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8.孝治章第八(효치장제팔)
<孝治章第八>
子曰 昔者明王之以孝治天下也에 不敢遺小國之臣인데 而況於公侯伯子男乎아 故得萬國之환心하야 以事其先王하니 治國者는 不敢侮於鰥寡인데 而황於士民乎아 故得百姓之환心하고 以事其先君이라 治家者는 不敢失於臣妾인데 而況於妻子乎아 故得人之환心하야 以事其親이라 夫然故生則親安之하고 祭則鬼享之라 是以天下和平하야 災害不生이요 禍亂不作이라 故明王之以孝治天下也이 如此라 詩云 有覺德行하니 四國順之라하니라 昔者(석자) : “옛날에 明王之以孝治天下也(명왕지이효치천하야) : 명군이 효도로써 천하를 다스릴 때에는 不敢遺小國之臣(불감유소국지신) : 감히 소국의 신하라 할지라도 버리지 않았거늘 而況於公侯伯子男乎(이황어공후백자남호) : 하물며 공·후·백·자·남 등 제후의 경우에 있어서랴 故得萬國之懽心(고득만국지환심) : 그러므로 만국의 환심을 얻음으로써 以事其先王(이사기선왕) : 그 선왕을 섬기게 되었다 治國者(치국자) : 나라를 다스리는 자는 不敢侮於鰥寡(불감모어환과) : 홀아비나 과부라 할지라도 감히 모멸하지 않는 것이니 而况於士民乎(이황어사민호) : 하물며 사민의 경우에 있어서랴 故得百姓之懽心(고득백성지환심) : 그러므로 백성들의 환심을 얻음으로써 以事其先君(이사기선군) : 그 선군을 섬기게 되었느니라 治家者(치가자) : 집안을 다스리는 자는 不敢失於臣妾(불감실어신첩) : 부하나 노비에게라 할지라도 감히 실수를 저지르지 말아야 할 것이니 而況於妻子乎(이황어처자호) : 하물며 처자의 경우에 있어서랴 故得人之懽心(고득인지환심) : 그러므로 사람들의 환심을 얻음으로써 以事其親(이사기친) : 그 양친을 섬기게 되었다 夫然故(부연고) : 무릇 이와 같으므로 生則親安之(생칙친안지) : 살아서는 양친이 편안히 지내고 祭則鬼享之(제즉귀향지) : 돌아가셔서 제사 지내면 영혼은 흠향하게 되는 것이다. 是以天下和平(시이천하화평) : 이로써 천하가 화평하고 災害不生(재해불생) : 재해가 생기지 않으며 禍亂不作(화란불작) : 화란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故明王之以孝治天下也(고명왕지이효치천하야) : 그러므로 명왕이 효도로써 천하를 다스리면 如此(여차) : 이와 같이 된다 詩云(시운) : <시경>에 이르기를 有覺德行(유각덕행) : ‘바른 덕행을 四國順之(사국순지) :주변 나라들이 따른다.’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