒷발, 꼬리의 모습입니다. 혁대(革帶)는 가죽으로 만든 띠입니다.

新(신)-○부수: 斤○풀이: 도끼 근(斤) + 나무 목(木) + [매울 신(辛)]/새로울 신(新)자는 '도끼(斤)로 나무(木)를 쪼갠 자리가 깨끗하고 새롭다'는 뜻입니다. '새로운(新) 백성(民)의 모임(會)'이란 뜻의 신민회(新民會)는 1907년에 안창호가 국권 회복을 목적으로 조직한 항일 비밀 결사 단체입니다. 1910년에 데라우치(寺內) 총독 암살 모의 사건으로 많은 회원이 투옥됨으로써 해체되었습니다. 신생대(新生代)는 '새로운(新) 생물(生)이 살았던 시대(代)'라는 뜻으로, 현재 살고 있는 포유류, 조류, 어류 등이 번성하는 시대입니다. 지질시대에서 가장 새로운 생물(生物)이 살고 있다고 해서 신생대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신생대는 3기와 4기로 나누어집니다. 원래 1기와 2기가 있었으나, 1기는 중생대 말기로, 2기는 신생대 3기로 포함되면서 사라졌습니다.

 

瓦解(와해)/기와와,풀해

瓦(와)-○부수: 瓦○풀이: 기와 모습/기와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解(해)-○부수: 角○풀이: 뿔 각(角) + 칼 도(刀) + 소 우(牛)/풀 해(解)자는 원래 '소(牛)에서 칼(刀)로 뿔(角)을 자르다'는 뜻입니다. 이후, '자르다→분할(分割)하다→분해(分解)하다→풀다→풀이하다' 등의 뜻이 생겼다. 가수분해(加水分解)는 '물(水)을 더하면(加) 분해(分解)되는 반응'으로, 사람의 소화기 내에서 음식이 소화되는 과정(녹말→포도당)이 대표적인 예.

 

取消(취소)/가질취,사라질소.

取(취)-○부수: 耳○풀이: 귀 이(耳) + 또 우(又)/옛날에는 전쟁에서 자신이 죽인 적의 귀를 가져오면, 귀의 숫자에 따라 상을 주었습니다. 가질 취(取)자는 '적군의 귀(耳)를 잘라서 손(耳)으로 가지다'는 뜻입니다. 취사선택(取捨選擇)은 '가질 것은 가지고(取), 버릴 것은 버려서(捨) 선택(選擇)한다'는 뜻입니다.

消(소)-○부수: 氵○풀이: 물 수(氵) + [쇠약할 소(肖)]/사라질 소(消)자에 들어있는 쇠할 소(肖)자는 고기 육(肉/月)자와 작을 소(小)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살(肉/月)이 빠져(小) 기운이 쇠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물(氵)도 그냥 두면 증발하여 점점 작아져(肖) 사라진다(消)'는 뜻입니다. 소화(消化)는 '몸속에 들어온 음식물이 변화(化)하여 사라진다(消)'는 뜻입니다. 소화기(消火器)는 '불(火)을 사라지게(消) 하는 기구(器具)'입니다.

 

召命(소명)/부를소,목숨명.

召(소)-○부수: 口○풀이: 입 구(口) + [칼 도(刀)→소]/부를 소(召)자는 '입(口)으로 사람을 부르다'는 뜻입니다. 칼 도(刀)자가 소리로 사용. 국민소환제(國民召還制)는 '잘못하는 정치인을 국민(國民)들이 불러서(召) 돌아오게(還) 하는 제도(制)'로, 선거로 선출된 정치인이 잘못된 정치를 하는 경우, 임기가 끝나기 전에 국민 투표에 의하여 파면시키는 제도.

▶ 원화소복(遠:멀 원 禍:재화 화 召:부를 소 福:복 복) :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命(명)-○부수: 口○풀이: 입 구(口) + 亼 + 병부 절(卩)/목숨 명(命)자는 '지붕(亼) 아래에서 무릎을 꿇어 앉아 있는 사람(卩)에게 누군가가 입(口)으로 명령(命令)하다'는 뜻입니다. 옛날에는 명령을 하는 사람이 명령의 받는 사람의 목숨을 마음대로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목숨'이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지천명(知天命)은 '하늘(天)의 명령(命)을 아는(知) 나이'로, 쉰 살을 이르는 말입니다.

追擊(추격)/쫓을추.칠격.

追(추)-○부수: 辶○풀이: 갈 착(辶) + [언덕 부(阜)→추]/장수 수(帥)자와 스승 사(師)자 외에도 벼슬 관(官)자와 쫓을 추(追)자도 모양이 변한 언덕 부(阜)자가 들어갑니다. 추적(追跡), 추격(追擊), 추월(追越) 등에 사용되는 쫓을 추(追)자는 원래 '언덕(阜) 위의 적을 쫓아 거슬러 올라가다(辶)'는 뜻입니다. 언덕 부(阜)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입니다. 추가경정예산(追加更正豫算)은 '추가(追加)로 고쳐서(更) 바르게(正) 만든 예산(豫算)'이란 뜻으로, 예산이 정하여진 뒤에 생긴 사유로 말미암아 이미 정한 예산을 변경하여 만든 예산입니다. 줄여서 추경예산이라고 합니다.

擊(격)-○부수: 手○풀이: 손 수(手) + [수레부딪칠 격(毄)]/칠 격(擊)자는 '손(手)을 부딪쳐(毄) 치다'는 뜻입니다. 격파(擊破)는 '쳐서(擊) 깨뜨리다(破)'는 뜻이고, 성동격서(聲東擊西)는 '동(東)쪽에서 소리(聲)를 내고 서(西)쪽에서 적을 치다(擊)'는 뜻으로, 적을 유인하여 이쪽을 공격하는 체하다가 그 반대쪽을 치는 전술을 이르는 말입니다. 격구(擊毬)는 '공(毬)을 치는(擊) 경기'로, 말을 타거나 걸어 다니면서 공채로 공을 치던 운동입니다. 격구는 원래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당나라를 거쳐 7세기경 우리나라에 들어왔습니다. 고려·조선 시대에는 무예의 한 과목으로 인정하여 크게 성행하였고 여자들까지 했다고 합니다.

 

嚴肅(엄숙)/엄할엄,엄숙할숙.

嚴(엄)-○부수: 口○풀이: 입 구(口) + 입 구(口) + 기슭 엄(厂) + [감히 감(敢)→엄]/엄격(嚴格), 엄명(嚴命), 엄밀(嚴密), 엄선(嚴選), 엄숙(嚴肅), 위엄(威嚴), 존엄(尊嚴) 등에 들어가는 엄할 엄(嚴)자는 '언덕(厂)에서 광석(口,口)을 캐내는 일은 감히(敢) 하기 힘들고 엄하다'는 뜻입니다. 계엄(戒嚴)은 '경계(戒)를 엄(嚴)하게 하다'는 뜻으로, 전시나 사변 등 비상 사태를 당하여, 일정한 지역을 군인들이 경계하게하고 그 지역의 행정권과 사법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군대가 맡아 다스리게 하는 일입니다.

肅(숙)-○부수: 聿○풀이: 고슴도치머리 계(彐)/엄숙(嚴肅), 정숙(靜肅)에 사용되는 엄숙할 숙(肅)자는 손으로 붓(聿)을 들고 무언가를 그리는 모습입니다.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엄숙한 분위기에서 하고 있어서 '엄숙하다'는 의미가 생긴 것 같습니다. 숙정문(肅靖門)은 '엄숙(肅)하고 편안한(靖) 문(門)'이란 뜻으로, 조선시대 서울 4대문 중의 하나인 북대문입니다. 동서남북(東西南北) 사대문의 이름에는 각각 인의예지(仁義禮智)에서 한 글자씩을 넣었습니다. 즉, 동대문은 흥인지문(興仁之門: 仁이 크게 일어나는 문), 서대문은 돈의문(敦義門: 義를 도탑게 하는 문), 남대문은 숭례문(崇禮門: 禮를 숭상하는 문), 북대문은 홍지문(弘智門: 智를 크게 하는 문)으로 지었습니다. 그런데 북대문의 이름에 지혜로움을 의미하는 '지(智)'가 들어가면 백성이 지혜로워져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 어려워진다 하여 '홍지문(弘智門)→숙청문(肅淸門)→숙정문(肅靖門)'으로 바뀌었습니다.

 

成功(성공)/이룰성,공공

成(성)-○부수: 戈○풀이: 개 술(戌) + 뚫을 곤(丨)/이룰 성(成)자는 넓은 도끼날이 붙은 창(戌) 안에 ㅣ가 추가된 글자입니다.ㅣ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도끼날이 붙은 창(戌)으로 적을 평정하여 원하는 바를 이루다'는 뜻입니다. 참고로, 이룰 성(成)자를 무(戊)자에 소리를 나타내는 정(丁)자가 합쳐진 형성문자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형문자를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성공(成功)은 '공(功)을 이루다(成)'는 뜻이고, 변성암(變成岩)은 '성질이 변하여(變) 이루어진(成) 바위(岩)'입니다. 이룰 성(成)자의 획수는 6획이냐 7획이냐 논란의 대상이 됩니다. 戌이 6획이고 ㅣ가 1획이면 총 7획이 됩니다. 하지만 戊(5획)에 ┐(1획)을 덧붙이면 6획이 됩니다. 옛날에는 7획으로 썼으나, 최근에는 글자 쓰기의 편리성으로 6획으로 씁니다. 따라서 책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적으로, 이룰 성(成)자를 창이 상형인 다섯째 천간 무(戊)자에 소리를 나타내는 넷째 천간 정(丁)자가 합쳐진 형성자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형문자를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功(공)-○부수: 力○풀이: 힘 력(力) + [장인 공(工)]/공 공(功)자는 '힘써(力) 싸워 공(功)을 세우다'는 뜻입니다. 공신전(功臣田)은 '공(功)을 세운 신하(臣)에게 지급한 밭(田)'으로, 조선시대에, 공(功)을 세운 사람에게 지급한 토지로, 세습이 되었습니다.

 

興行(흥행)/일흥,다닐행

興(흥)-○부수: 八○풀이: 마주들 여(舁) + 같을 동(同)/일어날 흥(興)자는 '무거운 물건을 여러 사람이 같이(同) 마주 들고(舁)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흥부(興夫)는 '제비 다리 고쳐주고 크게 흥(興)한 사내(夫)'라는 뜻이고, 법흥왕(法興王)은 '법(法)을 흥(興)하게 한 왕(王)'이란 뜻으로, 신라 시대에 처음으로 법률을 반포한 왕입니다.

行(행)-○부수: 行○풀이: 사거리 모습/다닐 행(行)은 마차가 다니는 넓은 두 개의 길이 직각으로 만나는 사거리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따라서 행(行)자가 들어가는 글자는 대부분 수레(車)가 다니는 넓은 길과 관련 있습니다. 또 다닐 행(行)자가 다른 글자와 만나면, 거리 가(街), 재주 술(術)자와 같이 다른 글자가 행(行)자의 중간에 들어가는 점이 특이합니다. 나중에는 다닐 행(行)자가 차지하는 자리를 줄이기 위해 반으로 나누어진 걸을 척(彳)자가 탄생되어, 다닐 행(行)자보다 더 많이 사용.수성이나 금성과 같은 행성(行星)은 '움직여 다니는(行) 별(星)'이고, 태양이나 북극성과 같은 항성(恒星)은 '위치가 항상(恒) 일정한 별(星)'입니다.

 

認許(인허)/알인,허락할허.

認(인)-○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참을 인(忍)]/인식(認識), 확인(確認), 인정(認定), 오인(誤認), 승인(承認) 등에 사용되는 알 인(認)자는 '말(言)을 해서 알다'는 뜻입니다. 이후, '알다→인식(認識)하다→인정(認定)하다' 등의 뜻도 생겼습니다. 공인중계사, 공인기록 등의 공인(公認)은 '국가나 공공 단체에서 공식적으로(公) 인정하여(認) 증명한 것'입니다.

許(허)-○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낮 오(午)→허]/허가(許可), 허락(許諾), 특허(特許), 면허(免許) 등에 사용되는 허락할 허(許)자는 '말(言)로 허락(許諾)하다'는 뜻입니다. 허(許)자는 우리나라의 성씨로도 사용됩니다. 허생전(許生傳)은 '허(許)씨 성을 가진 생원(生員)의 전기(傳記)'로, 조선 영정조 때의 실학자인 연암 박지원(朴趾源, 1737~1805년)의 한문소설로써,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실려 있습니다. 생원(生員)은 조선 시대의 과거 시험 중 하나인 생원과에 합격한 사람으로, 지방에서 하급 벼슬을 하거나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주었습니다.

 

基金(기금)/터기,쇠금.

基(기)-○부수: 土○풀이: 흙 토(土) + [그 기(其)] /터 기(基)자도 땅위의 터를 의미합니다. 군사기지, 우주기지, 남극기지 등에 나오는 기지(基地)는 '터(基)가 되는 땅(地)'이란 뜻으로, 군대나 탐험대 따위의 활동의 기점이 되는 근거지를 의미합니다.

金(금)-○부수: 金○풀이: 거푸집 모습/한자를 만들었던 BC 1300년경의 은(殷)나라는 청동기 시대입니다. 그 당시에는 철이 없었기 때문에 무기나 생활 도구를 만드는데 청동을 사용하였습니다. 또, 청동은 매우 귀해 청동으로 만든 솥은 왕이나 귀족들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한자를 처음 만들 당시 쇠 금(金)자는, 쇠가 아닌 청동이나 금속을 의미.

철은 옛 서아시아의 히타이트 제국에서 발달하여, BC 4세기 초인 전국시대(戰國時代, BC 403~221년)에 중국에 들어왔고, 전한시대(前漢時代, BC 202~25년)에 널리 보급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한(漢)나라 때부터 금속을 만드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철(鐵)이나 금(金), 은(銀), 동(銅), 아연(亞鉛)과 같은 용어로 금속을 구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또 이때부터 쇠 금(金)자가 금속 중에 가장 값어치가 높은 금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쇠 금(金)자는 쇳물이 뚝뚝 떨어지고 있는 거푸집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거푸집은 금속을 녹여 부어서 뭔가를 만들 때 사용하는 모형으로, 쇠에 녹지 않는 가는 모래나 흙으로 만듭니다. 쇠 금(金)자는 금속의 종류나 금속으로 만든 물건을 의미하는 글자에 들어갑니다.

 

遵法(준법)/ 쫒을준,법법.

遵(준)-○부수: 辶○풀이: 갈 착(辶) + [높을 존(尊)→준]/준수(遵守), 준법(遵法) 등에 들어가는 쫓을 준(遵)자는 '높은(尊) 사람을 따르거나 쫓아가다(辶)'는 뜻입니다.

法(법)-○부수: 氵○풀이: 물 수(氵) + [갈 거(去)→법]/법 법(法)자는 '법은 물(氵) 흘러가듯이(去) 자연의 법칙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법치국가(法治國家)는 '법(法)에 따라 다스리는(治) 국가(國家)'입니다. 법인(法人)은 '법(法)에 의하여 사람(人)과 동일한 권리나 자격을 가진 단체나 재산'입니다. 예를 들어, 누가 학교의 유리창을 깨면 학교는 유리창을 깬 사람을 상대로 소송이 가능한데, 이 경우 학교는 법인이 되어 사람과 똑같은 법적 권리와 자격을 갖습니다. 회사, 학교, 비영리 단체 등은 대부분 법인입니다. 법인에 대하여 일반적인 사람을 자연인(自然人)이라고 합니다.

 

策略(책략)/꾀책,간략할략(약)

策(책)-○부수: 竹○풀이: 대 죽(竹) + [가시나무 자(朿)→책]/꾀 책(策)자는 원래 죄인들을 때리는데 사용한 대쪽(竹)이나 가시나무(朿)로 만든 채찍을 이르는 말이었습니다. 이후 '채찍→대쪽→(대로 만든) 책→(대로 만든) 산가지→(숫자를) 헤아리다→예측하다→꾀, 계책(計策)' 등의 많은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책려(策勵)는 '채찍질(策)하여 독려(督勵)한다'는 뜻이고, 책사(策士)는 제갈공명같이 '책략(策略)을 잘 쓰는 선비(士)'를 이릅니다. 전국책(戰國策)은 '전국(戰國)시대의 책략(策)'이란 뜻으로, 중국 한나라의 유향이 전국시대 전략가들의 책략을 편집한 책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중에서도 전국(戰國)시대는 말 그대로 중국역사 상 국가(國家) 간의 전쟁(戰爭)이 가장 많았던 시절이었고, 살아남기 위해 많은 책략들이 성행했던 시절입니다.

略(략)-○부수: 田○풀이: 밭 전(田) + [각각 각(各)→략]/간략할 략(略)자는 원래 '밭(田)을 다스려 경작하다'는 뜻이었으나, 나중에 노략질할 략(略), 꾀 략(略) 등의 의미가 추가되었습니다. 약도(略圖)는 '간략한(略) 지도(圖)', 약취(略取)는 '노략질하며(略) 가진다(取)', 전략(戰略)은 '전쟁(戰)의 계략(略)'을 뜻합니다

 

嚴格(엄격)/엄할엄,격식격

嚴(엄)-○부수: 口○풀이: 입 구(口) + 입 구(口) + 기슭 엄(厂) + [감히 감(敢)→엄]/엄격(嚴格), 엄명(嚴命), 엄밀(嚴密), 엄선(嚴選), 엄숙(嚴肅), 위엄(威嚴), 존엄(尊嚴) 등에 들어가는 엄할 엄(嚴)자는 '언덕(厂)에서 광석(口,口)을 캐내는 일은 감히(敢) 하기 힘들고 엄하다'는 뜻입니다. 계엄(戒嚴)은 '경계(戒)를 엄(嚴)하게 하다'는 뜻으로, 전시나 사변 등 비상 사태를 당하여, 일정한 지역을 군인들이 경계하게하고 그 지역의 행정권과 사법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군대가 맡아 다스리게 하는 일입니다.

格(격)-○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각각 각(各)→격]/격식 격(格)자는 원래 '나무로 만든 책시렁(선반)이나 나무의 가지'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나중에 격식(格式 )이라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격식(格式)은 '격(格)에 맞는 일정한 방식(式)'입니다.

▶ 격물치지(格:격식 격 物:만물 물 致:보낼 치 知:알 지) :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에 나오는 말로서, 사물의 이치를 규명하여 자기의 지식을 확고하게 하는 것.

 

推論(추론)/밀추,논할론.

推(추)-○부수: 扌○풀이: 손 수(扌) + [새 추(隹)]/밀 추(推)자는 '손으로 밀다'는 뜻으로, 밀 퇴(推)자로도 사용됩니다. 추진력(推進力)은 '밀어서(推) 나아가게(進) 하는 힘(力)'입니다. 퇴고(推敲)는 원래 '밀고(推) 두드린다(敲)'는 뜻이지만, '글을 여러 번 고침'을 이르는 말이 되었습니다. 당나라의 시인이자 스님인 가도(賈島)는 어느 날 밤에 길을 가다 지은 시 중에서 '조숙지변수 승고월하문(鳥宿池邊樹 僧敲月下門) - 새(鳥)는 못(池) 주변(邊)의 나무(樹)에서 잠자고(宿), 스님(僧)은 달(月) 아래(下)에서 문(門)을 두드린다(敲)'이란 구절에서, '문을 두드린다(敲)'와 '문을 민다(推)' 중 어느 것이 더 좋은지 고민하면서 글을 고친 데에서 생긴 말입니다.

論(론)-○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둥글 륜(侖)→론]/논할 론(論)자는 '말(言)로 책(侖)에 대해서 논하다'는 뜻입니다. 둥글 륜(侖)자는 책(冊)을 둥글게 말아 모아놓은(亼) 모습입니다. 사서삼경 중의 하나인 논어(論語)는 '토론(論)과 말씀(語)'이란 뜻으로,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전하는 책입니다. 책의 형식이 공자와 그 제자들이 토론(討論)한 내용과 공자가 남긴 말씀이 실려 있습니다. 그래서 책 이름이 논어가 되었습니다.

 

惹起(야기)/이끌야,일어날기

惹(야)-○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같을 약(若)→야]/마음이 가는 데로 쫒아가다, 이끌려가다는 의미로 , 마음 심(心)자가 들어 갑니다.

起(기)-○부수: 走○풀이: 달릴 주(走) + [몸 기(己)] /일어날 기(起)자는 '꿇어 앉아 있는 사람(己)이 달려가기(走) 위해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기중도설(起重圖說)은 '무거운(重) 물건을 일으켜(起) 세우는 방법을 그림(圖)으로 설명한(說) 책'으로, 조선시대의 실학자 정약용이 1792년에 지은 책입니다. 이 책에는 정약용이 만든 거중기(擧重機)의 그림이 실려 있습니다. 일어날 기(起)자는 '꿇어 앉아 있는 사람(己)이 달려가기(走) 위해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기상(起床)은 '평상(床), 즉 침대에서 일어나다(起)'는 뜻입니다.

 

施工(시공)/베풀시,장인공.

施(시)-○부수: 方○풀이: 깃발 언(언) + [어조사 야(也)→시]/실시(實施), 시행(施行) 등에 사용되는 베풀 시(施)자는 원래 '깃발(㫃)이 흔들거리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이후 '흔들거리다→드러내다→널리 퍼지다→실시(實施)하다→베풀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工(공)-○부수: 工○풀이: 공구 모습/장인 공(工)자에 대한 해석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진흙을 바르고 고르는데 사용되는 흙손(진흙이나 시멘트 등을 바르는데 사용하는 도구), 진흙을 다지는 데 사용하는 도구, 목수가 사용하는 끌, 대장장이가 쇠를 쇠를 벼리기 위한 모루 등이 그러한 예입니다. ☞ 장인 공(工)자는 부수임에도 불구하고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자로는 교묘할 교(巧)자 정도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로 사용됩니다.

 

復興(부흥)/다시부,일흥.

復(부)-○부수: 彳○풀이: 걸을 척(彳) + [돌아올 복(复)→복,부]/돌아올 복(復)자 혹은 다시 부(復)자에 들어가는 돌아올 복(复)자는 풀무질을 하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풀무에 발로 눌렀다 떼었다를 반복하여, '가고 오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이후, '돌아오다→회복하다→반복하다→다시 (반복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걸을 척(彳)자가 추가되었습니다. 왕복(往復)은 '갔다(往)가 돌아오다(復)'는 뜻이고, 부활(復活)은 '죽었다가 다시(復) 살아오다(活)'는 뜻으로 쇠퇴하였다가 다시 성하게 됨을 일컫는 말입니다. 복귀(復歸)는 '돌아오고(復) 돌아오다(歸)'는 뜻이고, 부흥(復興)은 '다시(復) 일어나다(興)'는 뜻입니다.

興(흥)-○부수: 八○풀이: 마주들 여(舁) + 같을 동(同)/일어날 흥(興)자는 '무거운 물건을 여러 사람이 같이(同) 마주 들고(舁)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흥부(興夫)는 '제비 다리 고쳐주고 크게 흥(興)한 사내(夫)'라는 뜻이고, 법흥왕(法興王)은 '법(法)을 흥(興)하게 한 왕(王)'이란 뜻으로, 신라 시대에 처음으로 법률을 반포한 왕입니다.

 

營利(영리)/경영할영,이로울리

營(영)-○부수: 灬○풀이: 집 궁(宮) + [등불 형(熒)→영]/궁(宮)에서 등불(熒)을 밝혀가며 열심히 일을 하면서 국가를 경영하는데에서 유래한 글자입니다.

利(리)-○부수: 刂○풀이: 칼 도(刂) + 벼 화(禾)/이익(利益), 이용(利用), 유리(有利), 편리(便利) 등에 사용되는 이로울 이(利)자는 '다 자란 벼(禾)를 칼(刂)로 베어 수확하니 이익(利益)이 생기다'는 뜻입니다. 이용후생(利用厚生)은 '상공업을 잘 이용(利用)하여 생활(生)을 두텁게(厚) 하다'는 뜻으로 조선 후기 실학파에 의해 주장되었습니다. 농업 쪽으로 치우친 관심을 상업과 공업 쪽으로 돌려,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발전된 물질문화를 받아들이고, 특히 상업을 중시해야한다는 주장으로 중상주의(重商主義)라고도 합니다.

 

仲裁(중재)/버금중,마를재.

仲(중)-○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가운데 중(中)]/형제(兄弟)를 나타내는 한자로는 백중숙계(伯仲叔季)가 있습니다. 맏 백(伯)자는 맏이를 일컫고, 버금 중(仲)자는 둘째를 일컫는 말입니다. 아재비 숙(叔)자는 아래 동생을 뜻하고, 막내 계(季)자는 막내를 뜻합니다. 아버지의 형제를 일컫는 말로 큰 아버지를 백부(伯父)라고 하며, 작은 아버지를 숙부(叔父)라고 합니다. 백중지세(伯仲之勢)는 '맏이(伯)와 둘째(仲)의(之) 형세(勢)'로, 서로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형세를 뜻하며, '어려운(難) 형(兄)과 어려운(難) 동생(弟)'이란 뜻의 난형난제(難兄難弟)와 같은 말입니다.

▶ 백중지세(伯:맏 백 仲:버금 중 之:갈 지 勢:기세 세) : 서로 어금버금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형세

裁(재)-○부수: 衣○풀이: 옷 의(衣) + [해할 재(재)]/옷마를 재(裁)자는 '옷(衣)을 만들기 위해 옷감을 자르다(마르다)'는 뜻입니다. 이후 '마르다→자르다→(칼로 자르듯이) 결단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옷을 재단하다'고 할 때, 재단(裁斷)은 '옷감을 자르다(裁斷)'는 뜻으로, 우리말로 마름질이라고 합니다. 재봉(裁縫)틀은 '자른(裁) 옷감을 바느질하는(縫) 틀'입니다. 재판(裁判)은 '칼로 자르듯이(裁) 판단하다(判)'는 뜻입니다.

 

措置(조치)/ 둘조,둘치.

措(조)-○부수: 扌○풀이: 손 수(扌) + [옛 석(昔)→조]/손으로 갖다 두니까, 손 수(扌)자가 들어갑니다.

置(치)-○부수: 网/罒○풀이: 그물 망(网/罒) + [곧을 직(直)→치]/위치(位置)나 배치(配置)에 들어가는 둘 치(置)자는 '물고기나 짐승을 잡기 위해 그물(罒)에 곧게(直) 세워 두다'는 뜻입니다. 영어의 전치사(前置詞)는 '다른 단어의 앞(前)에 위치(置)한 낱말(詞)'이란 뜻입니다. 정치망(定置網)은 '일정한(定) 자리에 배치(置)한 그물(網)'로, 한곳에 쳐 놓고 고기 떼가 지나가다가 걸리도록 한 그물입니다.

 

堡壘(보루)/작은성보,보루루

堡(보)- ○부수: 土○풀이: 흙 토(土) + [지킬 보(保)]/작은 성은 흙으로 만드니까, 흙 토(土)자가 들어 갑니다.

壘(루)-○부수: 土○풀이: 흙 토(土) + [밭사이 땅 뢰(畾)→루]/진은 흙을 쌓아 만드니까, 흙 토(土)자가 들어 갑니다.

 

確立(확립)/굳을확,설립.

確(확)-○부수: 石○풀이: 돌 석(石) + [새높이나를 확(隺)]/돌이 굳으니까, 돌 석(石)자가 들어갑니다. 확률(確率)은 '확실(確)한 비율(率)'이란 뜻으로, 확률은 어떤 사건이 확실(確實)히 일어날 수 있는 비율(比率)을 말합니다. 일기 예보에서 다음 날 비 올 확률이 50%라고 하면, 다음 날 비가 확실하게 올 비율이 50%라는 뜻입니다.

立(립)-○부수: 立○풀이: 땅에 서있는 사람 모습/설 립(立)자는 두 팔을 벌린 사람(大→六)이 땅(一)을 딛고 서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입법부(立法府)는 '법(法)을 세우는(立) 관청(府)'이란 뜻으로, 법을 만드는 국회(國會)를 이르는 말입니다.

 

誤解(오해)/그르칠오,풀해.

誤(오)-○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나라이름/성 오(吳)]/오해(誤解), 오인(誤認) 등에 들어가는 그릇될 오(誤)자는 '말(言)을 그릇되거나 틀리게 하다'는 뜻입니다. 오답(誤答)은 '틀린(誤) 답(答)'으로, 정답(正答)의 반대. 오차(誤差)는 '틀린(誤) 차이(差)'로, 근사값과 참값의 차이(差異).

解(해)-○부수: 角○풀이: 뿔 각(角) + 칼 도(刀) + 소 우(牛)/풀 해(解)자는 원래 '소(牛)에서 칼(刀)로 뿔(角)을 자르다'는 뜻입니다. 이후, '자르다→분할(分割)하다→분해(分解)하다→풀다→풀이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가수분해(加水分解)는 '물(水)을 더하면(加) 분해(分解)되는 반응'으로, 사람의 소화기 내에서 음식이 소화되는 과정(녹말→포도당)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雅量(아량)/맑을아,헤아릴량.

雅(아)-○부수: 隹○풀이: 새 추(隹) + [어금니 아(牙)]/고아(高雅), 단아(端雅), 아담(雅淡), 우아(優雅) 등에 사용되는 맑을 아(雅)자는 원래 의미는 띠까마귀입니다. 띠까마뀌는 무리 중에 나쁜 놈이 있으면 죽임을 당한다고 합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맑다, 바르다'는 뜻이 생겼고, 또 그 모습에서 '우아하다, 아담하다' 등의 의미가 추가되었습니다. 아악(雅樂)은 '고상하고 기품이 있는 우아(優雅)한 음악(樂)'이란 뜻으로, 고려와 조선 시대에 궁중 의식에서 연주된 전통 음악입니다.

量(량)-○부수: 里○풀이: 마을 리(里) + 아침 단(旦)/갑골문자를 보면 글자 위부분(旦)은 깔때기의 모양이고 아래쪽(里)은 자루의 모양입니다. 깔때기로 자루에 곡물을 담으면서 양을 '잰다, 헤아린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契約(계약)/맺을계,맺을약

契(계)-○부수: 大○풀이: [새길 계(丰)] + 칼 도(刀) + 큰 대(大)/상형문자를 보면 새길 계(丰), 칼 도(刀), 나무 목(木→大)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새길 계(丰)자는 숫자나 글을 새긴 모습입니다. 따라서 칼(刀)로 나무(木→大)에 숫자나 글(丰)을 새긴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글자의 원래 의미는 '글'이라는 의미였으나, 나중에 '계약(契約)을 맺을 때 글로 새겨둔다'는 의미로 '맺는다'는 의미로 변했습니다. 계(契)는 경제적인 도움을 주고받거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만든 전래의 협동 조직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때 회원들을 계원(契員)이라 하고, 회원들이 내는 회비를 곗돈이라 합니다.

約(약)-○부수: 糸○풀이: 실 사(糸) + [구기/잔 작(勺)→약]/맺을 약(約)자도, 맺을 결(結)자와 마찬가지로 '실(糸)이나 끈으로 묶어 매듭을 맺다'는 뜻입니다. 이후, 실로 단단히 묶듯이 굳게 '약속하다'는 뜻도 생겼습니다. 결혼(結婚)은 '혼인(婚)으로 남녀 두 사람을 묶는다(結)'는 뜻이지만 약혼(約婚)은 '결혼(結婚)은 약속(約束)하다'는 뜻입니다.

 

審判(심판)/살필심,판단할판

審(심)-○부수: 宀○풀이: 집 면(宀) + 차례 번(番)/살필 심(審)자에 들어가는 차례 번(番)자는 원래 '밭(田)에 있는 짐승의 발자국(釆)'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살필 심(審)자는 '집(宀) 안에 짐승의 발자국(釆)이 있는지 살피다'는 뜻입니다. 심문(審問), 심사(審査) 등에 사용.

判(판)-○부수: 刂○풀이: 칼 도(刂) + [절반 반(半)→판]/판단할 판(判)자는 원래 '칼(刂)로 물건을 반(半)으로 자르다'는 의미입니다. '재판(裁判)에서 잘잘못을 판단(判斷)할 때 칼로 자르듯이 정확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해서 '판단(判斷)하다, 판결(判決)하다. 판별(判別)하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판사(判事)는 '판단(判)하는 일(事)을 하는 사람'으로서 판사(判士)나 판사(判師)가 아님에 유의하세요.

 

引受(인수)/끌인,받을수.

引(인)-○부수: 弓○풀이: 활 궁(弓) + 뚫을 곤(丨)/끌 인(引)자는 '활(弓)의 줄을 끌어 당겨 팽팽하게(丨) 되다'는 뜻입니다. 이후 '당기다→끌다→이끌다→늘이다' 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인력(引力)은 '끌어(引) 당기는 힘(力)', 만유인력(萬有引力)은 '만유(萬有: 세상에 있는 모든 것)가 서로 끌어(引) 당기는 힘(力)'입니다.

受(수)-○부수: 又○풀이: 손톱 조(爪) + 덮을 멱(冖) + 또 우(又)/받을 수(受)자는 '위의 손(爪)과 아래의 손(又) 어떤 물건(冖)을 주고받다'는 뜻입니다. 상형문자를 보면 이 물건의 모습이 배 주(舟)자와 닮아 있으나 간략화 되어 현재의 모습이됨. 여기에 손 수(扌)자를 다시 추가하면 줄 수(授)자가 . 두 글자의 모양과 뜻이 비슷하여 혼돈할 수 있는데, 줄 수(授)자가 획수가 '많으니 줄 것이 있다'고 암기하세요. 수수(授受)는 '주고(授) 받다.

 

賃貸(임대)/품삯임,빌릴대.

賃(임)-○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맡을 임(任)]/품팔이는 품삯을 받고 남의 일을 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품팔이 임(賃)자는 '남의 일을 맡아(任) 주고 돈(貝)을 받는 것이 품팔이다'는 뜻입니다. 이후 '품팔이→(남의 힘을) 빌다→세내다'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임금(賃金)은 '품팔이(賃)하고 받는 돈(金)'이고, 임대인(賃貸人)은 '세를 받고(賃) 빌려주는(貸) 사람(人)'이고, 임차인(賃借人)은 '세를 내고(賃) 빌리는(借) 사람(人)'입니다.

貸(대)-○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대신할 대(代)]/빌릴 대(貸)자는 '돈(貝)을 내고 대신(代) 물건을 빌리다'는 뜻입니다. 대여(貸與)는 '빌려(貸) 주다(與)'는 뜻입니다. 은대지제도(恩貸地制度)는 '은혜로이(恩)를 땅(地)을 임대(貸)해주는 제도(制度)'로, 중세 유럽 봉건제에서, 영주가 신하나 기사들에게 땅을 주는 대가로 군역 따위의 봉사 의무를 요구한 제도.

 

包攝(포섭)/ 쌀포,다스릴섭.

包(포)-○부수: 勹○풀이: [쌀 포(勹)] + 뱀 사(巳)/포(勹)자는 무언가를 둘러싸고 있는 형상이고, 중앙에 있는 사(巳)자는 쪼구리고 있는 태아의 모습입니다. 즉 포(包)자는 배속에 있는 아기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포함(包含)은 속에 들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攝(섭)-○부수: 扌○풀이: 손 수(扌) + [소근거릴/잡을 섭(聶)]/끌어잡을 섭(攝)자는 '손(扌)에 귀(耳) 여러 개를 끌어 잡다'는 뜻입니다. 섭취(攝取)는 '양분 따위를 몸속으로 끌어 잡아(攝) 가지다(取)'는 뜻입니다. 섭씨(攝氏)는 '섭리수(攝爾修) 씨(氏)'의 줄임말로, 섭씨 단위를 처음 만들었던 스웨덴 천문학자 셀시우스(Celsius)의 음역인 섭리수(攝爾修)에서 나왔습니다. 화씨(華氏)는 '화륜해특(華倫海特) 씨(氏)'의 줄임말로, 화씨 단위를 처음 만들었던 독일의 물리학자 화렌하이트(Fahrenheit)의 음역인 화륜해특(華倫海特)에서 나왔습니다.

 

揷畵(삽화)/꽂을삽,그림화.

揷(삽)-○부수: 扌○풀이: 손 수(扌) + [꽂을 삽(臿)]/꽂을 삽(揷)자에 들어있는 꽂을 삽(臿)자는 절구(臼)에 절굿공이(午→千)가 꽂혀있는 모습입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손 수(扌)자가 추가되어 꽂을 삽(揷)자가 되었습니다. 낮 오(午)자는 절굿공이의 상형입니다. 삽입(揷入),삽화(揷畵) 등에 사용됩니다.

畵(화)-○부수: 聿○풀이: 붓 율(聿) + 그림/그림 화(畵)자 또는 그을 획(畵)자는 붓(聿)으로 그림(田)을 그리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이후 '그리다→계획하다→꾀하다'라는 뜻이 생겼고, 또, '그림→그리다→(선을) 긋다→(선을 그어) 분할(分割)하다'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분할하다'는 뜻을 더욱 분명하게 하기 위해 칼 도(刂)자를 추가해서 그을 획(劃)자도 생겼습니다. 그림 화(畵)자는 글자 맨 아래에는 한 일(一)자로 쓴 화(畫)자로 쓰기도 합니다. 사생화(寫生畵)는 '실물이나 경치를 있는 그대로 생생하게(生) 베낀(寫) 그림(畵)'이고, 정물화(靜物畵)는 '과일, 꽃, 화병 따위의 정지(靜)된 물건(物)을 그린 그림(畵)'입니다.

도화지(圖畵紙)는 '그림(圖)을 그리는(畵) 종이(紙)'이고, 획일주의, 획일교육, 획일적 등에 나오는 획일(劃一)은 '선 하나(一)를 긋는다(劃)'는 뜻으로 개인의 다양성을 무시하고, 하나의 틀에 넣어 똑같이 고르게 만들려는 것을 말합니다.

 

爭取(쟁취)/다툴쟁,가질취.

爭(쟁)-○부수: 爪○풀이: 손톱 조(爪) + 고슴도치머리 계(彐) + 갈고리 궐(亅)/다툴 쟁(爭)자는 '위의 손(爪)과 아래의 손(彐)이 어떤 물건(ㅣ)을 쟁취(爭取)하려고 서로 다투다'는 뜻입니다. 전쟁(戰爭), 항쟁(抗爭) 등에 사용됩니다.

取(취)-○부수: 耳○풀이: 귀 이(耳) + 또 우(又)/옛날에는 전쟁에서 자신이 죽인 적의 귀를 가져오면, 귀의 숫자에 따라 상을 주었습니다. 가질 취(取)자는 '적군의 귀(耳)를 잘라서 손(耳)으로 가지다'는 뜻입니다. 취사선택(取捨選擇)은 '가질 것은 가지고(取), 버릴 것은 버려서(捨) 선택(選擇)한다'는 뜻입니다.

 

倫理(윤리)/인륜윤,다스릴리.

倫(윤)-○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둥글 륜(侖)]/인륜 륜(倫)자의 인륜(人倫)은 사람이 지켜야할 도리입니다. 삼강오륜의 오륜(五倫)은 '사람(人)이 지켜야할 5가지 인륜(倫)'입니다. ▶ 삼강오륜(三:석 삼 綱:벼리 강 五:다섯 오 倫:인륜 륜) : 삼강(3가지 중심)과 오륜(5가지 인륜)

理(리)-○부수: 玉/王○풀이: 구슬 옥(玉/王) + [마을 리(里)]/다스릴 리(理)자는 원래 옥에 있는 무늿결을 말합니다. '이러한 무닛결을 잘 다루어야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데에서 '다스리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또, 다스리려면 이치에 맞게 다스려야하기 때문에 '이치'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과학시간에 지층이나 암석과 관련되는 용어와 함께 사용할 때는 모두 무늿결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층리(層理)는 '퇴적암에서 층(層)을 따라 생기는 무닛결(理)'이고, 편리(片理)는 '조각(片)으로 쪼개지는 무닛결(理)'이며, 엽리(葉理)는 '나뭇잎(葉)처럼 쪼개지는 무닛결(理)'입니다. 또, 주상절리(柱狀節理)는 '기둥(柱) 모양(狀)의 마디(節)나 무닛결(理)'입니다.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나라(國)의 일(務)을 모두(總) 다스리는(理) 사람'으로, 대통령 바로 아래에서 행정부를 총괄하는 사람. 이성(理性)은 '자신의 의지로 다스릴(理) 수 있는 성품(性)'으로, 자신의 의지는 상관없이 생기는 감정(感情)과는 반대말. 사리(事理)는 '일(事)의 이치(理)'이고, 도리(道理)는 자연이 흘러가는 길(道)의 이치(理)'.

 

諮問(자문)/물을자,물을문.

諮(자)-○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입 구(口) + [버금 차(次)→자]/말로 물으니까, 말씀 언(言)자가 들어 갑니다.

問(문)-○부수: 口○풀이: 입 구(口) + [문 문(門)]/물을 문(問)자는 '남의 집(門)을 방문하여 입(口)으로 묻다'는 뜻과 함께 '방문(訪問)하다'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동문서답(東問西答)은 '동(東)쪽을 묻는(問) 데 서(西)쪽을 대답(答)한다'는 뜻으로, 묻는 말에 대하여 엉뚱한 대답을 하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救急(구급)/구원할구,급할급

救(구)-○부수: 攵○풀이: 칠 복(攵) + [구할 구(求)]/구출(救出), 구조(救助), 구원(救援) 등이 들어가는 구원할 구(救)자는 '적을 쳐서(攵) 아군을 구원(救援)하다, 돕다'는 뜻입니다. 구세주(救世主)는 '세상(世)을 구원하는(救) 주인(主)'이란 뜻으로, 석가 또는 예수그리스도를 일컫는 말입니다.

急(급)-○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미칠 급(及)]/급할 급(急)자에 들어가는 미칠 급(及→刍)자는 '앞에서 도망가는 사람(人)을 손(又,彐)으로 잡다, 미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급할 급(急)자는 '도망가는 사람이나 잡는 사람의 마음(心)이 급하다'는 뜻입니다. 급성질환(急性疾患)은 '급한(急) 성질(性)의 질환(疾患)'으로, 급성 맹장염 같이 급히 일어나는 성질을 가진 병(病)입니다.

 

償還(상환)/갚을상,돌아올환.

償(상)-○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상줄 상(賞)]/상줄 상(賞)자에 사람 인(亻)자를 붙이면, 갚을 상(償)자가 됩니다. '사람(亻)이 상(賞)을 받은 은혜를 갚다'는 뜻입니다. 배상(賠償), 변상(辨償), 보상(報償), 상환(償還) 등에 사용됩니다.

還(환)-○부수: 辶○풀이: 갈 착(辶) + [둥근 옥 환(睘)]/돌아올 환(還)자는 '둥글게 돌아(睘) 오다(辶)'는 뜻입니다. '개경(開京)으로 도읍(都)이 돌아오는(還) 것'을 말하는 개경환도(開京還都)는 고려시대 몽고의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遷都: 도읍을 옮김) 했다가 다시 개경으로 돌아온 것을 말합니다.

 

適切(적절)/맞을적,끊을절.

適(적)-○부수: 辶○풀이: 갈 착(辶) + [꼭지 적(啇)]/적당(適當), 적합(適合), 최적(最適) 등에 들어가는 맞을 적(適)자는 원래 '딱 맞게 가다(辶)'는 뜻에서 '맞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적재적소(適材適所)는 '집을 지을 때 알맞은(適) 재목(材)을 알맞은(適) 곳(所)에 넣다'는 뜻으로 '알맞은 인재(人材)를 알맞은 자리에 쓰다'는 뜻입니다. ▶ 적재적소(適:맞을 적 材:맞을 재 適:맞을 적 所:바 소) : 어떤 일에 알맞은 재능을 가진 사람에게 알맞은 임무를 맡기는 일

切(절)-○부수: 刀○풀이: 칼 도(刀) + [일곱 칠(七)→절]일곱 칠(七)자는 갑골문에 十으로 표시되/끊을 절(切)자에 들어가는 어 있는데(열 십(十)자는 |로 표시하였습니다), 세로선은 자르는 칼을, 가로선은 잘리는 물건을 표시하였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자르다'라는 의미였습니다. 이후, 가차되어 '일곱'이란 의미로 사용되자, 원래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칼 도(刀)자가 추가되어 끊을 절(切)자가 되었습니다. 끊을 절(切)자는 온통 체(切)로도 사용됩니다. 이 두 글자는 똑같이 사용되어 혼동하기가 쉬운데, 일체(一切)와 일절(一切)이 그러한 예입니다. '재산 일체를 학교에 기부하였다'에서 재산 일체(一切)는 '재산 전부'라는 뜻으로 명사로 사용되었지만, '일절 소식이 없다'에서 일절(一切)은 '도무지' 라는 뜻으로 부사로 사용됩니다.

 

觀覽(관람)/볼관,볼람

觀(관)-○부수: 見○풀이: 볼 견(見) + [황새 관(雚)]/볼 관(觀)자에 들어가는 황새 관(雚)자는 두 눈(口口)을 강조한 새(隹)의 모습입니다. 따라서 볼 관(觀)자는 '두 눈을 부릅뜬 황새(雚)가 보다(見)'는 뜻입니다. 관찰사(觀察使)는 '보고(觀) 살피기(察) 위해 임금이 보낸 사신(使)'이란 뜻으로, 조선 시대 각 도(道)의 으뜸 벼슬로 오늘날의 도지사에 해당합니다. 관찰사는 감사(監司: '살피는(監) 것을 맡음(司)'이란 뜻)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평양(평안) 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때 평양 감사는 평양에 거주하는 평안도 관찰사입니다. 관념주의(觀念主義)는 '보고(觀) 생각(念)하는 주의(主義)'로, 객관적인 대상을 주관적으로 보고(觀) 생각(念)하는 대로 표현하려는 예술계의 경향입니다.

覽(람)-○부수: 見○풀이: 볼 견(見) + [볼 감(監)→람]/볼 람(覽)자는 볼 감(監)자의 뜻을 강조하기 위해 볼 견(見)자가 추가되었습니다.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은 '신사(紳士)들이 돌아다니며(遊) 보기(覽) 위한 단체(團)'로, 조선 말, 해외의 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일본을 돌아다니며 새로운 문물을 구경하기 위해 파견한 시찰단입니다. 시찰단은 모두 60여 명으로 약 4개월간 돌아 다녔습니다. 일본에서 돌아온 후 개화 여론을 확대하는 데 큰 역할을 함.

 

歎服(탄복)/탄식할탄,엎드릴복

歎(탄)-○부수: 欠○풀이: 하품 흠(欠) + [진흙 근(堇)→탄]/탄식(歎息), 감탄(感歎), 한탄(恨歎) 등에 들어가는 탄식할 탄(歎)자는 '하품(欠)하듯이 입을 크게 벌리고 어려

歎服(탄복)/탄식할탄,엎드릴복

歎(탄)-○부수: 欠○풀이: 하품 흠(欠) + [진흙 근(堇)→탄]/탄식(歎息), 감탄(感歎), 한탄(恨歎) 등에 들어가는 탄식할 탄(歎)자는 '하품(欠)하듯이 입을 크게 벌리고 어려움(★)을 탄식(歎息)하다'는 뜻입니다.

服(복)-○부수: 肉/月○풀이: 고기 육(肉/月) + 병부 절(卩) + 또 우(又)/ 옷/복종할 복(服)자는 원래 '손(又)으로 사람을 꿇어앉혀(卩) 복종시키다'는 뜻입니다. 이후, '복종하다→(멍에를) 매다→(몸에) 매달다→입다→옷' 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의복(衣服), 교복(校服), 군복(軍服), 양복(洋服)에서는 옷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고, 복종(服從), 굴복(屈服), 복역(服役) 에서는 '복종하다'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思慮(사려)/생각사,생각려

思(사)-○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정수리 신(囟)/사고(思考), 사색(思索) 등에 들어가는 생각 사(思)자는 '머리(囟→田)와 마음(心)으로 생각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그리워하다'는 뜻도 생겼습니다. 상사병(相思病)은 '상대방(相對方)을 그리워하여(思) 생긴 병(病)'이고, 사모곡(思母曲)은 '어머니(母)를 그리워하는(思) 노래(曲)'로, 작가와 만든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가요입니다. 사미인곡(思美人曲)은 '미인(美人)을 그리워하며(思) 부르는 노래(曲)'로, 조선 선조 때 송강 정철(鄭澈, 1536~1593년)이 고향인 창평으로 유배를 가서, 임금에 대한 간절한 충정을, 한 여인이 지아비를 사모하는 마음에 비유하면서 우의적으로 표현.

慮(려)-○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밥그릇 로(盧)→려]/생각 려(慮)자는 배려(配慮), 염려(念慮), 고려(考慮) 등에 사용됩니다. 조불려석(朝不慮夕)는 '아침(朝)에 저녁(夕) 일을 생각하지(慮) 못한다(不)'는 뜻으로, 앞일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을 일컫는 말입니다.

▶ 조불려석(朝:아침 조 不:아닐 부 慮:생각할 려 夕:저녁 석) : "아침에 저녁 일을 생각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당장을 걱정할 뿐이고 바로 그 다음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

 

提携(제휴)/끌제,이끌휴

堤(제)-○부수: 扌○풀이: 손 수(扌) + [옳을 시(是)→제]/제출(提出), 제의(提議), 제안(提案), 제시(提示) 등에 사용되는 끌 제(提)자는 '손(扌)으로 끌다'는 뜻입니다. 이후, '제시(提示)하다'는 뜻도 생겼습니다. 대제학(大提學)은 '학문(學)을 끌고 가는(提) 큰(大) 사람'으로, 조선시대 집현전(集賢殿)과 홍문관(弘文館)을 관장한 정2품(지금의 장관)의 고위 관리. 당대 최고의 학자가 대제학을 지냈습니다. 오늘날의 국립연구소장 및 국립도서관장.

携(휴)-○부수: 扌○풀이: 손 수(扌) + [隽]/끌 휴(携)자는 원래 '살찐(乃) 새(隹)를 손(扌)으로 잡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에 내(乃)자는 살찐 가슴이나 배 모양을 본뜬 글자입니다. '이후, '가지다→들다→끌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휴대폰(携帶 phone)은 '들거나(携) 허리에 차고(帶) 다니는 전화기(phone)'입니다.

 

便利(편리)/편할편,이로울리.

便(편)-○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다시 갱(更)→편,변]/똥오줌 변(便)자는 '사람(亻) 이 먹은 것이 똥오줌으로 다시(更) 나오다'는 뜻. 대변(大更)은 '큰(大) 똥오줌(更)'이란 뜻이고, 소변(小更)은 '작은(小) 똥오줌(更)'이기 때문에, 화장실에 갈 때 '큰 것 보러 간다' 혹은 '작은 것 보러 간다'고 합니다. 변비(便祕)는 '똥오줌(便)이 숨기다(祕)'는 뜻으로, 대변이 대장 속에 숨어 나오지 않는 병입니다. 똥오줌 변(便)자는 '사람(亻)이 똥오줌을 싸고 나면 편안하다'는 뜻으로, 편할 편(便)자도 됩니다. 편안(便安), 불편(不便) 등에 사용.

利(리)-○부수: 刂○풀이: 칼 도(刂) + 벼 화(禾)/이익(利益), 이용(利用), 유리(有利), 편리(便利) 등에 사용되는 이로울 이(利)자는 '다 자란 벼(禾)를 칼(刂)로 베어 수확하니 이익(利益)이 생기다'는 뜻입니다. 이용후생(利用厚生)은 '상공업을 잘 이용(利用)하여 생활(生)을 두텁게(厚) 하다'는 뜻으로 조선 후기 실학파에 의해 주장되었습니다. 농업 쪽으로 치우친 관심을 상업과 공업 쪽으로 돌려,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발전된 물질문화를 받아들이고, 특히 상업을 중시해야한다는 주장으로 중상주의(重商主義)라고도 합니다.

 

製造(제조)/지을제,지을조.

製(제)-○부수: 衣○풀이: 옷 의(衣) + [마를 제(制)]/지을 제(製)자는 '소(牛)의 가죽으로 만든 베(巾)를 칼(刂)로 잘라((制) 옷(衣)을 짓다(만들다)'는 뜻입니다. 창제(創製), 제조(製造), 제작(製作)과 같이 '만든다'는 뜻의 낱말에 사용됩니다. 제술과(製述科)는 '시를 짓거나(製) 글을 짓는(述) 시험 과목(科)'으로, 조선시대 진사(進士)를 뽑던 과거시험입니다. 시문(詩文)을 짓는 시험으로, 합격자에게는 성균관 입학 자격과 문과 응시 자격을 주었습니다. 반면 생원과(生員科)는 생원(生員)을 뽑던 과거로, 유교경전 지식에 대한 시험을 쳤습니다.

造(조)-○부수: 辶○풀이: 갈 착(辶) + [고할 고(告)→조]/지을 조(造)자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습니다만,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신 앞에 나아가(辶) 고(告)하면서 소원을 비는 모습입니다. 이후, '(소원을) 이루다→만들다→짓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조선소(造船所)는 '배(船)를 짓는(造) 곳(所)'입니다. 조혈모세포(造血母細胞)는 '피(血)를 만드는(造) 어머니(母) 세포(細胞)'로, 골수 안에서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세포입니다. 백혈병을 치료할 때 골수를 이식하는데, 골수에 있는 조혈모세포를 이식함으로서 병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考試(고시)/생각할고,시험시.

考(고)-○부수: 耂○풀이: 늙을 로(耂) + [교묘할 교(丂)→고]/고려(考慮), 사고(思考), 고안(考案) 등에 들어가는 생각할 고(考)자는 '노인(耂)은 생각을 교묘하게(丂) 잘하다'는 뜻입니다. 고증학(考證學)은 '증거(證)를 생각하는(考) 학문(學)'이란 뜻으로, 헛된 이론이나 토론에 의하지 않고, 옛 문헌이나 증거 등 사실에 근거를 두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려는 과학적인 학문으로, 중국 명나라 말기에 일어나 청나라 때에 발전하였습니다.

試(시)-○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법 식(式)→시]/지금은 종이에 글을 쓰는 시험(試驗)이 대부분이지만, 예전에는 종이가 귀해 입으로 말하는 시험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시험 시(試)자는 '말(言)로 법(式)을 얼마나 아는지 시험을 치르다'는 뜻입니다. 시사회(試寫會), 시운전(試運轉), 시식(試食), 시음(試飮), 시연(試演) 등은 모두 '시험삼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금석(試金石)은 '쇠(金)를 시험하는(試) 돌(石)'이란 뜻으로, 귀금속의 순도를 판정하는 데 쓰이는 암석(岩石)입니다. 역량이나 가치를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기회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기도 합니다.

 

訴訟(소송)/ 호소할소,송사할송.

訴(소)-○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물리칠 척(斥)→소]/헐뜯을 척(訴)자는 '힘이 아닌 말(言)로 헐뜯어 물리치다(斥)'는 뜻입니다. 이후, 헐뜯으면서 억울함을 하소연할 소(訴)자가 되었습니다. 또, '하소연하다→호소(呼訴)하다→고소(告訴)하다→송사(訟事)'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민사소송(民事訴訟)은 '백성(民)의 일(事)에 대한 소송(訴訟)'으로, 개인과 개인이 다투는 사건입니다. 예를 들어 돈을 빌려 주었는데 돌려받지 못했거나, 다른 사람에 의해 억울하게 명예를 손상당하는 사건에 대한 재판 절차입니다. 형사소송(刑事訴訟)은 '형벌(刑)을 줄 일(事)에 대한 소송(訴訟)'으로, 다른 사람을 때리거나 물건을 훔치는 등 형벌 법규를 위반한 사람에게 형벌을 부과하기 위한 재판 절차입니다. 이때 고발을 당하는 범죄자는 피고, 검사가 원고가 됩니다.

訟(송)-○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공평할 공(公)→송]/잘잘못을 가리는 재판은 말이 오갑니다. 따라서 재판에 관련되는 글자에는 말씀 언(言)자가 들어갑니다.

송사할 송(訟)자에서 송사(訟事)는 백성끼리 분쟁이 있을 때, 관청에 호소하여 판결을 구하던 재판을 말합니다. 송사할 송(訟)자는 '말(言)로 공평함(公)을 가리다'는 뜻입니다.

 

編纂(편찬)/엮을편,모을찬.

編(편)-○부수: 糸○풀이: 실 사(糸) + [넓적할 편(扁)]/엮을 편(編)자는 '책을 만들기 위해 죽간을 넓적하게(扁) 실(糸)로 역다'는 뜻입니다. 편집(編輯)은 '죽간을 모아서(輯) 실로 엮어(編) 책을 만들다'는 뜻입니다. 위편삼절(韋編三絶)은 공자가 주역(周易)을 좋아하여, 너무 여러 번 읽은 나머지 '가죽(韋) 끈(編)이 3(三)번이나 끊어졌다(絶)'는 뜻입니다. 고등학교 때 이 고사성어를 배우면서, '책을 여러 번 읽으면 책을 엮은 가죽 끈이 끊어지기 전에 종이가 먼저 닳거나 찢어지지 않을까?'라고 의문을 가졌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공자가 살았을 당시 종이로 만든 책은 없었습니다.

纂(찬)-○부수: 糸○풀이: 실 사(糸) + [셈 산(算)→찬]/실 사(糸)자가 들어 갑니다.

 

賦與(부여)/ 부세부,더불여.

賦(부)- ○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굳셀 무(武)→부]/구실 부(賦)자의 구실은 핑계를 뜻하는 말이 아니고, 온갖 세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부(賦)자는 원래 '군대(武)에서 사용하는 돈(貝)', 즉 군비(軍費)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후 군비→(군비를) 거두다→(군비를) 주다→세금'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부역(賦役)은 '세금(賦)처럼 부과하는 노역(役)'으로 옛날에 성을 짓거나 길을 만들기 위해 백성에게 의무적으로 시키는 노역입니다. 천부인권사상(天賦人權思想)은 '인권(人權)은 하늘(天)이 부여(賦)하였다는 사상(思想)'으로, 18세기 말에 루소와 같은 학자에 의해 주장되었습니다.

與(여)-○부수: 臼○풀이: 줄 여(与) + [마주들 여(舁)]/더불 여(與)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글자 중앙에 있는 글자가 어금니 아(牙)자의 모습입니다. 즉, '여러 명이 상아(象牙)를 마주 들고(舁) 건네주다'는 뜻입니다. 이후, '주다→(주면서) 돕다→(돕기 위해) 참여(參與)하다→더불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또, 글자의 모습도 어금니 아(牙)자가 여(与)자로 변했고, 이후 여(與)자는 간략하게 여(与)자로 사용되었습니다. 지금 중국 간체자나 약자로도 여(与)자가 사용됩니다.

 

駭怪(해괴)/놀랄해,괴이할괴.

駭(해)-○부수: 馬○풀이: 말 마(馬) + [돼지 해(亥)]/말이 잘 놀라니까, 말 마(馬)자가 들어 갑니다. 놀랄 경(驚)자도 마찬가지입니다.

怪(괴)-○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忄) + [힘쓸 골(圣)→괴]/기이할 괴(怪)자에 들어가는 힘쓸 골(圣)자는 '땅(土)을 손(又)으로 갈다→힘쓰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여기에서는 소리로 사용됩니다. 괴물(怪物)은 '기이한(怪) 물건(物件)'입니다. 괴질(怪疾)은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이한(怪) 병(疾)'이란 뜻으로, 전염병이나 콜레라를 말합니다. 여고괴담(女高怪談)은 '여자 고등학교(女高)의 기이한(怪) 이야기(談)'라는 뜻입니다.

 

選擧(선거)/가릴선.들거.

選(선)-○부수: 辶○풀이: 갈 착(辶) + [괘이름 손(巽)→선]/가릴 선(選)자에 들어가는 뽑을 손(巽)자는 제단(共)위에 제물로 바쳐지기 위해 뽑혀진 두 명의 사람이 꿇어 앉아있는 모습(巳巳)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뽑혀서 제단으로 가다'는 뜻으로 갈 착(辶)자가 추가되어 가릴 선(選)자가 되었습니다. 선별(選別), 선택(選擇), 선출(選出) 등에 사용됩니다.

擧(거)- ○부수: 手○풀이: 손 수(手) + [더불 여(與)→거]/들 거(擧)자는 '주기(與) 위해 손(手)으로 들다'는 뜻입니다. 거(擧)자에는 손이 모두 5개 들어 있습니다. 일거양득(一擧兩得)은 '한(一) 번 들어(擧) 두(兩) 개를 얻다(得)'는 뜻으로, 일석이조(一石二鳥)와 같은 말입니다. 거중기(擧重機)는 '무거운(重) 것을 드는(擧) 기계(機)'로, 정약용이 1792년 고안해서 수원 화성을 쌓는데 이용되었습니다.

 

借用(차용)/빌릴차,쓸용.

借(차)-○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옛 석(昔)→차]/빌릴 차(借)자는 '다른 사람(亻)에게 물건 등을 빌리다'는 뜻입니다. 임차(賃借), 차용(借用) 등에 사용됩니다. 차명통장(借名通帳)은 '남의 이름(名)을 빌려서(借) 만든 통장(通帳)'으로, 세금 회피나 불법 거래용으로 만드는 통장입니다. 조차(租借)는 '세금(租)을 내고 빌린다(借)'는 뜻으로, 특별한 합의에 따라 한 나라가 다른 나라 영토의 일부를 빌려 일정한 기간 동안 통치하는 일입니다. 아편전쟁 이후 영국은 99년간 홍콩을 중국으로부터 조차(租借)하였습니다.

用(용)- ○부수: 用○풀이: 통 모습/나무로 만든 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통이 집에서 많이 쓰인다고 해서 '쓰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港灣(항만)/항구항,물굽이만.

港(항)-○부수: 氵○풀이: 물 수(氵) + [거리 항(巷)]/항구 항(港)자는 '물길(氵)이 닿아 있는 거리(巷)가 항구(港口)이다'는 뜻입니다. 공항(空港)은 '항공기(航空機)가 드나드는 항구(港)'입니다.

灣(만)-○부수: 氵○풀이: 물 수(氵) + [굽을 만(彎)]/물굽이는 바다나 강 따위의 물 흐름이 구부러진 곳니까, 물 수(氵)자가 들어 갑니다.

 

應急(응급)/응할응,급할급.

應(응)-○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매 응(鷹)]/우리나라의 매사냥은 고조선 때부터 있었고, 고려시대에 응방(鷹坊)이라는 관청까지 두었습니다. 매사냥꾼은 매와 마음이 잘 통해야 합니다. 응할 응(應)자는 '사냥하는 매(鷹)가 사람의 마음(心)에 응하다'는 뜻입니다. 응답(應答), 대응(對應), 반응(反應) 등에 사용됩니다. 응인(應人)은 '매에 응하는(應) 사람(人)'이란 뜻으로, 매사냥꾼을 뜻합니다.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어떤 기회(機)에 임하면(臨), 대응하여(應) 변하다(變)'는 뜻으로, 그때그때 처한 상황에 맞추어 재빨리 그 자리에서 알맞게 대처하는 것을 이릅니다.

急(급)-○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미칠 급(及)]/급할 급(急)자에 들어가는 미칠 급(及→刍)자는 '앞에서 도망가는 사람(人)을 손(又,彐)으로 잡다, 미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급할 급(急)자는 '도망가는 사람이나 잡는 사람의 마음(心)이 급하다'는 뜻입니다. 급성질환(急性疾患)은 '급한(急) 성질(性)의 질환(疾患)'으로, 급성 맹장염 같이 급히 일어나는 성질을 가진 병(病)입니다.

 

處理(처리)/곳처,다스릴리.

處(처)-○부수: 夊○풀이: 천천히 걸을 쇠(夊) + 안석 궤(几) + [범 호(虍)→처]/곳 처(處)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집(宀→几) 안에 발(夊)이 들어 있는 모습입니다. 즉 '집 안에 있다, 거주하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이후, '거주하다→살다→(거주하는) 곳→(거주하며) 다스리다→(다스리며) 처리하다→처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나중에 소리를 나타내는 범 호(虍)자가 추가 되면서, 발(夊)이 집 (宀→几) 밖으로 나와 지금과 같은 글자가 되었습니다. 상처(傷處)는 '몸이 상한(傷) 곳(處)'이며, 처세술(處世術)은 '세상(世)을 살아가는(處) 재주(術)'이고, 처형(處刑)이나 처벌(處罰)은 '형벌(刑罰)에 처하다(處)'는 뜻입니다.

理(리)-○부수: 玉/王○풀이: 구슬 옥(玉/王) + [마을 리(里)]/다스릴 리(理)자는 원래 옥에 있는 무늿결을 말합니다. '이러한 무닛결을 잘 다루어야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데에서 '다스리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또, 다스리려면 이치에 맞게 다스려야하기 때문에 '이치'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과학시간에 지층이나 암석과 관련되는 용어와 함께 사용할 때는 모두 무늿결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층리(層理)는 '퇴적암에서 층(層)을 따라 생기는 무닛결(理)'이고, 편리(片理)는 '조각(片)으로 쪼개지는 무닛결(理)'이며, 엽리(葉理)는 '나뭇잎(葉)처럼 쪼개지는 무닛결(理)'입니다. 또, 주상절리(柱狀節理)는 '기둥(柱) 모양(狀)의 마디(節)나 무닛결(理)'입니다.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나라(國)의 일(務)을 모두(總) 다스리는(理) 사람'으로, 대통령 바로 아래에서 행정부를 총괄하는 사람입니다. 이성(理性)은 '자신의 의지로 다스릴(理) 수 있는 성품(性)'으로, 자신의 의지는 상관없이 생기는 감정(感情)과는 반대말입니다. 사리(事理)는 '일(事)의 이치(理)'이고, 도리(道理)는 자연이 흘러가는 길(道)의 이치(理)'입니다.

 

委託(위탁)/맡길위,부탁할탁.

委(위)-○부수: 女○풀이: 여자 녀(女) + 벼 화(禾)/맡길 위(委)자는 여자(女)가 벼(禾)를 지고 가는 모습으로, 전쟁이나 병으로 인해 남자가 추수를 여자에게 맡기거나, 위임(委任)한다는 뜻입니다. 위(委)자에 사람 인(人)자를 합치면 왜나라 왜(倭)자가 됩니다. 위원회(委員會)는 '어떤 일을 맡은(委) 인원(員)들의 모임(會)'입니다.

託(탁)-○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부탁할/풀잎 탁(乇)]/부탁(付託)은 어떤 일을 해 달라고 말하는 것이니까, 말씀 언(言)자가 들어갑니다.

 

借款(차관)/빌릴차,항목관.

借(차)-借(차)-○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옛 석(昔)→차]/빌릴 차(借)자는 '다른 사람(亻)에게 물건 등을 빌리다'는 뜻입니다. 임차(賃借), 차용(借用) 등에 사용됩니다. 차명통장(借名通帳)은 '남의 이름(名)을 빌려서(借) 만든 통장(通帳)'으로, 세금 회피나 불법 거래용으로 만드는 통장입니다. 조차(租借)는 '세금(租)을 내고 빌린다(借)'는 뜻으로, 특별한 합의에 따라 한 나라가 다른 나라 영토의 일부를 빌려 일정한 기간 동안 통치하는 일입니다. 아편전쟁 이후 영국은 99년간 홍콩을 중국으로부터 조차(租借)하였습니다.

款(관)-○부수: 欠○풀이: 하품 흠(欠) + [높을 숭(崇)→관]/관(款)자는 원래 기력을 잃고 하품(欠)을 한다는 뜻으로, 느리다는 의미. 나중에 '정성. 항목' 등의 뜻이 추가.

 

處罰(처벌)/곳처,벌할벌.

處(처)-○부수: 夊○풀이: 천천히 걸을 쇠(夊) + 안석 궤(几) + [범 호(虍)→처]/곳 처(處)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집(宀→几) 안에 발(夊)이 들어 있는 모습입니다. 즉 '집 안에 있다, 거주하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이후, '거주하다→살다→(거주하는) 곳→(거주하며) 다스리다→(다스리며) 처리하다→처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나중에 소리를 나타내는 범 호(虍)자가 추가 되면서, 발(夊)이 집 (宀→几) 밖으로 나와 지금과 같은 글자가 되었습니다. 상처(傷處)는 '몸이 상한(傷) 곳(處)'이며, 처세술(處世術)은 '세상(世)을 살아가는(處) 재주(術)'이고, 처형(處刑)이나 처벌(處罰)은 '형벌(刑罰)에 처하다(處)'는 뜻입니다.

罰(벌)-○부수: 网/罒○풀이: 그물 망(网/罒) + 말씀 언(言) + 칼 도(刂)/벌줄 벌(罰)자는 '그물(罒)로 잡은 죄인을 말(言)로 꾸짖고 칼(刂)로 베어 벌(罰)을 주다'는 뜻입니다. 형벌(刑罰)은 죄지은 사람에게 주는 벌입니다.

 

賀禮(하례)/하례할하,예도례.

賀(하)-○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더할 가(加)→하]/하례(賀禮)는 '축하(祝賀)하여 예(禮)를 차린다'는 뜻입니다. 중국인들은(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예로부터 결혼이나 기쁜 일을 축하(祝賀)할 때 돈을 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하례할 하(賀)자에는 조개 패(貝)자가 들어갑니다.

禮(례)-○부수: 示○풀이: 보일 시(示) + 풍년 풍(豊)/예도 예(禮)자에 들어있는 풍족할 풍(豊)자는 제사 그릇(豆) 위에 음식(曲)을 풍족하게 올려놓은 모습입니다. '귀신에게 제사(示)를 지낼 때 음식(豊)을 풍족하게 갖추어 예를 갖추다'는 뜻입니다. 예의(禮儀), 예절(禮節), 예도(禮度) 등에 사용됩니다.

 

部署(부서)/ 떼부,관청서.

部(부)-○부수: 邑/阝○풀이: 고을 읍(邑/阝) + [침 부(咅)]/떼 부(部)자는 원래 중국 신강성(新疆省)의 땅이름입니다. 이후 가차되어 사람의 무리나 떼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이후, '무리, 떼→분야→(사람의 무리가 사는) 마을, 부락(部落)→(마을을) 통솔하다, 거느리다→(통솔하는) 관청→부서'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삼부회(三部會)는 '세(三) 무리(部)로 구성된 모임(會)'으로 성직자(제1신분), 귀족(제2신분), 평민(제3신분) 출신 의원으로 구성된 프랑스의 신분제 의회(議會)입니다. 1신분과 2신분이 의원직을 독점하자, 평민층의 불만이 고조되어 프랑스 혁명의 실마리가 되었습니다. 외교부(外交部)는 '외국(外)과 교류하는(交) 관청(部)'이고, 영업부(營業部)는 '회사에서 영업(營業)을 담당하는 부서(部)' 입니다.

署(서)-○부수: 网/罒○풀이: 그물 망(网/罒) + [사람 자(者)→서]/관청 서(署)자는 관청에서 죄인에게 벌을 주므로 죄(罪)나 벌(罰)을 의미하는 그물 망(罒)자가 들어갑니다. 경찰서(警察署)는 '법을 어기는 사람이 있는지 경계하고(警) 살피는(察) 관청(署)'입니다.

 

忠告(충고)/충성충,고할고.

忠(충)-○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가운데 중(中)→충]/충성 충(忠)자는 원래 '마음(心)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가운데(中)에 있어서 공평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공평하다→정성스럽다→충성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충고(忠告)는 '정성스럽게(忠) 고하다(告)'는 뜻으로, 남의 잘못을 고치도록 진심으로 타이르는 것입니다. 충렬왕(忠烈王)은 '충성(忠)을 열렬하게(烈) 하는 왕(王)'이란 뜻으로, 고려 25대 왕입니다. 당시 원나라의 지배하에서 원나라에 충성한다는 뜻이 담겨 있는 이름입니다. 이후에도 충선왕(忠宣王, 26대), 충숙왕(忠肅王, 27대), 충혜왕(忠惠王, 29대), 충목왕(忠穆王, 29대), 충정왕(忠定王, 30대) 등 모두 충성 충(忠)자가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31대 공민왕(恭愍王)은 원나라 위왕의 딸 노국공주와 결혼하였지만, 몽고의 연호와 관제를 없애고, 고려의 제도를 복귀시키는 등 반원(反元) 정책을 펼쳤습니다.

告(고)-○부수: 口○풀이: 입 구(口) + 소 우(牛)/고할 고(告)자는 '소(牛)를 제물로 바친 후 조상에게 입(口)으로 고(告)하다'는 뜻입니다. '고사를 지내다'에서 고사(告祀)는 액운을 없애고 행운이 오도록 집안에서 섬기는 신령(조상신 ·터주신 ·성주신 ·조왕신 ·삼신신 ·잡신)에게 음식을 차려 놓고 비는 제사입니다. 고사를 지낼 때의 제주(祭主)는, 일반 제사와는 달리 주부(主婦)가 됩니다. 광고(廣告)는 '널리(廣) 알리다(告)'는 뜻이고, 고별(告別)은 '이별(離別)을 알리다(告)'는 뜻입니다.

 

結制(결제)/맺을결,마를제

結(결)-○부수: 糸○풀이: 실 사(糸) + [길할 길(吉)→결]/맺을 결(結)자는 '실(糸)이나 끈으로 묶어 매듭을 맺는다'는 뜻입니다. 이후, 매듭을 맺어 '끝내다, 마치다'는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결합(結合), 결속(結束), 결부(結付) 등에 나오는 결(結)자는 '잇다, 묶다, 맺다'는 뜻이고,결과(結果),결국(結局),결말(結末),결실(結實) 등에 나오는 결(結)자는 '마치다'는 뜻.

制(제)-○부수: 刂○풀이: 칼 도(刂) + 소 우(牛) + 수건 건(巾)/마를 제(制)자는 '옷을 만들기 위해 소(牛) 가죽으로 만든 베(巾)를 칼(刂)로 자르다(마르다)'는 의미입니다. 이후, '마르다→(옷을) 짓다→제작(制作)하다→(칼로 자르듯이) 절제(節制)하다→억제(抑制)하다→제도(制度)' 등의 뜻이 생기면서, 원래의 뜻을 살리기 위해 옷 의(衣)자를 추가하여 (옷을) 지을 제(製)자를 만들었습니다.

 

發射(발사)/필발,쏠사

發(발)-○부수: 癶 ○풀이: 활 궁(弓) + 창 수(殳) + [걸을 발(癶)] /필 발(發)자는 원래 '손(又)에 화살을 들고(殳) 활(弓)을 쏜다, 발사(發射)한다'는 뜻입니다. 창 수(殳)자는 손(又)에 창이나 연장, 막대기 등을 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여기에서는 화살을 들고 있습니다. 이후 '쏘다→떠나다→나타나다→드러내다→일어나다→피다' 등의 여러가지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발사(發射), 발포(發砲)에서는 '쏘다', 발차(發車), 출발(出發)에서는 '떠나다', 발병(發病), 발생(發生)에서는 '나타내다', 발명(發明), 발표(發表)에서는 '드러내다', 발화(發火), 발기(發起)에서는 '일어나다', 발화(發花)에서는 '피다'의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또 두발을 상형하는 걸을 발(癶)과 칠 수(殳)를 합치면 발로 짓밟을 발(癹)이 되어, 소리로 사용되었습니다. 나중에 '피다'는 의미도 생겼습니다.

射(사)- ○부수: 寸○풀이: 활 궁(弓) + 마디 촌(寸)/발사(發射), 사격(射擊), 궁사(弓射)등에 들어가는 쏠 사(射)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손(寸)으로 활(弓)을 쏘는 모습입니다. 이후 활 궁(弓)자가 몸 신(身)자로 모습이 바뀌었는데, 이 이유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반사(反射)는 '되돌려(反) 쏘다(射)'는 뜻으로, 빛이나 파(波)가 다른 물체에 부딪혀서 나아가던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현상입니다. 복사(輻射)는 '수레의 바퀴살(輻)처럼 사방팔방으로 퍼져나가게 쏘다(射)'는 뜻으로, 물체가 방출하는 빛이나 열을 방출하는 현상입니다. 방출을 할 때, 수레나 자전거의 바퀴살처럼 사방팔방으로 퍼져나간다고 해서 복사(輻射)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智略(지략)/지혜지,간략할략.

智(지)-○부수: 日○풀이: 날 일(日) + [알 지(知)]/지혜(智慧), 인의예지(仁義禮智)에 나오는 지혜 지(智)자는 '알고 있는 지식(知識)들이 세월(日)이 지나면 지혜가 된다'는 뜻입니다.

略(략)-○부수: 田○풀이: 밭 전(田) + [각각 각(各)→략]/간략할 략(略)자는 원래 '밭(田)을 다스려 경작하다'는 뜻이었으나, 나중에 노략질할 략(略), 꾀 략(略) 등의 의미가 추가되었습니다. 약도(略圖)는 '간략한(略) 지도(圖)', 약취(略取)는 '노략질하며(略) 가진다(取)', 전략(戰略)은 '전쟁(戰)의 계략(略)'을 뜻합니다

 

秘密(비밀)/숨길비,빽빽할밀.

秘(비)-○부수: 禾○풀이: 벼 화(禾) + [반드시 필(必)→비]/비밀(秘密), 신비(神祕) 등에 들어가는 숨길 비(秘)자는 원래 벼 화(禾)자 대신 귀신 기(示)자가 들어간 숨길 비(祕)자이었습니다. '귀신(示)은 눈에 보이지 않고 숨어있다'는 뜻입니다. 이후 '도적으로부터 벼(禾)를 숨겨둔다'는 뜻으로 바뀌었습니다. 묵비권(默秘權)은 '침묵(默)하며 숨길(秘) 수 있는 권리(權)'라는 뜻으로, 재판에서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密(밀)-○부수: 山○풀이: 메 산(山) + [편안할 밀(宓)]/빽빽할 밀(密)자는 '산(山)이 빽빽하다'는 뜻입니다. 밀도(密度)는 '빽빽한(密) 정도(度)'를 말하고, 밀림(密林)은 '나무가 빽빽한(密) 숲(林)'을 말합니다. 메 산(山)자 대신 벌레 충(虫)자가 들어가면 꿀 밀(蜜)자가 됩니다.

 

實質(실질)/열매실,바탕질.

實(실)-○부수: 宀 ○풀이: 집 면(宀) + 꿸 관(貫)/열매 실(實)자는 원래 '집(宀)안에 있는 돈 꾸러미(貫)'라고 해서 재물이란 뜻을 가졌습니다. 꿸 관(貫)자는 조개를 줄에 꿴 모습인 꿸 관(毌)자에,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조개 패(貝)자가 추가 되었습니다. 옛날에는 돈(조개)을 줄에 꿰어 다녔기 때문입니다. 이후, '재물→열매→곡식이 익다→튼튼하다→참으로→실제로'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옛날에는 곡식이나 열매가 재물이었습니다. 과실(果實)은 '과일(果)의 열매(實)'이고 매실(梅實)은 '매화나무(梅) 열매(實)'입니다. 실학(實學)은 '백성들의 생활에 실제로(實) 도움을 주는 학문(學)'입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오랜 전쟁으로 백성들은 생활이 어려워졌지만, 당시의 유학자들은 이론만 중시하였습니다. 실학은 청나라에서 들어온 고증학과 서양의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 들여 백성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자는 학문입니다.

質(질)-○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도끼 근(斤) + 도끼 근(斤)/바탕 질(質)자는 원래 '돈(貝)을 빌리기 위해 도끼(斤)를 저당물로 잡히다'에서 '저당물'이란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저당물→(저당물의) 품질→본성→바탕'이란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물건을 저당 잡힐 때 저당물의 품질(品質)이 중요했기 때문에 품질이란 뜻이 생겼었습니다. 질권(質權)은 '저당 잡을(質) 권리(權)'로, 채무자가 돈을 갚을 때까지 채권자가 저당물을 간직할 수 있고, 채무자가 돈을 갚지 아니할 때는 그것으로 우선 변제를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품질(品質)은 '물건(物)의 본성이나 성질(性質)'을 뜻하고, 물질(物質)은 '물건(物)의 본바탕(質)'을 뜻합니다.

 

猛烈(맹렬)/사나울맹,매울렬

猛(맹)-○부수: 犭○풀이: 개 견(犭) + [맏 맹(孟)]/짐승의 성격이 사나우니까, 짐승을 의미하는 개 견(犭)자가 들어 갑니다. 사나울 맹(猛)자는 맹렬(猛烈), 맹수(猛獸), 맹타(猛打), 맹호(猛虎), 용맹(勇猛) 등에 사용됩니다.

烈(렬)-○부수: 灬○풀이: 불 화(灬) + [벌일 렬(列)]/세찰 렬(烈)자는 '불(灬)이 넓게 벌어지면서(列) 타 세차다'는 뜻입니다. 이후, '세차다→뜨겁다→맵다→빛나다' 등

의 뜻이 생겼습니다. 민족을 위해 저항하다 의롭게 죽은 사람을 열사나 의사라고 부릅니다. 의사(義士)는 무력을 사용해서 저항한 사람들을 일컫는 반면, 열사(烈士)는 주로 맨몸으로 싸우다 죽은 사람을 일컫습니다. 유관순 열사와 이준 열사는 맨몸으로 싸우다 죽었지만, 윤봉길 의사와 안중근 의사는 각각 도시락 폭탄과 총으로 일본 요인들을 저격하였습니다.

 

純粹(순수)/순수할순,순수할수.

純(순)-○부수: 糸○풀이: 실 사(糸) + [진칠 둔(屯)→순]/실을 만들면 먼저 색으로 염색을 했기 때문에, 색을 나타내는 글자에 실 사(糸)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누에에서 뽑아낸 명주실은 맨 먼저 잿물에 삶아 희고 부드럽게 만듭니다. 이러한 과정을 '누인다'고 하는데, 순수할 순(純)자는 원래 누이지 않은 실을 의미하였는데, 이후 '가공하지 않아 순수하다'는 의미가 추가되었습니다. 순수(純粹), 순결(純潔), 순진(純眞), 순금(純金), 단순(單純) 등에 사용됩니다.

粹(수)- ○부수: 米○풀이: 쌀 미(米) + [군사 졸(卒)→수]/쌀이 깨끗하고 순수하다는 의미에서, 쌀 미(米)자가 들어 갑니다.

 

解雇(해고)/풀해.품팔고.

解(해)-○부수: 角○풀이: 뿔 각(角) + 칼 도(刀) + 소 우(牛)/풀 해(解)자는 원래 '소(牛)에서 칼(刀)로 뿔(角)을 자르다'는 뜻입니다. 이후, '자르다→분할(分割)하다→분해(分解)하다→풀다→풀이하다' 등의 뜻. 가수분해(加水分解)는 '물(水)을 더하면(加) 분해(分解)되는 반응'으로, 사람의 소화기 내에서 음식이 소화되는 과정(녹말→포도당)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雇(고)-○부수: 隹○풀이: 새 추(隹) + [지게문 호(戶)→고]/품팔 고(雇)자의 원래 의미는 뻐꾸기입니다. 뻐꾸기는 새이니까, 새 추(隹)자가 들어갑니다. 봄철에 뻐꾸기가 울면 농사일을 시작하기 때문에 '품(일하는 데에 드는 힘이나 수고)을 판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해고(解雇)는 고용(雇用)한 사람을 내보낸다는 의미입니다. 고공가(雇工歌)는 '고용(雇用)한 직공(職工), 즉 머슴의 노래(歌)'라는 뜻으로, 임진왜란 직후에 허전이 쓴 가사의 이름입니다. 국사(國事)를 한 집안의 농사일에 비유하여, 정사에 힘쓰지 않고 사리사욕만을 추구하는 관리들을 집안의 게으르고 어리석은 머슴에 빗대어 통렬히 비판한 작품입니다.

 

貸與(대여)/빌릴대.더불여.

貸(대)-○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대신할 대(代)]/빌릴 대(貸)자는 '돈(貝)을 내고 대신(代) 물건을 빌리다'는 뜻입니다. 대여(貸與)는 '빌려(貸) 주다(與)'는 뜻입니다. 은대지제도(恩貸地制度)는 '은혜로이(恩)를 땅(地)을 임대(貸)해주는 제도(制度)'로, 중세 유럽 봉건제에서, 영주가 신하나 기사들에게 땅을 주는 대가로 군역 따위의 봉사 의무를 요구한 제도.

與(여)-○부수: 臼○풀이: 줄 여(与) + [마주들 여(舁)]/더불 여(與)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글자 중앙에 있는 글자가 어금니 아(牙)자의 모습입니다. 즉, '여러 명이 상아(象牙)를 마주 들고(舁) 건네주다'는 뜻. 이후, '주다→(주면서) 돕다→(돕기 위해) 참여(參與)하다→더불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또, 글자의 모습도 어금니 아(牙)자가 여(与)자로 변했고, 이후 여(與)자는 간략하게 여(与)자로 사용. 지금 중국 간체자나 약자로도 여(与)자가 사용.

 

現實(현실)/나타날현,열매실.

現(현)-○부수: 玉/王○풀이: 구슬 옥(玉/王) + [뵈올 현(見)]/현실(現實), 현재(現在) 등에 포함된 나타날 현(現)자는 '옥(玉/王)을 보면(見) 빛이 나타나다'는 뜻입니다. 소리 부분인 뵈올 현(見)자는 볼 견(見)자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實(실)-○부수: 宀 ○풀이: 집 면(宀) + 꿸 관(貫)/열매 실(實)자는 원래 '집(宀)안에 있는 돈 꾸러미(貫)'라고 해서 재물이란 뜻을 가졌습니다. 꿸 관(貫)자는 조개를 줄에 꿴 모습인 꿸 관(毌)자에,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조개 패(貝)자가 추가 되었습니다. 옛날에는 돈(조개)을 줄에 꿰어 다녔기 때문입니다. 이후, '재물→열매→곡식이 익다→튼튼하다→참으로→실제로'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옛날에는 곡식이나 열매가 재물이었습니다. 과실(果實)은 '과일(果)의 열매(實)'이고 매실(梅實)은 '매화나무(梅) 열매(實)'입니다. 실학(實學)은 '백성들의 생활에 실제로(實) 도움을 주는 학문(學)'입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오랜 전쟁으로 백성들은 생활이 어려워졌지만, 당시의 유학자들은 이론만 중시하였습니다. 실학은 청나라에서 들어온 고증학과 서양의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 들여 백성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자는 학문입니다.

 

空想(공상)/빌공,생각상.

空(공)-○부수: 穴○풀이: 구멍 혈(穴) + [장인 공(工)]/빌 공(空)자는 '굴이나 구멍(穴)의 안이 비어 있다'는 뜻입니다. 필기를 하는데 사용하는 공책(空冊)은 '내용이 비어있는(空) 책(冊)'이고, 공명첩(空名帖)은 '이름(名)을 적는 난이 비어(空) 있는 장부(帖)'로, 조선 시대에 돈이나 곡식을 바치는 사람에게 벼슬을 주던 임명장입니다. 이름을 적는 란을 비워두었다가 돈이나 곡식을 바치는 사람에게 즉석해서 이름을 적어 넣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국가재정이 바닥나자, 국가에서는 공명첩을 발행하여 돈을 모아 가난한 백성을 구제.

想(상)-○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서로 상(相)]/생각 상(想)자는 '상대편(相)에 바라며 마음(心)으로 생각하다'는 뜻입니다. 사상(思想)은 '생각(思)과 생각(想)'이란 뜻으로, 어떠한 대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생각을 말합니다.

 

報償(보상)/갚을보,갚을상.

報(보)-○부수: 土○풀이: 다행 행(幸) + 병부 절(卩) + 또 우(又)/ 알릴/갚을 보(報)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꿇어 앉아 있는 사람(卩)에게 수갑(幸)을 채운 모습 옆에 손(又)이 있는 모습입니다. 아마도 재판을 받는 모습으로 추측됩니다. 이후 '재판하다→(재판 결과를) 알리다→(벌로 죄를) 갚다'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홍보(弘報)는 '널리(弘) 알리다(報)'는 뜻이고, 음덕양보(陰德陽報)는 '그늘(陰)에서 쌓은 덕(德)을 밝은 볕(陽)에서 갚다(報)'는 뜻으로, 남 모르게 덕을 쌓은 사람은 반드시 뒤에 복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동아일보(東亞日報)는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쪽(東) 아시아(亞)에서 일어나는 일을 날마다(日) 알려주는(報) 신문'입니다.

▶ 음덕양보(陰:그늘 음 德:덕 덕 陽:볕 양 報:갚을 보) : 남 모르게 덕을 쌓은 사람은 반드시 뒤에 복을 받는 다는 뜻

▶ 결초보은(結:묶을 결 草:풀 초 報:갚을 보 恩:은혜 은) :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라는 뜻으로,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일컬음.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중국 춘추시대, 풀을 묶어 놓아 적군이 탄 말이 걸려 넘어지게 하여 은혜를 갚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

償(상)-償(상)-○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상줄 상(賞)]/상줄 상(賞)자에 사람 인(亻)자를 붙이면, 갚을 상(償)자가 됩니다. '사람(亻)이 상(賞)을 받은 은혜를 갚다'는 뜻입니다. 배상(賠償), 변상(辨償), 보상(報償), 상환(償還) 등에 사용됩니다.

 

理論(이론)/다스릴리,논할론.

理(이)-理(리)-○부수: 玉/王○풀이: 구슬 옥(玉/王) + [마을 리(里)]/다스릴 리(理)자는 원래 옥에 있는 무늿결을 말합니다. '이러한 무닛결을 잘 다루어야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데에서 '다스리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또, 다스리려면 이치에 맞게 다스려야하기 때문에 '이치'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과학시간에 지층이나 암석과 관련되는 용어와 함께 사용할 때는 모두 무늿결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층리(層理)는 '퇴적암에서 층(層)을 따라 생기는 무닛결(理)'이고, 편리(片理)는 '조각(片)으로 쪼개지는 무닛결(理)'이며, 엽리(葉理)는 '나뭇잎(葉)처럼 쪼개지는 무닛결(理)'입니다. 또, 주상절리(柱狀節理)는 '기둥(柱) 모양(狀)의 마디(節)나 무닛결(理)'입니다.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나라(國)의 일(務)을 모두(總) 다스리는(理) 사람'으로, 대통령 바로 아래에서 행정부를 총괄하는 사람입니다. 이성(理性)은 '자신의 의지로 다스릴(理) 수 있는 성품(性)'으로, 자신의 의지는 상관없이 생기는 감정(感情)과는 반대말입니다. 사리(事理)는 '일(事)의 이치(理)'이고, 도리(道理)는 자연이 흘러가는 길(道)의 이치(理)'입니다.

論(론)-○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둥글 륜(侖)→론]/논할 론(論)자는 '말(言)로 책(侖)에 대해서 논하다'는 뜻입니다. 둥글 륜(侖)자는 책(冊)을 둥글게 말아 모아놓은(亼) 모습입니다. 사서삼경 중의 하나인 논어(論語)는 '토론(論)과 말씀(語)'이란 뜻으로,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전하는 책입니다. 책의 형식이 공자와 그 제자들이 토론(討論)한 내용과 공자가 남긴 말씀이 실려 있습니다. 그래서 책 이름이 논어가 되었습니다.

 

逝去(서거)/갈서,갈거.

逝(서)-○부수: 辶○풀이: 갈 착(辶) + [꺾을 절(折)→서]/갈 서(逝)자는 '목숨이 꺾여(折) 저승으로 가다(辶)'는 뜻으로, '죽다, 가다'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서거(逝去)는 '가고(逝) 가다(去)'는 뜻으로, 죽음의 높임말입니다.

去(거)-○부수: 土○풀이: 흙 토(土) + 나 사(厶)/갈 거(去)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큰 사람(大)의 다리 사이에 입 구(口)자가 그려져 있습니다. 입 구(口)자가 무었을 의미하는지는 아직도 논란이 많은데, 입 구(口)자가 구멍이나 들락날락하는 출입구(出入口)라는 뜻으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아마도 사람의 항문을 표시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갈 거(去)자는 원래 '버리다'는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버리다→내쫓다→물리치다→피하다→가다→과거(過去)'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勝負(승부)/이길승.질부.

勝(승)-○부수: 力○풀이: 힘 력(力) + [밀어 올릴 등(朕)→승]/힘이 세면 전쟁에서 이기거나 공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글자에도 힘 력(力)자가 들어갑니다. 승리(勝利), 승패(勝敗), 승부(勝負) 등에 들어가는 이길 승(勝)자는 '힘(力)으로 밀어 붙여(朕) 이기다'는 뜻입니다. 이후, '이기다→뛰어나다→훌륭하다→경치가 좋다'는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명승지(名勝地)는 '경치 좋기로(勝) 이름(名)난 땅(地)'입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동쪽나라(東國: 우리나라) 땅(輿地)의 경치 좋은(勝) 곳을 둘러보다(覽)'는 뜻으로, 조선 성종의 명(命)에 따라 노사신 등이 편찬한 우리나라의 지리책입니다.

負(부)-○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사람 인(人)/질 부(負)자는 원래 '사람(人)이 갚아야할 돈(貝)', 즉 빚을 뜻하는 글자였습니다, 이후, '빚→빚을 지다→부담을 지다→짐을 지다'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부채(負債)는 '다른 사람에게 진(負) 빚(債)'이고, 부담(負擔)은 '짐을 지고(負) 메다(擔)'는 뜻. 보부상(褓負商)은 '포대기(褓)를 지고(負) 다니며 장사(商)하는 사람'으로, 봇짐장수를 말함.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때부터 있었지만, 조선 시대부터 활발한 활동을 하였으며, 전쟁 때에는 식량을 조달하는 따위의 나랏일에도 동원.

 

勤勉(근면)/부지런할근,힘쓸면.

勤(근)-○부수: 力○풀이: 힘 력(力) + [진흙 근(堇)]/부지런할 근(勤)자는 '힘(力)이 있어서 일을 하는데 부지런하다'는 뜻입니다. 근면(勤勉)은 '부지런히(勤) 힘쓰다(勉)'는 뜻이고, 근정전(勤政殿)은 '임금이 부지런하게(勤) 정치(政)를 하는 대궐(殿)'로, 경복궁의 가장 중심이 되는 건물입니다.

勉(면)- ○부수: 力○풀이: 힘 력(力) + [면할 면(免)]/힘쓸 면(勉)자에 들어가는 면할 면(免)자는 아이를 낳는 모습으로, '아이를 낳을 때 힘(力)을 쓴다'는 의미입니다. 근면(勤勉)은 '부지런히(勤) 힘쓰다(勉)'는 뜻입니다. 면암집(勉菴集)은 46권으로 이루어진 '면암(勉菴)이 만든 문집(集)'으로,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면암은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최익현의 호입니다. 1855년 과거에 급제하여 높은 관직에 올랐으나, 흥선대원군의 실정(失政)을 상소하여 관직을 박탈당하였고, 일본과의 통상조약과 단발령(斷髮令)에 격렬하게 반대하였으며,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항일 의병 운동을 하다 체포되어 쓰시마 섬으로 끌려간 뒤, 일본이 주는 음식은 먹을 수 없다 하여 단식하다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累積(누적)/포갤루,여러루,쌓을적.

累(누)-○부수: 糸○풀이: 실 사(糸) + [밭사이 땅 뢰(畾)→루]/여러 루(累)자는 '여러 개의 물건(畾)을 실(糸)로 묶다'는 뜻의 묶을 루(纍)자가 간략화 된 글자입니다. 이후 '묶다→여러 (개의 물건을 묶다)→(여러 개를) 쌓다, 포개다' 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누적(累積)은 '쌓고(累) 쌓는다(積)'는 뜻이고, 누란지세(累卵之勢)는 '알(卵)을 높이 쌓아(累) 놓은 듯한(之) 형세(勢)'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일컫는 말입니다. 또, 누차(累次)는 '여러(累) 차례(次)'를 일컫는 말입니다. 또, 누(累)자는 높이 쌓거나 포개면, 아래에 있거나 뒤에 있는 사람에게 폐를 끼친다고 해서, '폐를 끼치다' 또는 '누(累)가 되다'는 뜻도 있습니다.

▶ 누란지세(累:쌓을 루 卵:알 란 之:갈 지) 勢:기세 세) : 알을 쌓아 놓은 듯한 형세. 즉 매우 위태로운 형세

積(적)-○부수: 禾○풀이: 벼 화(禾) + [꾸짖을 책(責)→적]/쌓을 적(積)자는 '수확한 벼(禾)는 앃아두다'는 의미입니다. 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은 '돌(石)을 쌓은(積) 내부에 나무(木)로 만든 곽(槨)을 넣은 무덤(墳)'으로, 3세기~6세기 초의 신라시대의 고분이 모두 적석목곽분이며, 천마총과 황남대총이 특히 유명합니다. 적운(積雲)은 '수직으로 놀이 쌓여있는(積) 구름(雲)'으로, 습도가 높은 열대지방이나 더운 여름에는, 습기가 많은 공기가 뜨거워져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구름이 되는데, 이와 같은 구름이 적운입니다.

 

納付(납부)/들일납.줄부.

納(납)-○부수: 糸○풀이: 실 사(糸) + [들일 납(內)]/납입(納入), 납세(納稅), 납부(納付), 출납(出納) 등에 사용되는 들일 납(納)자는 원래 '실(糸)을 염색하기 위해 물에 넣다'는 뜻입니다. 원납전(願納錢)은 '자신이 원해서(願) 납부하는(納) 돈(錢)'이란 뜻으로, 조선 후기 대원군이 경복궁을 새로 고치기 위해 거둔 기부금. 원래 기부금은 스스로 원해서 내지만, 원납전은 강제적으로 거두었고, 심지어 많이 내는 사람에게 벼슬까지 주는 등 폐해가 많았음.

付(부)-○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마디 촌(寸)/줄 부(付)자는 '손(寸)으로 사람(亻)에게 주다'는 뜻입니다. 마디 촌(寸)자는 손의 상형입니다. 이후, '주다→맡기다→부탁(付託)하다→의지하다→붙이다' 등의 뜻. 발부(發付)는 '증명서 등을 발행(發行)하여 주다(付)'는 뜻이고, 부탁(付託)은 '부탁하고(付) 부탁하다(託)'는 뜻입니다.

 

緊密(긴밀)/긴할긴,빽빽할밀.

緊(긴)-○부수: 糸○풀이: 실 사(糸) + [굳을 간(臤)→긴]/팽팽할 긴(緊)자는 '실(糸)이 굳은(臤) 것처럼 팽팽하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긴장(緊張), 긴급(緊急), 긴박(緊迫) 이란 말을 들으면 팽팽함이 느껴집니다.

密(밀)-○부수: 山○풀이: 메 산(山) + [편안할 밀(宓)]/빽빽할 밀(密)자는 '산(山)이 빽빽하다'는 뜻입니다. 밀도(密度)는 '빽빽한(密) 정도(度)'를 말하고, 밀림(密林)은 '나무가 빽빽한(密) 숲(林)'을 말합니다. 메 산(山)자 대신 벌레 충(虫)자가 들어가면 꿀 밀(蜜)자가 됩니다.

 

感情(감정)/느낄감,뜻정.

感(감)-○부수: 心/忄 ○풀이: 마음 심(心) + [다 함(咸)→감]/감각(感覺), 감정(感情), 감동(感動) 등에 들어가는 느낄 감(感)자는 '마음(心)으로 모두 다(咸) 느끼다'는 뜻입니다. 터치 폰(touch phone)에서 감압식(感壓式)은 '압력(壓力)을 느끼면(感) 반응(應)하는 방식(式)'이고, 정전식(靜電式)은 '손가락 끝에 흐르는 정전기(靜電氣)를 인식해 반응하는 방식(式)'입니다. 전기의 전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정전식이 빨리 반응하지만, 볼펜 등 다른 사물에는 잘 반응하지 않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情(정)-○부수: 忄○풀이: 마음 심(忄) + [푸를 청(靑)→정]/뜻 정(情)자는 '푸른(靑) 마음(忄), 즉 순수하고 타고난 대로의 본성(本性)'을 말합니다. 이후, '본성(本性)→마음의 작용→뜻→(본성과 같은) 진상→상태→(본성대로의) 욕망→사랑'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감정(感情), 애정(愛情), 정열(情熱), 정서(情緖) 등에서는 마음의 작용이나 뜻을, 정세(情勢), 정보(情報), 사정(事情) 등에서는 진상이나 상태를, 욕정(欲情/慾情), 정부(情婦). 정사(情事) 등에서는 욕망이나 사랑을 뜻합니다.

 

名譽(명예)/이름명,기릴예.

名(명)-○부수: 口○풀이: 입 구(口) + 저녁 석(夕)/성명(姓名), 명찰(名札) 등에 나오는 이름 명(名)자는 '저녁(夕)이 되어 어두워지면, 입(口)으로 이름(名)을 불러 서로를 분간한다'는 뜻에서 이름이란 뜻이 생겼습니다.

譽(예)-○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더불 여(與)→예]/기릴 예(譽)자에 들어가는 더불 여(與)자는 '기리다, 칭찬하다'는 뜻. 이후,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말씀 언(言)자가 추가되었습니다. 명예(名譽)는 '이름(名)을 기리다(譽)'는 뜻으로, 세상에서 인정받는 좋은 이름이나 자랑이고, 명예혁명(名譽革命)은 '명예(名譽)로운 혁명(革命)'으로, 1688년에 영국에서 전제 왕정을 입헌군주제로 바꾸는 데 성공한 혁명입니다. 피를 흘리지 않고 평화롭게 성공하였다는 뜻으로 명예혁명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自立(자립)/스스로자,설립

自(자)-○부수: 自○풀이: 코 모습/믿기 힘들겠지만 '스스로' 혹은 '자기 자신'이란 의미를 가진 자(自)자는 코의 앞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예를 들어, 냄새 취(臭)자는 개 견(犬)자와 스스로 자(自)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개(犬)의 코(自)가 냄새를 잘 맡기 때문에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코가 왜 '자기 자신'을 일컫는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주장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사람의 중심은 머리이고, 머리에서 가장 중앙에 코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머리나 얼굴을 지칭하는 머리 혈(頁), 머리 수(首), 얼굴 면(面)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공통적으로 자(自)가 들어가는 것이 이런 주장을 뒷받침. 또 다른 주장은, 중국인들이 자신을 가리킬 때 손가락으로 코를 가리켜서 '자기 자신'이란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자신을 가리킬 때 손가락으로 코를 가리키는 것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이후 '코→자신→스스로→저절로'라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자기(自己)는 '자신(自)의 몸(己)'이란 뜻이고, 자동차(自動車)는 '저절로(自) 움직이는(動) 수레(車)'라는 뜻입니다. 항상 그렇듯이, 자(自)자가 다른 글자 내에서 사용될 때에는 본래의 뜻인 '코'라는 뜻을 가집니다.

스스로 자(自)자는 영어의 'from~'처럼 '~로부터'라는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등고자비(登高自卑)는 '높은(高) 곳에 오르려면(登) 낮은(卑) 곳에서부터(自) 출발해야 한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다는 말입니다. 중용(中庸)에 나오는 이 말은, 나중에 '높은(高) 자리에 오를수록(登) 자신(自)을 낮추어야(卑) 한다'는 뜻도 생겼습니다.

立(립)-○부수: 立○풀이: 땅에 서있는 사람 모습/설 립(立)자는 두 팔을 벌린 사람(大→六)이 땅(一)을 딛고 서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입법부(立法府)는 '법(法)을 세우는(立) 관청(府)'이란 뜻으로, 법을 만드는 국회(國會)를 이르는 말입니다.

 

充實(충실)/찰충,열매실.

充(충)-○부수: 儿○풀이: 어진사람 인(儿) + 아이돌아 나올 돌(돌)/충분(充分), 충실(充實), 충전(充電), 충족(充足) 등에 들어가는 채울 충(充)자에 들어있는 아이 돌아나올 돌(★)자는 배속의 아기가 태어날 때 머리를 아래로 해서 나오는 아기(子자를 180도 회전)의 모습입니다. 즉 만삭이 된 배가 가득 차 있는 모습에서 '채우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충혈(充血)은 '피(血)로 채워지다(充)'는 뜻으로, 눈의 흰자위가 붉게 변하거나, 모기에게 물려 긁으면 그 자리가 붉게 변하는 것과 같이 몸의 일정한 부분에 피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모이는 것을 충혈이라고 합니다.

實(실)-○부수: 宀 ○풀이: 집 면(宀) + 꿸 관(貫)/열매 실(實)자는 원래 '집(宀)안에 있는 돈 꾸러미(貫)'라고 해서 재물이란 뜻을 가졌습니다. 꿸 관(貫)자는 조개를 줄에 꿴 모습인 꿸 관(毌)자에,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조개 패(貝)자가 추가 되었습니다. 옛날에는 돈(조개)을 줄에 꿰어 다녔기 때문입니다. 이후, '재물→열매→곡식이 익다→튼튼하다→참으로→실제로'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옛날에는 곡식이나 열매가 재물이었습니다. 과실(果實)은 '과일(果)의 열매(實)'이고 매실(梅實)은 '매화나무(梅) 열매(實)'입니다. 실학(實學)은 '백성들의 생활에 실제로(實) 도움을 주는 학문(學)'입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오랜 전쟁으로 백성들은 생활이 어려워졌지만, 당시의 유학자들은 이론만 중시하였습니다. 실학은 청나라에서 들어온 고증학과 서양의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 들여 백성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자는 학문입니다.

 

加熱(가열)/더할가,더울열.

加(가)-○부수: 力○풀이: 힘 력(力) + 입 구(口)/더할 가(加)자는 '쟁기질(力)하는 사람에게 입(口)으로 더 잘하라'고 말하는 데에서 '더하다'는 뜻이 붙었습니다. 가속도(加速度)는 '단위 시간 당 속도(速)가 증가(增加)하는 정도(程度)'입니다.

熱(열)-○부수: 灬○풀이: 불 화(灬) + [심을 예(埶)→열]/더울 열(熱)자는 '불(灬)이 있으니 덥다'는 뜻입니다.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중국의 열하(熱河)로 여행하면서 날(日)마다 기록(記)한 책'으로, 조선 정조 4년(1780년)에 박지원이 중국 청나라의 건륭제 칠순 잔치에 가는 사신을 따라 갔을 때, 보고들은 것을 일기(日記)처럼 적은 기행문입니다. 이 책에서는 당시 중국에 소개되었던 새로운 서양 학문을 소개하였고, 허생전(許生傳)과 호질(虎叱) 등의 단편 소설도 실려 있습니다. 열하는 중국의 하북성에 있는 강으로 겨울에도 강이 얼지 않기 때문에 열하(熱河: 러허)라고 합니다.박지원의 ‘열하일기’

 

延長(연장)/늘일연,길장,어른장

延(연)-○부수: 廴○풀이: 길게 걸을 인(廴) + 바를 정(正)/끌 연(延)자는 원래 '먼 길(彳)을 가다(止→正)'는 뜻입니다. 이후, '멀다→길다→끌다'라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는 '세상(世)을 끌고(延) 나가는 인재를 키우는 대학교(大學校)'입니다.

長(장)-○부수: 長○풀이: 머리 긴 노인 모습/늙을 로(老)자의 상형문자를 살펴보면 위쪽(耂)은 긴 머리카락을, 아래쪽에 있는 비(匕)자는 사람의 모습입니다. 즉 머리카락이 긴 늙은 노인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늙을 로(老)자와 아주 비슷한 상형문자로는 길 장(長)자가 있습니다. 늙을 로(老)자에는 지팡이가 없고, 길 장(長)자는 지팡이가 있을 뿐입니다. '길다'는 의미는 노인의 머리카락이 길기 때문입니다. 조상신을 모신 중국에서는 부모님이 주신 몸을 훼손할 수 없기에 머리를 깍지 않아 노인이 되면 머리가 길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客觀(객관)/손님객,볼관.

客(객)-○부수: 宀○풀이: 집 면(宀) + [각각 각(各)→객]/집(宀) 안에 발(夂)이 있는 손님 객(客)자는 '집(宀)에 오는(各) 사람이 손님이다'는 뜻입니다. 각각 각(各)자는 뒤따라올 치(夂)자와 입 구(口)자가 합쳐진 글자로 원래 '집(口)으로 오다(夂)'는 뜻이 있습니다. 객관(客觀)은 '손님(客)의 입장에서 보다(觀)'는 뜻으로써 제삼자의 입장에서 사물을 보거나 생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는 주관(主觀)입니다.

觀(관)-○부수: 見○풀이: 볼 견(見) + [황새 관(雚)]/볼 관(觀)자에 들어가는 황새 관(雚)자는 두 눈(口口)을 강조한 새(隹)의 모습입니다. 따라서 볼 관(觀)자는 '두 눈을 부릅뜬 황새(雚)가 보다(見)'는 뜻입니다. 관찰사(觀察使)는 '보고(觀) 살피기(察) 위해 임금이 보낸 사신(使)'이란 뜻으로, 조선 시대 각 도(道)의 으뜸 벼슬로 오늘날의 도지사에 해당합니다. 관찰사는 감사(監司: '살피는(監) 것을 맡음(司)'이란 뜻)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평양(평안) 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때 평양 감사는 평양에 거주하는 평안도 관찰사입니다. 관념주의(觀念主義)는 '보고(觀) 생각(念)하는 주의(主義)'로, 객관적인 대상을 주관적으로 보고(觀) 생각(念)하는 대로 표현하려는 예술계의 경향입니다.

 

敏感(민감)/재빠를 민, 느낄감.

敏(민)-○부수: 攵○풀이: 칠 복(攵) + [매양 매(每)→민]/재빠를 민(敏)자는 원래 '회초리로 때려서(攵) 일하게 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일하다→힘쓰다→재빠르다→민첩(敏捷)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민어사이신어언(敏於事而愼於言)은 '군자는 일(事)에는(於) 민첩하고(敏), 말(言)에는(於) 신중해야(愼) 한다'는 뜻으로,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입니다.

感(감)-○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다 함(咸)→감]/감각(感覺), 감정(感情), 감동(感動) 등에 들어가는 느낄 감(感)자는 '마음(心)으로 모두 다(咸) 느끼다'는 뜻입니다. 터치 폰(touch phone)에서 감압식(感壓式)은 '압력(壓力)을 느끼면(感) 반응(應)하는 방식(式)'이고, 정전식(靜電式)은 '손가락 끝에 흐르는 정전기(靜電氣)를 인식해 반응하는 방식(式)'입니다. 전기의 전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정전식이 빨리 반응하지만, 볼펜 등 다른 사물에는 잘 반응하지 않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浪費(낭비)/물결낭(랑),쓸비.

浪(낭)-○부수: 氵○풀이: 물 수(氵) + [어질 량(良)→랑]/물결 랑(浪)자는 '물결→(물결과 같이) 떠돌아다니다→마구, 함부로 (물결이 일다)' 등의 뜻이 새로 생겼습니다. 유랑(流浪)은 '흘러서(流) 떠돌아다니다(浪)', 낭설(浪說)은 '떠돌아 다니는(浪) 이야기(說)', 낭비(浪費)는 '마구(浪) 쓰다(費)', 파랑(波浪)은 '물결(波)과 물결(浪)'이란 뜻입니다.

費(비)-○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아니 불(弗)→비]/돈(조개)을 쓰므로, 조개 패(貝)자가 들어갑니다.

 

質疑(질의)/바탕질,의심할의.

質(질)-○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도끼 근(斤) + 도끼 근(斤)/바탕 질(質)자는 원래 '돈(貝)을 빌리기 위해 도끼(斤)를 저당물로 잡히다'에서 '저당물'이란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저당물→(저당물의) 품질→본성→바탕'이란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물건을 저당 잡힐 때 저당물의 품질(品質)이 중요했기 때문에 품질이란 뜻이 생겼었습니다. 질권(質權)은 '저당 잡을(質) 권리(權)'로, 채무자가 돈을 갚을 때까지 채권자가 저당물을 간직할 수 있고, 채무자가 돈을 갚지 아니할 때는 그것으로 우선 변제를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품질(品質)은 '물건(物)의 본성이나 성질(性質)'을 뜻하고, 물질(物質)은 '물건(物)의 본바탕(質)'을 뜻.

疑(의)-○부수: 疋○풀이: 발 소(疋) + 비수 비(匕) + 화살 시(矢) + 창 모(矛)/의심할 의(疑)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갈림길에서 지팡이를 든 노인이 길을 잃고, 어디로 가야할지 머뭇거리는 모습에서, '머뭇거리다, 헛갈리다, 의심(疑心)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이 글자에 병 녁(疒)자가 추가되면, 어리석을 치(癡)자가 됩니다. 치매(癡呆)나 바보 천치(天癡)에 사용되는 이 글자는 '정신이 헛갈리어(疑) 갈팡질팡 헤매는 병(疒)'이란 뜻입니다. 이후 글자의 모양도 바뀌었는데, '발(疋) 아래에 있는 것이 비수(匕)인지, 화살(矢)인지, 창(矛)의 머리인지 의심(疑心)스럽다'로 외우면 쉽게 외울 수 있습니다. 피의자(被疑者)는 '의심(疑)을 당하는(被) 사람(者)'으로 범죄자로 의심되어서 수사 대상이 된 사람입니다.

 

斬新(참신)/벨참,새신.

斬(참)-○부수: 車○풀이: 수레 차/거(車) + 도끼 근(斤)/참수(斬首), 능지처참(陵遲處斬), 부관참시(剖棺斬屍) 등의 형벌에 관한 글자에 등장하는 벨 참(斬)자는 원래 '도끼(斤)로 머리를 자르거나 사지를 절단하는 형벌'을 일컫는 글자에서 '베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참수(斬首)는 '머리(棺)를 베는(斬) 형벌'입니다. 능지(陵遲) 혹은 능지처참(陵遲處斬)은 '언덕(陵)에 올라가듯이 최대한 느리게(遲), 베어(斬) 죽이는 형에 처(處)한다'는 뜻으로, 그 형벌의 끔찍함이 너무 엽기적이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중국 명나라의 법전인 대명률(大明律)을 따랐던 우리나라에서도 능지처참이 도입되었는데, 너무 잔인하다하여 수레(車)에 사지를 묶어 사방에서 당겨 죽이는 거열형(車裂刑)으로 완화되었습니다. 부관참시(剖棺斬屍)는 '관(棺)을 쪼개어(剖) 꺼낸 시신(屍)을 베다(斬)'는 뜻으로 옛날에 죽은 뒤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에게 내리던 형벌입니다.

新(신)-○부수: 斤○풀이: 도끼 근(斤) + 나무 목(木) + [매울 신(辛)]/새로울 신(新)자는 '도끼(斤)로 나무(木)를 쪼갠 자리가 깨끗하고 새롭다'는 뜻입니다. '새로운(新) 백성(民)의 모임(會)'이란 뜻의 신민회(新民會)는 1907년에 안창호가 국권 회복을 목적으로 조직한 항일 비밀 결사 단체입니다. 1910년에 데라우치(寺內) 총독 암살 모의 사건으로 많은 회원이 투옥됨으로써 해체되었습니다. 신생대(新生代)는 '새로운(新) 생물(生)이 살았던 시대(代)'라는 뜻으로, 현재 살고 있는 포유류, 조류, 어류 등이 번성하는 시대입니다. 지질시대에서 가장 새로운 생물(生物)이 살고 있다고 해서 신생대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신생대는 3기와 4기로 나누어집니다. 원래 1기와 2기가 있었으나, 1기는 중생대 말기로, 2기는 신생대 3기로 포함되면서 사라졌습니다.

 

分明(분명)/나눌분,밝을명.

分(분)-○부수: 刀○풀이: 칼 도(刀) + 여덟 팔(八)/나눌 분(分)자에 들어있는 여덟 팔(八)자는 둘로 나누어져 있는 모습으로 원래 '나누다'는 뜻을 가지고 있었으나, 나중에 가차되어 여덟이란 뜻이 생기면서 원래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칼 도(刀)자가 추가 되었습니다. 고등학교 수학 시간에 배우는 미분(微分)은 '작게(微) 나누다(分)'는 뜻으로, 어떤 함수에서 아주 작은 구간을 나누어 이 구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수학이며, 반대로 적분(積分)은 '작게 나누어진(分) 것을 합쳐서 쌓다(積)'는 뜻으로, 어떤 함수에서 아주 작은 구간들을 합쳐서 쌓으면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수학입니다.

明(명)- ○부수: 日○풀이: 날 일(日) + 달 월(月)/'해(日)와 달(月)이 있어서 밝다'고 알고 있는 밝을 명(明)자는 원래 창문 경(囧→日)자와 달 월(月)자가 합쳐진 글자(朙)입니다. '창문(囧→日)에 달(月)이 비치니 밝다'는 뜻입니다. 창문 경(囧)자는 나중에 날 일(日)자로 바뀌었습니다

☞ 해(日)와 달(月)이 함께 있으니 밝다고 암기하세요.

 

需要(수요)/쓰일수,요긴할요.

需(수)-○부수: 雨○풀이: 비 우(雨) + 말이을 이(而)/비 우(雨)자가 들어가도 비와 상관없는 글자도 있습니다. 수요(需要), 군수품(軍需品), 내수(內需) 등에 사용되는 구할 수(需)자는 제사를 지내려고 목욕을 마친 사람(제관)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몸에서 물이 뚝뚝 떨어지고 있는 사람이 제사를 지내기 위해 '제물을 구하려고 한다'고 해서 '구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나중에는 글자 모양이 변해, 비 우(雨)자 아래에 사람(大→而)이 서 있는 모습이 되었습니다. 즉, 비가 오도록 하기(구하기) 위해 기우제를 지내는 모습으로 추측됩니다. 나중에는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란 의미로 사람 인(人)자가 추가되어 선비 유(儒)자가 되었습니다. 선비들이 하는 일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제사를 지내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要(요)○부수: 女○풀이: 사람 허리 모습/ 중요할/구할 요(要)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허리에 두 손(臼)을 올리고 있는 여자(女)의 모습으로 덮을 아(襾)자나 여자 녀(女)자와는 상관없는 글자입니다. 원래의 의미는 허리였으나, '허리는 사람 몸의 중앙에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는 뜻으로 사용되자, 원래의 뜻을 살리기 위해 고기 육(肉/月)자가 추가되어 허리 요(腰)자가 되었습니다. 이후, '중요(重要)하다→(중요한 것을) 원하다→요구(要求)하다→구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훈요십조(訓要十條)는 '훈계(訓)하는 중요한(要) 열(十) 가지 조항(條)'으로, 943년 고려 태조가 그의 후손들에게 남긴 열 가지 유훈(遺訓)입니다.

 

正常(정상)/바를정,항상상.

正(정)-○부수: 止○풀이: 그칠 지(止) + 한 일(一)/바를 정(正)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나라를 의미하는 위(口)자 아래에 발을 의미하는 지(止)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이 글자는 다른 나라의 정벌에 나선 군인들의 발을 표현하여 '나라를 정벌한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입니다. 이 모습은 발 족(足)자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위(口)자가 한 일(一)자로 변해 정(正)자가 되었습니다. 다른 나라를 치기 위해서는 옳바른 명분이 있어야하고, 이런 이유로 나중에 '바르다'라는 의미로 변형되었습니다. 또한, '정벌하러 간다'는 원래의 의미를 보존하기 위해 걸을 척(彳)자을 추가해 칠 정(征)자를 만들었습니다.

常(상)-○부수: 巾○풀이: 수건 건(巾) + [오히려 상(尙)]/항상 상(常)자는 '천(巾)이 처음부터 끝까지 항상(恒常) 똑 같다'는 데에서 유래합니다. 수학에서 상수(常數)는 '값이 항상(常) 일정한 수(數)'로, 값이 변할 수 있는 변수(變數)에 반대되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상수는 숫자이지만, 알파벳으로 표시하는 경우 대문자 C로 표시하는데, C는 '일정한'이란 뜻의 'Constant'의 머리글을 딴 글자입니다. 상평통보(常平通寶)는 '항상(常) 고르게(平) 통용되는(通) 보배(寶)'라는 뜻으로, 조선시대의 화폐입니다. 상록수(常綠樹)는 '소나무와 같이 잎이 항상(常) 푸른(綠) 나무(樹)'입니다.

 

實際(실제)/열매실,즈음제.

實(실)-○부수: 宀 ○풀이: 집 면(宀) + 꿸 관(貫)/열매 실(實)자는 원래 '집(宀)안에 있는 돈 꾸러미(貫)'라고 해서 재물이란 뜻을 가졌습니다. 꿸 관(貫)자는 조개를 줄에 꿴 모습인 꿸 관(毌)자에,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조개 패(貝)자가 추가 되었습니다. 옛날에는 돈(조개)을 줄에 꿰어 다녔기 때문입니다. 이후, '재물→열매→곡식이 익다→튼튼하다→참으로→실제로'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옛날에는 곡식이나 열매가 재물이었습니다. 과실(果實)은 '과일(果)의 열매(實)'이고 매실(梅實)은 '매화나무(梅) 열매(實)'입니다. 실학(實學)은 '백성들의 생활에 실제로(實) 도움을 주는 학문(學)'입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오랜 전쟁으로 백성들은 생활이 어려워졌지만, 당시의 유학자들은 이론만 중시하였습니다. 실학은 청나라에서 들어온 고증학과 서양의 과학적 사고 방식을 받아 들여 백성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자는 학문입니다.

際(제)-○부수: 阜/阝○풀이: 언덕 부(阜/阝) + [제사 제(祭)]/사이 제(際)자는 원래 '춘추시대의 제후들이 하늘에 있는 신에게 제사(祭)를 지내기 위해 높은 언덕(阝) 위에 모이다'는 뜻입니다. 이후, '모이다→만난다→사귀다→사이'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지금은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만나지는 않지만, 국제(國際) 무역이나 국제(國際) 회의로 나라 사이에 만납니다.

 

主觀(주관)/주인주,볼관.

主(주)-○부수: 丶○풀이: 등잔 모습/주인 주(主)자는 등잔 모양(王) 위에 불꽃(')이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입니다. 집의 등잔불을 관리하는 사람이 주인이라서 주인 주(主)자가 되었습니다. 도끼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인 왕(王)자와 전혀 상관없습니다.

觀(관)-○부수: 見○풀이: 볼 견(見) + [황새 관(雚)]/볼 관(觀)자에 들어가는 황새 관(雚)자는 두 눈(口口)을 강조한 새(隹)의 모습입니다. 따라서 볼 관(觀)자는 '두 눈을 부릅뜬 황새(雚)가 보다(見)'는 뜻입니다. 관찰사(觀察使)는 '보고(觀) 살피기(察) 위해 임금이 보낸 사신(使)'이란 뜻으로, 조선 시대 각 도(道)의 으뜸 벼슬로 오늘날의 도지사에 해당합니다. 관찰사는 감사(監司: '살피는(監) 것을 맡음(司)'이란 뜻)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평양(평안) 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때 평양 감사는 평양에 거주하는 평안도 관찰사입니다. 관념주의(觀念主義)는 '보고(觀) 생각(念)하는 주의(主義)'로, 객관적인 대상을 주관적으로 보고(觀) 생각(念)하는 대로 표현하려는 예술계의 경향입니다.

 

都心(도심)/도읍도,마음심.

都(도)-○부수: 邑/阝○풀이: 고을 읍(邑/阝) + [사람 자(者)→도]/갑골문자를 만든 은(殷)나라를 멸망시킨 주(周)의 무왕(武王)이 공을 세운 신하들과 친척들에게 땅을 나누어주고, 제후(諸侯)로 봉(封)하여 다스리게 함으로써 중국 최초의 봉건제(封建制)가 시작되었습니다. 봉건제(封建制)하에서 각 제후들은 여러 개의 고을로 이루어진 제후국(諸侯國)을 가지게 되었고, 여러 개의 고을 중 중심이 되는 고을(邑)을 도읍(都邑)이라 불렀고 나머지 고을(邑)을 비읍(鄙邑)이라 불렀습니다. 도읍 도(都)자의 도읍은 나라의 수도나 서울을 말합니다. 수도나 서울이 도시의 우두머리이기 때문에, 우두머리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우두머리(都) 감독관(督)'이란 뜻의 도독(都督)은 중국에서 지방 관아나 외지를 통치하던 기관의 최고 우두머리 벼슬입니다. 도호부(都護府)는'백성을 보호하는(護) 우두머리(都) 관청(府)'으로 중국 당나라와 우리나라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지방행정 기관. 이외에도 도승지(都承旨), 도병마사(都兵馬使), 도원수(都元帥), 도방(都房), 도감(都監) 등 도(都)자가 들어가는 말이 국사책에 자주 등장하는데, 도(都)자가 들어가면 '우두머리'나 '최고'라는 뜻으로 생각.

心(심)-○부수: 心/忄○풀이: 심장 모습/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을 보면, 춘추전국시대의 명의인 편작(扁鵲)이 뜻(志)은 강하나 기(氣)가 약한 사람과 기(氣)는 강하나 뜻(志)이 약한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 두 사람의 가슴을 갈라 심장을 바꾸어 놓으니, 두 사람은 집을 서로 바꾸어 찾아가고, 처자식도 바꾸어 알더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보듯이 고대 중국인들은 마음이 머리가 아니라 심장에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보면 가슴이 설레이고, 흥분되고 화가 나면 가슴이 벌렁거리고, 슬프거나 안타까운 것을 보면 가슴이 아프며, 두려우면 가슴이 뛰니까, 마음이 가슴에 있는 심장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한자에서 마음을 의미하는 마음 심(心)자는 심장(心臟)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敏感(민감)/민첩할민,느낄감.

敏(민)- ○부수: 攵○풀이: 칠 복(攵) + [매양 매(每)→민]/재빠를 민(敏)자는 원래 '회초리로 때려서(攵) 일하게 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일하다→힘쓰다→재빠르다→민첩(敏捷)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민어사이신어언(敏於事而愼於言)은 '군자는 일(事)에는(於) 민첩하고(敏), 말(言)에는(於) 신중해야(愼) 한다'는 뜻으로,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입니다.

感(감)-○부수: 心/忄 ○풀이: 마음 심(心) + [다 함(咸)→감]/감각(感覺), 감정(感情), 감동(感動) 등에 들어가는 느낄 감(感)자는 '마음(心)으로 모두 다(咸) 느끼다'는 뜻입니다. 터치 폰(touch phone)에서 감압식(感壓式)은 '압력(壓力)을 느끼면(感) 반응(應)하는 방식(式)'이고, 정전식(靜電式)은 '손가락 끝에 흐르는 정전기(靜電氣)를 인식해 반응하는 방식(式)'입니다. 전기의 전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정전식이 빨리 반응하지만, 볼펜 등 다른 사물에는 잘 반응하지 않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友好(우호)/벗우,좋을호.

友(우)-○부수: 又○풀이: 왼손 좌(屮) + [또 우(又)]/벗 우(友)자는 두 친구가 왼손(屮)과 오른 손(又)을 서로 잡고 우정(友情)을 나누고 있는 모습입니다. 문방사우(文房四友)는 '글(文) 방(房)의 4(四) 가지 벗(友)'이란 뜻으로, 공부를 하는 글방에서 쓰는 ① 붓(筆), ② 먹(墨), ③ 종이(紙), ④ 벼루(硯)의 네 가지 문방구(文房具)입니다. 필묵지연(筆墨紙硯).

好(호)-○부수: 女○풀이: 여자 녀(女) + 아들 자(子)/ 을 호(好)자는 '여자(女)가 아기(子)를 안고 있으니 좋다'는 의미입니다. 호사다마(好事多魔)는 '좋은(好) 일(事)에는 마귀(魔)가 많다(多)'는 뜻입니다. 기성균(好氣性菌)은 '공기(氣)를 좋아하는(嫌) 성질(性)의 세균(菌)'으로, 산소가 있는 곳에서 잘 자라는 세균(細菌)입니다.

 

恩惠(은혜)/은혜은,은혜혜.

恩(은)-○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인할 인(因)→은]/은혜 은(恩)자는 '의지하는(因) 사람에게 마음으로(心) 은혜를 느끼다'는 뜻입니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은 '풀(草)을 묶어(草) 은혜(恩)를 갚다(報)'는 뜻으로,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일컫는 말입니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중국 춘추시대, 풀을 묶어 놓아 적군이 탄 말이 걸려 넘어지게 하여 은혜를 갚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 결초보은(結:묶을 결 草:풀 초 報:보답할 보 恩:은혜 은) :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라는 뜻으로,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일컬음.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중국 춘추시대, 풀을 묶어 놓아 적군이 탄 말이 걸려 넘어지게 하여 은혜를 갚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

惠(혜)-○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오로지 전(專)/은혜 혜(惠)자는 '오로지(專) 한결같은 마음(心)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베풀다'는 뜻입니다. 광혜원(廣惠院)은 '널리(廣) 은혜를 베푸는(惠) 집(院)'으로, 1885년(고종 22년)에 미국인 선교사 앨런의 주관 아래 세워진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입니다. 이후 제중원(濟衆院: 중생들을 구제해주는 집)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複合(복합)/겹칠복,합할합.

複(복)-○부수: 衤○풀이: 옷 의(衤) + [돌아올 복(复)]/복사(複寫), 복수(複數), 복식(複式), 복잡(複雜) 등에 나오는 겹칠 복(複)자는 '옷(衤)을 여러번(复) 겹쳐 입다'는 뜻입니다. 이후, '겹치다→거듭되다→겹옷→솜옷'는 뜻이 생겼습니다. 복사기(複寫機/複寫器)는 '거듭(複) 베끼는(寫) 기계(機)나 도구(器)'입니다.

合(합)-○부수: 口○풀이: 뚜껑 있는 그릇 모습/합할 합(合)자는 입 구(口)자처럼 생긴 그릇 위에 밥 뚜껑(△)를 덮어 서로 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형문자. 다른 글자와 만나면 합, 답, 탑, 흡, 급, 습 등 여러가지 소리납니다. 모든 발음에 비읍 받침이 있다는 것이 공통적입니다. 합할 합(合)자는 홉 홉(合)자도 되는데, 이때 홉은 부피의 단위로 한되의 1/10입니다. 1홉은 180cc에 정도. 360cc정도의 소주병이 2홉. 1홉을 만든 기준은 성인 남자가 한 번에 보통 마시는 물의 양. 또 1홉의 쌀로 밥을 지으면 밥 한 그릇이 나옵니다. 홉을 나타내는 한자로는 홉 홉(合)자가 있는데, 상형문자를 보면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먹을 식(食)자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우리에게는 합할 합(合)자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空虛(공허)/빌공,빌허

空(공)-○부수: 穴○풀이: 구멍 혈(穴) + [장인 공(工)]/빌 공(空)자는 '굴이나 구멍(穴)의 안이 비어 있다'는 뜻입니다. 필기를 하는데 사용하는 공책(空冊)은 '내용이 비어있는(空) 책(冊)'이고, 공명첩(空名帖)은 '이름(名)을 적는 난이 비어(空) 있는 장부(帖)'로, 조선 시대에 돈이나 곡식을 바치는 사람에게 벼슬을 주던 임명장. 이름을 적는 란을 비워두었다가 돈이나 곡식을 바치는 사람에게 즉석해서 이름을 적어 넣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국가재정이 바닥나자, 국가에서는 공명첩을 발행하여 돈을 모아 가난한 백성을 구제하였습니다.

虛(허)-○부수: 丘○풀이: 언덕 구(丘) + [범 호(虍)→허]/허(虛)자는 범 호(虍)자 아래에 언덕 구(丘)자가 있는 모습으로, 원래 큰 언덕을 의미하였습니다. 큰 언덕은 사람이 없이 항상 비어있습니다고 해서 "비어 있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 허허실실(虛:빌 허 虛:빌 허 實:열매 실 實:열매 실 ) : 전쟁에서 적의 허(虛)를 찌르고 실(實)을 피하는 싸우는 전략

 

吉兆(길조)/길할길,조짐조.

吉(길)-○부수: 口○풀이: 입 구(口) + 선비 사(士)/길할 길(吉)자는 선비 사(士)자와 입 구(口)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도끼(士)와 입(口)에서 길하다는 의미가 생긴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입(口)으로 길함을 비는 주술과 관련이 있을 듯합니다. 그냥 '선비(士)가 입(口)으로 하는 이야기가 길(吉)하다'고 암기하면 좋을 듯합니다. 입춘대길(立春大吉)은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크게(大) 길(吉)하라'고 기원하는 글귀로 예전에 봄이 시작될 때 쯤 대문에 써 붙였습니다.

兆(조)-○부수: 儿○풀이: /조짐 조(兆)자는 점 복(卜)자와 같은 의미입니다. 은나라 때 거북 배의 껍질이나 소뼈가 갈라지는 형태를 보고 점(占)을 쳤는데, 이떄 거북 배의 껍질나 소뼈가 갈라지는 형태가 간단한 모양이 복(卜)자이고 좀 복잡한 모양이 조(兆)자입니다.

조(兆)자는 점을 쳐서 미래의 일을 예측한다는 의미에서, 조짐(兆朕), 길조(吉兆), 흉조(凶兆) 등의 단어에 들어갑니다. 다른 글자와 만나면 "도"로 소리납니다.

 

供給(공급)/이바지할공,줄급.

供(공)-○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함께 공(共)]/이바지할 공(供)자에 들어가는 함께 공(共)자는 두 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는 모습에서 '바치다, 올리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후, '함께'라는 뜻이 생기면서, 원래의 뜻을 살리기 위해 사람 인(亻)자를 추가하여 바칠 공(供)자가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바치다→주다→받들다→이바지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공급(供給), 제공(提供) 등에서는 '주다', 공양(供養)에서는 '받들다', 공여(供與)에서는 '이바지하다'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공양미 300석에 팔려간 심청의 이야기에 나오는 공양미(供養米)는 '부처님을 받들어(供) 봉양하기(養) 위한 쌀(米)'입니다.

給(급)-○부수: 糸○풀이: 실 사(糸) + [합할 합(合)→급]/공급(供給), 급식(給食) 등에 들어가는 줄 급(給)자는 '베를 짤 때 모자라는 실(糸)을 이어서(合) 주다'는 뜻입니다. 자급자족(自給自足)은 '스스로(自) 공급(給)하여 스스로(自) 충족하다(足)'는 뜻입니다.

 

榮轉(영전)/영화영,구를전.

榮(영)-○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등불 형(熒)→영]/영화 영(榮)자는 원래 '나무 위에 불(熒)처럼 활활 타는 듯 한 꽃'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또, 나무(木)에 꽃이 많이 피는 것을 영(榮)이라 하고, 풀(艹)에 피는 것을 화(華)라고 합니다. 이후 '꽃→피다→무성하다→영화(榮華)'라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은 '큰(大) 동쪽(東) 아시아(亞)의, 함께(共) 번영하는(榮) 권역(圈)'이란 뜻으로, 일본을 중심으로 함께 번영할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을 말합니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이 아시아 대륙에 대한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하여 내건 정치 표어입니다.

轉(전)-○부수: 車○풀이: 수레 차/거(車) + [오로지 전(專)]/회전(回轉), 자전(自轉), 공전(公轉)에 들어있는 구를 전(轉)자는 수레(車)가 굴러가다'라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이후 '구르다→회전(回轉)하다→옮기다→바꾸다'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전학(轉學)은 '학교(學)를 옮기다(轉)'는 뜻이고, 전화위복(轉禍爲福)은 '화(禍)가 바뀌어(轉) 복(福)이 되다(爲)'는 뜻으로 나쁜 일이 계기가 되어 오히려 좋은 일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자전거(自轉車)는 말(馬)이 끌지 않아도 '스스로(自) 굴러가는(轉) 수레(車)'라는 뜻입니다.

 

沈着(침착)/ 잠길침,붙을착.

沈(침)-○부수: 氵○풀이: 물 수(氵) + [베개 음(冘)→침]/잠길 침(沈)자는 원래 물 수(氵)자에 소 우(牛)자가 합쳐진 글자였으나, 나중에 소리를 나타내는 베게 음(冘)자로 바뀌었습니다. 아마 제사를 지낸 후 소를 물속에 제물로 바치는 모습으로 추정됩니다. '소가 물에 빠지다'고 해서 '잠긴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사람의 성씨로도 사용되는데, 이때에는 성 심(沈)자로 읽습니다. 심청전에 나오는 심청(沈淸)은 '맑은(淸) 물에 빠지다(沈)'라는 뜻으로, 공양미 삼백 석에 팔려간 심청이 인당수에 빠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着(착)-○부수: 目○풀이: /붙을 착(著)의 변형자로 양(羊)자와는 상관없는 글자입니다.

 

8. 다음 단어의 독음과 뜻을 쓰시오. (371~390)

校訂 (교정, 책의 잘못된 글자나 글귀를 바르게 고치는 일)/바로잡을교,바로잡을정

校(교) ○부수: 木○풀이: 나무 목(木) + [사귈 교(交)]/학교 교(校)자는 원래 '죄인의 손발에 끼우는 나무인 차꼬나 형구(刑具)'를 뜻하는 글자. 이후, '형구→(죄인을) 조사하다→(죄인을) 가르치다→학교(學校)' 등의 뜻이 파생. 訂/○풀이: 말씀 언(言) + [장정 정(丁)]- '말(言)로 바로잡는다'는 뜻. 정정(訂正)은 '바르게(正) 바로잡는다(訂)'는 뜻, 개정(改訂)은 '고쳐서(改) 바로잡는다(訂)'는 뜻/이미 나온책을 교정..교정(矯正); 좋지않은 버릇이나 결점을 바로잡음

 

救助 (구조, 재난을 당하여 위기에 빠진 사람을 구해줌)/구원할구,도울조

救(구)-○부수: 攵○풀이: 칠 복(攵) + [구할 구(求)]/구조(救助), 구원(救援) 등이 들어가는 구원할 구(救)자는 '적을 쳐서(攵) 아군을 구원(救援)하다, 돕다'는 뜻. 구세주(救世主)는 '세상(世)을 구원하는(救) 주인(主)'이란 뜻으로, 석가 또는 예수그리스도를 일컫는 말.

助(조)- ○부수: 力○풀이: 힘 력(力) + [ 도마 조(且)]/도울 조(助)자는 '힘(力)이 세어서 남을 돕다'는 뜻입니다. 영어의 조동사(助動詞)는 '다른 동사를 도와주는(助) 동사(動詞)'입니다. 조수(助手)는 '도와주는(助) 사람(手)'입니다. 손 수(手)자는 사람이란 뜻도 있습니다.

 

怨望 (원망, 남이 한 일을 억울하게 여겨 탓함)/원망할원,바랄망

怨(원)-○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누워딩굴 원(夗)]/원망할 원(怨)자는 원수(怨讐), 원한(怨恨), 원망(怨望), 원성(怨聲) 등에 사용됩니다. 원가(怨歌)는 '원망하는(怨) 노래(歌)'라는 뜻으로, 신라 때의 승려 신충(信忠)이 737년에 지은 향가입니다. 신충이 자신을 잊어버린 왕을 원망하는 노래입니다.

望(망)-○부수: 月(월) ○풀이: 달 월(月) + 줄기 정(壬) + [망할 망(亡)] /바랄 망(望)자의 아래에 있는 줄기 정(壬)자는 흙(土) 위에 사람(人)이 서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언덕(土) 위에 사람(人)이 서서 보름달(月)을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이후, '바라다'와 '보름'이란 뜻이 생겨났습니다. 망루(望樓)는 '바라보는(望) 누각(樓)'이고, 망원경(望遠鏡)은 '멀리(遠) 바라보는(望) 안경(鏡)'입니다. 희망(希望)은 '바라고(希望) 바라다(希望)'는 뜻이고, 욕망(慾望)은 '욕심내어(慾) 바라다(望)'는 뜻입니다.

 

念慮 (염려, 앞일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마음을 써서 걱정함. 또는 그런 걱정)/생각념,생각할려 念(염)○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이제 금(今)→념]/생각 념(念)자는 원래 '지금(今) 마음(心)에 두다'뜻. 이후, '마음에 두다→생각하다→(마음에 두도록) 기억하다→외우다→읊다→암송하다' 등의 뜻. 상념(想念)은 '생각(想)과 생각(念)'이란 뜻, 마음에 떠오르는 생각을 말함. 염불(念佛)은 '부처님의 이름이나 불경(佛)을 외우다(念)'는 뜻입니다. 원효대사의 정토신앙에서는 부처의 이름을 부르면 반드시 극락(極樂)에 간다고 합니다. 주로 부처님의 이름인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나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을 욉니다.

慮(려)-○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밥그릇 로(盧)→려] /생각 려(慮)자는 배려(配慮), 염려(念慮), 고려(考慮) 등에 사용됩니다. 조불려석(朝不慮夕)는 '아침(朝)에 저녁(夕) 일을 생각하지(慮) 못한다(不)'는 뜻으로, 앞일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을 일컫는 말입니다.

▶ 조불려석(朝:아침 조 不:아닐 부 慮:생각할 려 夕:저녁 석) : "아침에 저녁 일을 생각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당장을 걱정할 뿐이고 바로 그 다음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

應援 (응원, 운동경기 따위를 곁에서 성원함, 호응하며 도와줌)/응할응,도울원

應(응)-○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매 응(鷹)]/우리나라의 매사냥은 고조선 때부터 있었고, 고려시대에 응방(鷹坊)이라는 관청까지 두었습니다. 매사냥꾼은 매와 마음이 잘 통해야 합니다. 응할 응(應)자는 '사냥하는 매(鷹)가 사람의 마음(心)에 응하다'는 뜻입니다. 응답(應答), 대응(對應), 반응(反應) 등에 사용됩니다. 응인(應人)은 '매에 응하는(應) 사람(人)'이란 뜻으로, 매사냥꾼을 뜻합니다.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어떤 기회(機)에 임하면(臨), 대응하여(應) 변하다(變)'는 뜻으로, 그때그때 처한 상황에 맞추어 재빨리 그 자리에서 알맞게 대처하는 것을 이릅니다.

援(원)-○부수: 扌○풀이: 손 수(扌) + [당길 원(爰)]/구원할 원(援)자에 들어가는 당길 원(爰)자의 '위의 손(爪)이 아래의 손(又)에 덩굴 같은 것을 던져주고 잡아 당기다'는 뜻입니다. 아마도 구덩이에 빠진 사람을 구원해주는 모습인 것 같습니다. 이후, 구원하다는 뜻을 강조하기 위해 손 수(扌)자를 추가하여 구원할 원(援) 자를 만들었습니다. 원조(援助)는 '구원해주고(援) 도와주다(助)'는 뜻. 야구의 구원투수(救援投手)는 '구원(救援)해 주는 투수(投手)'라는 뜻으로, 앞서 던지던 투수가 위기에 몰렸을 때, 대신 나가서 던지는 투수.

 

有志 (유지, 마을이나 지역에서 명망 있고 영향력을 가진 사람)/있을유,뜻지

有(유)-○부수: 肉/月○풀이: 고기 육(肉/月) + 왼손 좌(屮)/있을 유(有)자는 '손(屮)에 고기(肉→月)를 들고 있다'는 뜻. 유공충(有孔蟲)은 '껍데기에 구멍(孔)이 있는(有) 벌레(蟲)'로, 석회질이나 규산질의 껍데기가 있고 껍데기에 있는 작은 구멍에서 실 모양의 발을 내밀어 먹이를 취함. 유구무언(有口無言)은 '입(口)이 있어도(有) 할 말(言)이 없다(有無)'는 뜻.

志(지)-○부수: 心/忄○풀이: 마음 심(心) + [그칠 지(止)]/뜻 지(志)자는 '마음(心) 가는(之→士) 바가 뜻이다'는 뜻입니다. 또, '뜻이나 생각을 기록하다' 혹은 '기록한 책'이란 뜻도 있습니다. 삼국지(三國志), 수호지(水滸志), 택리지(擇里志) 등이 그러한 예입니다.

 

方途 (방도, 일을하여 갈 방법과 도리)/모방,길도

方(방)-○부수: 方○풀이: 쟁기 모습/모서리를 의미하는 방(方)자는 원래 손잡이가 달린 쟁기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쟁기는 땅을 가는데 사용하였고, 옛 중국 사람들은 땅이 네모졌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방(方)자는 '네모'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네모는 말 그대로 '네 개의 모가 있다'는 뜻입니다. 이후 '네모→모→모서리→가장자리→변방(邊方)→지방(地方)'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하늘(天)은 둥글고(圓) 땅(地)은 네모(方)나다'는 뜻의 천원지방(天圓地方)은 옛 중국 사람들이 본 하늘과 땅의 모습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또, 공방전(孔方傳)은 '네모(方) 모양의 구멍(孔)을 가진 엽전의 전기(傳記)'라는 뜻으로 고려 때 임춘이 엽전을 의인화하여 지은 소설. 방언(方言)은 '지방(方)의 말(言)'이란 뜻으로 사투리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方)자는 다른 글자와 만나 소리로 사용됩니다. 소리로 사용될 때에는 글자의 오른쪽(防,紡,訪,妨 등)이나 아래쪽(房,芳,旁 등)에 옵니다. 하지만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완전히 다른 뜻을 가집니다. 부수로 사용되는 방(方)자는 모두 글자의 왼쪽(旅,旗,族,施)에 오는데, 이 글자들은 공통적으로 글자 오른쪽 위에 사람 인(人)자처럼 생긴 글자가 있습니다. 상형문자를 보면 깃발이 휘날리는 모습인데 이런 깃발을 본떠 만든 글자가 깃발 언(㫃)자입니다. 따라서 부수로 사용되는 모 방(方)자는 깃발 언(㫃)자를 반으로 잘라 놓은 글자. 이러한 깃발은 주로 군인들이 들고 다녔으며, 이동하거나 전쟁 시 북과 마찬가지로 군대를 지휘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途(도)-○부수: 辶○풀이: 갈 착(辶) + [나 여(余)→도]/길 도(途)자는 길 도(道)자와 음이 같아 혼동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두 글자의 차이를 정확하게 구분할 방법은 없고, 사용되는 단어를 통해서 익힐 수밖에 없습니다. 중도(中途), 도중(途中) 등에 사용됩니다. 별도(別途)는 '다른(別) 길(途)' 이란 뜻으로, 딴 방면이나 방법을 말합니다.

 

聯盟 (연맹, 공동 목적을 가진 조직)/ 연이을련, 맹세맹

聯(연)- ○부수: 耳○풀이: 귀 이(耳) + 실 사(絲)/연상(聯想), 연관(聯關), 관련(關聯) 등에 들어가는 연이을 련(聯)자는 '귀(耳)를 잘라 실(絲)에 꿰어 잇다'는 뜻입니다. 연합군, 국제연합 등의 연합(聯合)은 '잇고(聯) 합치다(合)'는 뜻으로, 둘 이상의 조직이 어떤 목적으로 모이는 것을 말합니다.

盟(맹)-○부수: 皿○풀이: 그릇 명(皿) + [밝을 명(明)→맹]/춘추전국시대에 제후들이 동맹(同盟)에 합의하면, 제사를 지내면서 천지신명 앞에 서약하고, 그릇(皿)에 동물의 피(血)를 서로 나누어 마셨습니다. 맹세 맹(盟)자는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한 글자입니다. 옛 글자를 보면 글자 아래의 그릇 명(皿)자를 피 혈(血)자로 쓰기도 하였습니다. 혈맹(血盟)은 '피(血)를 나누어 마시면서 한 맹세(盟)'를 뜻합니다.

 

付託 (부탁, 어떤 일을 해 달라고 맡기거나 청함)/줄부,부탁할탁

付(부)-○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마디 촌(寸)/줄 부(付)자는 '손(寸)으로 사람(亻)에게 주다'는 뜻입니다. 마디 촌(寸)자는 손의 상형입니다. 이후, '주다→맡기다→부탁(付託)하다→의지하다→붙이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발부(發付)는 '증명서 등을 발행(發行)하여 주다(付)'는 뜻이고, 부탁(付託)은 '부탁하고(付) 부탁하다(託)'는 뜻입니다.

託(탁)-○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부탁할/풀잎 탁(乇)]/부탁(付託)은 어떤 일을 해 달라고 말하는 것이니까, 말씀 언(言)자가 들어갑니다.

 

祥瑞 (상서, 경사롭고 길한 징조)/ 상서상,상서서

祥(상)-○부수: 示○풀이: 보일 시(示) + [양 양(羊)→상]/상서로울 상(祥)자는 제사상(示)에 양(羊)을 희생으로 바쳐 복을 비는 모습입니다. 상서로움은 복되고 길한 일이 있을 듯함을 일컫습니다. 고대 4대 문명의 발상지, 불교의 발상지 등에 나오는 발상지(發祥地)는 '상서로운(祥) 것이 발생(發)하는 땅(地)'이란 뜻입니다.

瑞(서)-○부수: 玉○풀이: 구슬 옥(玉) + [시초 단(耑)→서]/서(瑞)는 원래 임금이 제후를 처음(耑) 봉할 때 주는 옥(玉)으로 만든 홀(圭)이었으나, 나중에 상서롭다는 의미가 추가 되었습니다.

 

積立 (적립, 모아서 쌓아둠)/쌓을적,설립

積(적)-○부수: 禾○풀이: 벼 화(禾) + [꾸짖을 책(責)→적]/쌓을 적(積)자는 '수확한 벼(禾)는 앃아두다'는 의미입니다. 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은 '돌(石)을 쌓은(積) 내부에 나무(木)로 만든 곽(槨)을 넣은 무덤(墳)'으로, 3세기~6세기 초의 신라시대의 고분이 모두 적석목곽분이며, 천마총과 황남대총이 특히 유명합니다. 적운(積雲)은 '수직으로 놀이 쌓여있는(積) 구름(雲)'으로, 습도가 높은 열대지방이나 더운 여름에는, 습기가 많은 공기가 뜨거워져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구름이 되는데, 이와 같은 구름이 적운입니다.

立(립)-○부수: 立○풀이: 땅에 서있는 사람 모습/설 립(立)자는 두 팔을 벌린 사람(大→六)이 땅(一)을 딛고 서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입법부(立法府)는 '법(法)을 세우는(立) 관청(府)'이란 뜻으로, 법을 만드는 국회(國會)를 이르는 말입니다.

 

造詣 (조예, 어떤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이나 이해)/지을조,이를예

造(조)- ○부수: 辶○풀이: 갈 착(辶) + [고할 고(告)→조]/지을 조(造)자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습니다만,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신 앞에 나아가(辶) 고(告)하면서 소원을 비는 모습입니다. 이후, '(소원을) 이루다→만들다→짓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조선소(造船所)는 '배(船)를 짓는(造) 곳(所)'입니다. 조혈모세포(造血母細胞)는 '피(血)를 만드는(造) 어머니(母) 세포(細胞)'로, 골수 안에서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세포입니다. 백혈병을 치료할 때 골수를 이식하는데, 골수에 있는 조혈모세포를 이식함으로서 병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詣(예)-○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뜻/맛있을 지(旨)/말로 이르니까, 말씀 언(言)자가 들어갑니다.

 

肅然 (숙연, 고요하고 엄숙함)/ 엄숙할숙,그러할연

肅(숙)-肅(숙)-○부수: 聿○풀이: 고슴도치머리 계(彐)/엄숙(嚴肅), 정숙(靜肅)에 사용되는 엄숙할 숙(肅)자는 손으로 붓(聿)을 들고 무언가를 그리는 모습입니다.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엄숙한 분위기에서 하고 있어서 '엄숙하다'는 의미가 생긴 것 같습니다. 숙정문(肅靖門)은 '엄숙(肅)하고 편안한(靖) 문(門)'이란 뜻으로, 조선시대 서울 4대문 중의 하나인 북대문입니다. 동서남북(東西南北) 사대문의 이름에는 각각 인의예지(仁義禮智)에서 한 글자씩을 넣었습니다. 즉, 동대문은 흥인지문(興仁之門: 仁이 크게 일어나는 문), 서대문은 돈의문(敦義門: 義를 도탑게 하는 문), 남대문은 숭례문(崇禮門: 禮를 숭상하는 문), 북대문은 홍지문(弘智門: 智를 크게 하는 문)으로 지었습니다. 그런데 북대문의 이름에 지혜로움을 의미하는 '지(智)'가 들어가면 백성이 지혜로워져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 어려워진다 하여 '홍지문(弘智門)→숙청문(肅淸門)→숙정문(肅靖門)'으로 바뀌었습니다.

然(연)-○부수: 灬○풀이: 불 화(灬) + 고기 육(肉/月) + 개 견(犬)/자연(自然), 당연(當然) 등에 들어가는 그럴 연(然)자는 원래 '개(犬) 고기(月)를 불(灬)에 구우며 타다'는 뜻을 가지고 있었으나, 나중에 가차되어 '당연하다, 그러하다'는 뜻으로 사용되면서, 원래의 뜻을 살리기 위해 불 화(火)자가 추가되어 불탈 연(燃)자가 되었습니다.

 

現象 (현상,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사물의 형상)/나타날현,코끼리상

現(현)-○부수: 玉/王○풀이: 구슬 옥(玉/王) + [뵈올 현(見)]/현실(現實), 현재(現在) 등에 포함된 나타날 현(現)자는 '옥(玉/王)을 보면(見) 빛이 나타나다'는 뜻입니다. 소리 부분인 뵈올 현(見)자는 볼 견(見)자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象(상)-○부수: 豕○풀이: 코끼리 모습/기후 학자들에 의하면 고대 중국의 황하강 주변은 고온다습(高溫多濕)하였다고 합니다. 고대의 기후를 알 수 있는 방법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지층에서 발견된 동식물의 종류와 함께, 과학 시간에 배운 동위원소 측정에 의해 연대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BC 5000년부터 갑골문자가 만들어졌던 BC 1000년까지의 지층에서 발견된 동물의 25~30%는, 코끼리나 코뿔소, 원숭이와 같은 열대 동물들이었습니다. 당시 유적지에서도 코끼리나 코뿔소의 기물들이 발견되었고, 은나라에서 만들었던 갑골문자에도 코끼리 상(象)자나, 무소 서(犀)와 같은 글자가 있습니다. 이후 날씨가 점점 추워져 코끼리나 코뿔소, 원숭이와 같은 동물은 황하강 주변에서 사라졌습니다.

코끼리 상(象)자는 부수가 돼지 시(豕)자이지만, 돼지와는 관련이 없고, 코끼리 옆모습을 90도 회전시켜 놓은 모습입니다. 글자 맨 위에 긴 코가 있고, 왼쪽에 4개의 다리가 있습니다.

 

沈着 (침착, 행동이 들뜨지 않고 찬찬함)/가라앉을침,붙을착

沈(침)-○부수: 氵○풀이: 물 수(氵) + [베개 음(冘)→침]/잠길 침(沈)자는 원래 물 수(氵)자에 소 우(牛)자가 합쳐진 글자였으나, 나중에 소리를 나타내는 베게 음(冘)자로 바뀌었습니다. 아마 제사를 지낸 후 소를 물속에 제물로 바치는 모습으로 추정됩니다. '소가 물에 빠지다'고 해서 '잠긴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사람의 성씨로도 사용되는데, 이때에는 성 심(沈)자로 읽습니다. 심청전에 나오는 심청(沈淸)은 '맑은(淸) 물에 빠지다(沈)'라는 뜻으로, 공양미 삼백 석에 팔려간 심청이 인당수에 빠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着(착)-○부수: 目○풀이: /붙을 착(著)의 변형자로 양(羊)자와는 상관없는 글자입니다.

 

洞察 (통찰, 환히 내다 봄, 꿰뚫어 봄)/밝을통,살필찰

洞(통)-○부수: 氵○풀이: 물 수(氵) + [같을 동(同)→동,통]/골 동(洞)자의 골은 '골짜기'나 '고을'의 줄임말입니다. 동(洞)자는 '골짜기'나 '고을'이란 두가지 뜻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만, '고을, 마을, 동네'라는 뜻으로 많이 시용됩니다. 동민(洞民), 동사무소(洞事務所) 등에 사용됩니다. '동구 밖 과수원길~♬'의 동구(洞口)는 '동네(洞)의 입구(口)'입니다.

察(찰)-○부수: 宀○풀이: 집 면(宀) + [제사 제(祭)→찰]/살필 찰(察)자는 '제사(祭)를 지낼 째는 집안(宀)이 깨끗한지 살펴보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살필 찰(察)자는 '깨끗하다'는 의미도 함께 있습니다. 관찰사(觀察使)는 '백성을 보고(觀) 살피기(察) 위해 임금이 보낸 사신(使)'으로 조선시대 각 도(道)의 으뜸 벼슬로 지금의 도지사에 해당합니다.

 

花壇 (화단, 화초를 심기 위하여 만든 꽃밭)/꽃화,단단

花(화)-○부수: 艹○풀이: 풀 초(艹) + [될 화(化)]/꽃은 풀에서 피니까, 풀 초(艹)자가 들어갑니다. 될 화(化)자는 바로 서 있는 사람 인(亻)과 꺼꾸로 서 있는 사람(匕)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입니다. 여기에서 꺼꾸로 서 있는 사람은 죽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즉 산사람과 죽은 사람이 서로 윤회하여 다른 형태로 변화(變化)하는 의미로 만듬. 꽃 화(花)자도 꽃이 씨가 되고, 씨가 자라 풀이 되고, 풀에서 다시 꽃이 생기는 변화의 과정을 거친다는 의미.

壇(단)-○부수: 土○풀이: 흙 토(土) + [믿음 단(亶)]/제사를 지내는 제단(壇)은 흙(土)으로 높이(亶) 쌓은 곳입니다.

 

謙讓 (겸양, 겸손한 태도로 사양함)/겸손할겸,사양할양

謙(겸)-○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겸할 겸(兼)]/겸손할 겸(謙)자는 '말(言)을 할 때에는 겸손(謙遜)해야 한다'는 뜻. 겸허(謙虛)는 '겸손하고(謙) 자신을 비우다(虛)'는 뜻.

攘(양)-○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도울 양(襄)]/사양(辭讓), 양보(讓步) 등에 사용되는 사양할 양(讓)자는 '말(言)로 사양하다'는 뜻. 이후, '넘겨주다'는 뜻이 생김. 할양(割讓)은 '나누어(割) 넘겨주다(讓)'는 뜻으로, 국가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져 자기 나라 영토의 일부를 다른 나라에 넘겨주는 일을 가리키고, 양위(讓位)는 '자리(位)를 넘겨주다(讓)'는 뜻으로, 임금이 자리를 물려주는 일. 난징조약에서 청나라가 홍콩을 영국에 할양(割讓)하였고, 헤이그 밀사 사건으로 고종은 일본의 강압에 못 이겨 황위를 순종에게 양위(讓位)하였습니다.

 

勳章 (훈장, 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에게 주는 휘장)/공훈,글장

勳(훈)-○부수: 力○풀이: 힘 력(力) + [연기낄 훈(熏)]/공 훈(勳)자도 '힘써(力) 싸워 공(功)을 세우다'는 뜻입니다. 훈구파(勳舊派)는 '공(勳)을 세운 오래된(舊) 파(派)'로, 조선 건국 또는 조선 초기에 공을 세워 높은 벼슬을 해 오던 신하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하지만 세조 이후에는 정치권력을 독점한 기성 집권 정치세력을 지칭하는 말로 바뀌게 됩니다. 반대로 사림파(士林派)는 '선비(士)가 숲(林)처럼 무리를 이룬 파(派)'라는 뜻으로, 지방에서 서원을 중심으로 공부하던 선비들로, 벼슬을 하면서 정치적 세력으로 등장하게 됩니다. 위훈삭제사건(僞勳削除事件)은 '거짓(僞) 공(勳)을 삭제(削除)한 사건(事件)'으로, "훈구파들이 중종반정 때 공을 세운 사람들의 이름을 거짓으로 작성하였기 때문에 삭제해야 한다"고 사림파가 주장한 사건입니다. 하지만 훈구파에게 타격을 가하려다, 반격을 받아 오히려 사림파들이 사형을 당하거나 유배를 갔는데 이를 기묘사화(己卯士禍)라고 합니다.

章(장)-○부수: 立○풀이: 매울 신(辛) + 문신/글 장(章)자는 문신을 새기는 침(辛→立)과 문신의 모습(早)이 들어 있는 글자입니다. 일찍 조(早)자는 문신의 모습으로 원래의 의미와는 상관없습니다. 문신은 그림을 새기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죄목 등을 글로 새기기 때문에 '글'이라는 의미가 나왔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글월 문(文)자도 몸에 새긴 문신을 새긴 사람의 모습입니다. 문신(文身)이란 말 자체가 '몸(身)에 새긴 글(文)'이란 뜻입니다. 또, 문장(文章)을 원래의 뜻 그대로 풀이하면, '문신(文)과 문신(章)'이란 뜻이 됩니다.

 

聰氣 (총기, 총명한 기질)/귀밝을총,기운기

聰(총)-○부수: 耳○풀이: 귀 이(耳) + [바쁠/급할 총(悤)]/귀밝을 총(聰)자는 '귀(耳)가 밝다'는 뜻뿐만 아니라, '귀(耳)가 밝아 들은 것을 잘 기억하다'는 뜻의 '총명(聰明)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氣(기)-○부수: 米○풀이: 쌀 미(米) + [기운 기(气)]/기운 기(氣)자에 들어있는 기운 기(气)자는 아지랑이나 안개 등이 옆으로 깔려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이 글자가 가지고 있는 뜻을 살펴보면 '기운, 기백, 기세, 힘, 숨, 공기, 냄새, 바람, 기후, 날씨, 자연 현상, 기체' 등이 있습니다. 이 많은 낱말들의 공통점은, 분명히 무엇이 있기는 한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현대 과학으로 보면, 몸의 기운은 혈액 속의 혈당량에 비례하고, 힘은 근육의 수축으로 생기고, 기후는 공기의 온도로 결정되고, 기체는 분자가 자유롭게 운동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옛 사람들은 이런 과학적인 지식이 없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으나 느낄 수 있는 이런 것들을 통틀어 기(氣) 혹은 기운(氣運: 기의 움직임)이라고 불렀습니다. 이후 기(气)자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쌀 미(米)자를 추가하여 기운 기(氣)자를 만들었습니다. 쌀(米)로 만든 밥을 먹으면 기운이 생기기 때문에, 쌀에 기운(氣運)을 만드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기절(氣絶)은 '기(氣)가 끊어지다(絶)'는 뜻으로, 정신을 잃는 것을 말합니다.

 

9.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391~400)

경찰(警察))(경계할경,살필찰)

警(경)-○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공경할 경(敬)]/경계할 경(警)자는 '말(言)을 할 때에는 조심스럽게 경계(警戒)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경구(警句)는 '경계하는(警) 글귀(句)'라는 뜻으로, 진리나 사상을 간결하고 날카롭게 표현한 속담, 격언, 금언 등 입니다. 경구법(警句法)은 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속담, 격언, 금언 등의 경구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수사법입니다. 야경국가(夜警國家)는 '밤(夜)에 적이나 도둑을 경계하는(警) 국가(國家)'라는 뜻으로, 국방과 치안 유지만을 목적으로 하는 나라입니다.

察(찰)-○부수: 宀○풀이: 집 면(宀) + [제사 제(祭)→찰]/살필 찰(察)자는 '제사(祭)를 지낼 째는 집안(宀)이 깨끗한지 살펴보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살필 찰(察)자는 '깨끗하다'는 의미도 함께 있습니다. 관찰사(觀察使)는 '백성을 보고(觀) 살피기(察) 위해 임금이 보낸 사신(使)'으로 조선시대 각 도(道)의 으뜸 벼슬로 지금의 도지사에 해당합니다.

 

재산(財産))(재물재,낳을산)

財(재)-○부수: 貝○풀이: 조개 패(貝) + [재주 재(才)]/재물(財物), 재산(財産) 등에 들어가는 재물 물(財)자는 '재주(才)가 있어야 돈(貝)과 같은 재물을 모을 수 있다'는 뜻.

産(산)-○부수: 生○풀이: 날 생(生) + [선비 언(彦)→산]/낳을 산(産)자는 뜻을 나타내는 날 생(生)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선비 언(彦)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보위(保衛) (지킬보,지킬위)

保(보)-○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지킬 보(呆)]/지킬 보(保)자에 들어가는 지킬 보(呆)자는 팔과 다리를 벌리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이런 아이의 모습에서, '아이를 지키다, 보호하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사람 인(亻)자가 추가되어 지킬 보(保)자가 되었습니다. 보수정당(保守政黨)은 '기존의 전통이나 관습, 사회 등을 지키고(保) 지키는(守) 정당(政黨)'이며 변화시키려는 정당은 진보정당(進步政黨)이라 합니다.

衛(위)-○부수: 行○풀이: 다닐 행(行) + [가죽 위(韋)]/지킬 위(衛)자는 '왕이나 높은 사람들이 길을 다닐(行) 때 전후좌우로 둘러싸(韋) 호위(護衛)한다'는 뜻입니다.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붉은(紅) 깃발을 들고 다니며 중국 공산주의를 지키는(衛) 병사(兵)'라는 의미의 홍위병(紅衛兵)은 중국의 문화대혁명(1966∼1976년) 때, 약 1300만 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준군사적인 조직입니다. 모택동을 지지하고 중국의 구시대적 문화유산을 제거한다는 명분아래, 교사, 의사, 지식인들을 박해하였고,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이러한 박해를 받고 처형당하였습니다.

 

민주화(民主化) (백성민,주인주,될화)

民(민)-○부수: 氏○풀이: 침에 찔린 눈 모습/아이 동(童)자와 비슷한 어원을 가진 글자로는 백성 민(民)자가 있습니다. 백성 민(民)자의 상형문자도 눈(目)에 침을 찌르는 형상입니다. 모든 고대 국가가 그러했듯이, 당시 지배계층과 전쟁을 치는 병사를 제외하고는 모든 백성이 노예였습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배우는 국가의 발달과정을 보면 봉건제 이전의 사회를 노예제사회라고 부릅니다. '노예였던 백성(民)이 주인(主)인 국가(國家)'라는 뜻의 민주국가(民主國家)는 역사가 그리 길지 않습니다.

主(주)-○부수: 丶○풀이: 등잔 모습/주인 주(主)자는 등잔 모양(王) 위에 불꽃(')이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입니다. 집의 등잔불을 관리하는 사람이 주인이라서 주인 주(主)자가 되었습니다. 도끼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인 왕(王)자와 전혀 상관없습니다.

化(화)-○부수: 亻○풀이: 사람 인(亻) + 비수 비(匕)/될 화(化)자는 바로 서 있는 사람 인(亻)과 거꾸로 서 있는 사람(匕)을 본떠 만들었습니다. 여기에서 거꾸로 서 있는 사람은 죽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즉 산사람과 죽은 사람이 서로 윤회하여 변화(變化)하는 의미로 만들었습니다. 될 화(化)자에 풀 초(艹)자를 합친 꽃 화(花)자도 꽃에서 씨가 나고, 씨에서 다시 꽃이 피어 윤회합니다

 

관심(關心),(관계할관,마음심)

關(관)-○부수: 門○풀이: 문 문(門) + [북실 관(?)]/관계할 관(關)자는 원래 문(門)의 빗장을 의미합니다. 이후, '빗장→관문(關門)→(관문을 통해) 관계(關係)하다'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관문(關門)은 국경이나 요새의 성문이나 중요한 길목에 있는 문을 의미합니다. 중국의 관문 중에 가장 유명한 함곡관(函谷關)은 '함(函)처럼 생긴 골짜기(谷)의 관문(關)'으로 중국 문명의 중심지인 중원(中原)에서 서쪽의 관중(關中)으로 가는 관문입니다. 중국 고전에 자주 등장하는 이곳은 황토고원의 깊은 골짜기가 8km나 이어지고, 벼랑 위의 나무가 햇빛을 차단하여 낮에도 어두우며, 그 모양이 함(函)처럼 깊이 깎아 세워져 있어 이러한 이름이 생겼습니다. '너와 무관하니 상관마라'의 무관(無關)은 '관계(關)가 없다(無)'는 뜻이고, 상관(相關)은 '서로(相) 관계하다(關)'는 뜻입니다.

心(심)-○부수: 心/忄○풀이: 심장 모습/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을 보면, 춘추전국시대의 명의인 편작(扁鵲)이 뜻(志)은 강하나 기(氣)가 약한 사람과 기(氣)는 강하나 뜻(志)이 약한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 두 사람의 가슴을 갈라 심장을 바꾸어 놓으니, 두 사람은 집을 서로 바꾸어 찾아가고, 처자식도 바꾸어 알더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보듯이 고대 중국인들은 마음이 머리가 아니라 심장에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보면 가슴이 설레이고, 흥분되고 화가 나면 가슴이 벌렁거리고, 슬프거나 안타까운 것을 보면 가슴이 아프며, 두려우면 가슴이 뛰니까, 마음이 가슴에 있는 심장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한자에서 마음을 의미하는 마음 심(心)자는 심장(心臟)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충족(充足) (찰충,만족할족)

充(충)-○부수: 儿○풀이: 어진사람 인(儿) + 아이돌아 나올 돌(돌)/충분(充分), 충실(充實), 충전(充電), 충족(充足) 등에 들어가는 채울 충(充)자에 들어있는 아이 돌아나올 돌(★)자는 배속의 아기가 태어날 때 머리를 아래로 해서 나오는 아기(子자를 180도 회전)의 모습입니다. 즉 만삭이 된 배가 가득 차 있는 모습에서 '채우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충혈(充血)은 '피(血)로 채워지다(充)'는 뜻으로, 눈의 흰자위가 붉게 변하거나, 모기에게 물려 긁으면 그 자리가 붉게 변하는 것과 같이 몸의 일정한 부분에 피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모이는 것을 충혈이라고 합니다.

足(족)-○부수: 足○풀이: 다리와 발 모습/발 족(足)자는 종아리 모양을 나타내는 口자와 발의 상형인 그칠 지(止)자가 합쳐진 글자로, 발보다는 다리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발 족(足)자가 다른 글자에 들어갈 때에는 다리라는 뜻 외에도 발이나 발자취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사족(蛇足)은 화사첨족(畵蛇添足)의 줄임말로, '뱀(蛇)을 그리는데(畵) 발(足)을 더하다(添)'는 뜻으로, 쓸데없는 일을 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조족지혈(鳥足之血)은 '새(鳥)발(足)의(之) 피(血)'란 뜻으로, 극히 적은 양을 말합니다. 정족지세(鼎足之勢)는 '솥(鼎) 다리(足)의(之) 형세(形勢)'로, 솥의 3 다리처럼 셋이 맞서 대립하고 있는 형세입니다.

 

표현(表現) (겉표,나타날현)

表(표)-表(표)-○부수: 衣 ○풀이: 옷 의(衣) + 털 모(毛) /겉 표(表)자는 옷(衣)에 털(毛)이 나 있는 형상으로, 원래 털옷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런 털옷은 겉에 입는다고 해서 '털옷→겉옷→겉→(겉으로) 나타내다→(나타내는) 표'라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표피세포(表皮細胞)는 식물의 '겉(表) 가죽(皮), 즉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細胞)'로, 사람의 피부세포에 해당합니다. 표음문자(表音文字)는 '소리(音)를 나타내는(表) 문자(文字)'이고, 표의문자(表意文字)는 '뜻(意)을 나타내는(表) 문자(文字)'로, 한자가 대표적인 표의문자입니다. 또, 신하가 자기의 생각을 표현(表現)하여 임금에게 고하는 글을 표(表)라고 합니다. 출사표(出師表)는 '전쟁터로 군대(師)가 나가면서(出) 올린 글(表)'로, 제갈공명이 전쟁터에 나가면서 임금에게 올린 글입니다. 경세유표(經世遺表)는 '세상(世)을 다스리는(經) 글을 남겨(遺) 임금에게 올리는 글(表)'로,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이 나라의 정치 사회적 제도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한 책의 이름입니다.

現(현)-○부수: 玉/王○풀이: 구슬 옥(玉/王) + [뵈올 현(見)]/현실(現實), 현재(現在) 등에 포함된 나타날 현(現)자는 '옥(玉/王)을 보면(見) 빛이 나타나다'는 뜻입니다. 소리 부분인 뵈올 현(見)자는 볼 견(見)자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체험(體驗) (몸체,시험험)

體(체)-○부수: 骨○풀이: 뼈 골(骨) + 풍년 풍(豊)/몸 체(體)자는 '뼈(骨)와 풍족한(豊) 살이 몸(體)을 이루다'는 뜻입니다. 풍족할 풍(豊)자는 제사 그릇(豆) 위에 음식(曲)을 풍족하게 올려놓은 모습입니다. 체육(體育)은 '몸(體)을 튼튼하게 기르는(育) 과목'입니다.

驗(험)-○부수: 馬○풀이: 말 마(馬) + [다 첨(僉)→험]/시험 험(驗)자는 원래 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글자였으나, '좋은 말(馬)인지 시험(試驗)해보다'는 뜻 생겼습니다.

 

창제(創製) (비롯할창, 지을제)

創(창)-○부수: 刂○풀이: 칼 도(刂) + [곳집 창(倉)]/창조(創造), 창작(創作), 창의(創意), 독창적(獨創的) 등에 들어가는 비롯할 창(創)자는 원래 '칼로 인해 상처가 나거나 다치다'는 뜻이었으나 가차되어 '비롯하다, 시작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창세기(創世記)는 '세상(世)이 시작될(創) 때의 기록(記)'을 말하는 성경의 맨 처음 부분으로 아담과 이브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창씨개명(創氏改名)은 '성씨(氏)를 새로 시작하여(創) 이름(名)을 고치다(改)'는 뜻으로 일제강점기 1939년 2월 조선총독부에서 우리나라 사람의 이름을 강제로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게 한 일입니다.

製(제)-○부수: 衣○풀이: 옷 의(衣) + [마를 제(制)]/지을 제(製)자는 '소(牛)의 가죽으로 만든 베(巾)를 칼(刂)로 잘라((制) 옷(衣)을 짓다(만들다)'는 뜻입니다. 창제(創製), 제조(製造), 제작(製作)과 같이 '만든다'는 뜻의 낱말에 사용됩니다. 제술과(製述科)는 '시를 짓거나(製) 글을 짓는(述) 시험 과목(科)'으로, 조선시대 진사(進士)를 뽑던 과거시험입니다. 시문(詩文)을 짓는 시험으로, 합격자에게는 성균관 입학 자격과 문과 응시 자격을 주었습니다. 반면 생원과(生員科)는 생원(生員)을 뽑던 과거로, 유교경전 지식에 대한 시험을 쳤습니다.

 

강조(强調) (강할강, 고를조)

强(강)-○부수: 弓○풀이: 벌레 충(虫) + [클 홍(弘)→강]/강할 강(强)자의 본래 글자는 강(強=弘+虫)자로, 원래 껍질이 단단한 딱정벌레의 일종인 바구미를 뜻하는 글자였습니다. 이후, 껍질이 단단한 벌레(虫)에서 ‘단단하다→굳세다→강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調(조)-調(조)-○부수: 言○풀이: 말씀 언(言) + [두루 주(周)→조]/고를 조(調)자는 원래 '말(言) 소리를 고르게(周)하다'는 뜻입니다. '고르다→조율(調律)하다→(노래나 음악의) 가락'이란 뜻이 생겼습니다. 곡조(曲調)는 '가락(曲)과 가락(調)'이란 뜻이고, 시조(詩調)는 '시(詩)의 가락(調)' 혹은 '가락(調)이 있는 시(詩)'란 뜻입니다.



출처 : 작은 물보라
글쓴이 : 무지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