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어문회 1급 기출(35회~67회) 전의어, 뜻풀이 모음

꿈과인생 2016. 5. 17. 06:49

어문회 1급 시험을 보기 위해 작성한 자료인데,

혹시 필요하신 분은 참고 하시라고 올려 봅니다.

 

훈음과 뜻을 직접 찾아 보면서 익히면 비록 시간은 걸리지만 공부에는 더 효과적입니다.

 

댓글 매너는 필수, 댓글을 달면 공부가 더 잘 됩니다.^^*

 

한글파일을 원하시면 제 블로그에 오시면 공개되어 있습니다.

 

語文會 1級 旣出(35回~67回) 轉義語·뜻풀이

 

區分

旣 出 單 語 (35回~67回) ( )내의 숫자는 기출 횟수

脚光(각광) : 사회적 관심이나 주목을 받음. 혹은 배우에 비추는 조명.

堪輿(감여) : 하늘과 땅

薑汁(강즙) : 생강즙

項(강항) : 뜻을 굽히지 않고 간언하는 강경한 신하

坑塹(갱참) : 구덩이

巨擘(거벽) : 학식이나 어떤 전문적인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 --- (2)

桀紂(걸주) : 천하의 폭군

乞骸骨(걸해골) :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다

繭綿(견면) : 고치솜/ 비단 솜 --- (2)

鷄肋(계륵) : 별 쓸모없으나 버리기는 아까운 것/ 닭갈비 --- (3)

股肱(고굉) : 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중신, 온 몸 --- (2)

叩頭(고두) : 머리를 조아림

顧眄(고면) : 돌이켜 봄/ 돌아 봄

賈竪(고수) : 장사치

困憊(곤비) : 몹시 고단함

汨沒(골몰) : 한 가지 일에만 파묻힘

鞏膜(공막) : 눈알을 둘러싼 꺼풀

顆粒(과립) : 알갱이(낟알)

瓜滿(과만) : 임기가 만료됨/ 기한이 참

瓜分(과분) : 서넛으로 갈라짐

藿湯(곽탕) : 미역국

關鍵(관건) : 문제 해결의 가장 중요한 부분

骨(관골) : 광대뼈

括約(괄약) : 오므라지게 함/ 합쳐 모음

掛冠(괘관) : 벼슬을 내놓고 물러남

光陰(광음) : 햇빛과 그늘/ 세월 --- (2)

溝渠(구거) : 개골창/ 도랑

駒隙(구극) : 짧은 시간, 아주 빨리 지나감

溝瀆(구독) : 도랑/개천/수렁/웅덩이

舊臘(구랍) : 지난해의 섣달

丘壟(구롱) : 조상의 산소 --- (2)

廏肥(구비) : 외양간에서 나는 두엄/ 쇠두엄

舍(구사) : 마구간 --- (2)

臼齒(구치) : 어금니

眷率(권솔) : 식구/ 가족

葵傾(규경) : 흠모함/ 충성

逵路(규로) : 큰길

傀儡(괴뢰) : 남에게 조종당하는 사람이나 조직/ 꼭두각시 --- (2)

宏碩(굉석) : 뛰어난 큰 인물

襟度(금도) : 남을 포용할 만한 도량

琴瑟(금슬) : 부부의 사이가 좋음

崎嶇(기구) : 순탄치 않은 삶

技倆(기량) : 기술적인 재주나 솜씨

旣望(기망) : (음력 매월)열 엿샛날

杞憂(기우) : 쓸데없는 걱정. 공연한 걱정(기나라 사람의 걱정) --- (3)

耆儒(기유) : 연로한 선비/ 학덕이 높은 노학자

嗜好(기호) : 즐기고 좋아함.

喫緊(끽긴) : 매우요긴한

喫茶(끽다) : 차를 마심 --- (2)

捺印(날인) : 도장을 찍음

衲子(납자) : 중(스님)

耐暑(내서) : 더위를 견디어 냄

內訌(내홍) : 내부에서 일으키는 분쟁

路肩(노견) : 갓길

怒濤(노도) : 거칠고 센 바다 물결/ 성난 파도 --- (2)

濃霧(농무) : 짙은 안개

茶飯事(다반사) : 예삿일/ 흔한 일.

簞食(단식) : 소쿠리(대그릇) 밥

袋鼠(대서) : 캥거루

隊伍(대오) : 군대 행렬의 줄

屠戮(도륙) : 마구 죽임

塗炭(도탄) : 몹시 어렵고 고통스러움

禿山(독산) : 민둥산/ 벌거숭이 산

棟梁(동량) : 마룻대와 들보 혹은 뛰어난 인재.

杜撰(두찬) : 틀린 곳이 많은 작품/ 출처가 불확실한 저술 --- (3)

臀腫(둔종) : 볼기에 난 종기

等價(등가) : 같은 값이나 가치

 

懶怠(나태) : 느리고 게으름

絡繹(낙역) : 왕래가 끊이지 않음

濫觴(남상) : 사물의 처음 --- (3)

老軀(노구) : 늙은 몸

露顯(노현) : 겉으로 나타내어 보임

籠絡(농락) : 휘잡아서 제 마음대로 놀리거나 이용함

聾啞(농아) : 귀머거리와 벙어리

牢籠(뇌롱) : 농락함/ 교묘한 꾀로 남을 제 마음대로 부림

累卵(누란) : 몹시 위태로운 형국

累載(누재) : 여러 해

陸梁(육량) : 날치다(어지러이 달림. 마음대로 날뜀)

綸音(윤음) : 임금의 말씀

菱形(능형) : 마름모(-꼴)

吝嗇(인색) : 지나치게 아낌

馬鈴薯(마령서) : 감자

輓歌(만가) : 상엿소리(상여를 메고 갈 때 하는 노래)

蔓延(만연) : 나쁜 현상이 널리 퍼짐

買辦(매판) : 개인의 이익을 위하여 외국자본에 붙어 자국의 이해를 잊는 일.

萌芽(맹아) : 식물에 새로 트는 싹/ 사물의 시초

俛仰(면앙) : 머리를 숙였다 치켜 뜸/ 짧은 시간

綿袍(면포) : 솜두루마기

牡瓦(모와) : 수키와

蒙塵(몽진) : 임금의 피난 --- (2)

妙齡(묘령) : 여자의 꽃다운 나이(스무 살 )

無恙(무양) : 탈 없음

彌滿(미만) : 가득 참

媚笑(미소) : 아양을 떨며 곱게 웃음

米壽(미수) : 여든 여덟 살

盤渦(반와) : 소용돌이/ 소용돌이치며 흐름

畔援(반원) : 도리에 벗어난 행동을 멋대로 함

鉢囊(발낭) : 바리때

跋扈(발호) : 세력이 강하여 다스리기 어려움/ 함부로 날뜀 --- (2)

白眉(백미) :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물건

伯仲(백중) : 우열을 가리기 힘듦.

藩屛(번병) : 천자를 지키는 제후나 이민족

法臘(법랍) : 승려 되고부터 나이

輻射(복사) : 한 점으로부터 사방으로 내쏨 또는 그런 현상

覆轍(복철) : 이전사람의 실패/ 전철(前轍)

駙馬(부마) : 임금의 사위/ 공주의 부군 --- (3)

賻儀(부의) : 초상난 집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건/ 또, 그것을 보내는 일.

庇蔭(비음) : 보호

鼻祖(비조) : 사물의 근원/ 일의 시작

庇護(비호) : 감싸 보호함

憑藉(빙자) : 의지함/ 핑계로 삼음

蛇足(사족) : 뱀의 발 혹은 쓸데없는 짓

刪削(산삭) : 불필요한 말(구절)을 깎아 버림

傘壽(산수) : 80세

算筒(산통) : 점칠 때 쓰는 작은 통

滲透(삼투) : 스미어 들어감/ 스며듦

上元(상원) : 대보름(날)

甥姪(생질) : 누이의 자식

犀角(서각) : 무소뿔 --- (2)

鼠婦(서부) : 쥐며느리

黍粟(서속) : 기장과 조

釋褐(석갈) : 과거에 합격, 혹 벼슬길에 처음 나섬 --- (2)

潟湖(석호) : 모래톱이 바다의 만을 막아 생긴 호수

禪讓(선양) : 임금의 자리를 물려줌

洩漏(설루) : 기밀이 밖으로 샘

殲滅(섬멸) : 모조리 무찔러 없애는 것

遡及(소급) : 지난 일에 까지 거슬러 올라가 미치게 하는 것

疏明(소명) : 까닭이나 이유를 밝혀 설명함

塑像(소상) : 점토나 석고로 만든 상

逍遙(소요) : 자유롭게 이리저리 거닐며 돌아다님.

騷人(소인) : 시인과 문사

素饌(소찬) : 고기 없는 반찬

悚懼(송구) : 고맙고 미안함

袖納(수납) : 가지고 가서 드림

狩獵(수렵) : 사냥

菽麥(숙맥) : 사리분별을 못하는 사람

夙夜(숙야) : 새벽부터 밤까지/ 하루 종일

柿餠(시병) : 감편/ 감떡

柴扉(시비) : 사립문 --- (2)

諡號(시호) : 이전 임금의 공덕 또는

신하가 죽은 뒤에 그의 행적을 칭송하여 임금이 추증하는 이름.

食言(식언) : 약속 혹은 말을 어기는 것.

宸襟(신금) : 임금의 마음 --- (3)

深奧(심오) : 깊고 오묘함

晏駕(안가) : 임금이나 천자가 죽음

暗礁(암초) : 뜻밖의 장애물

壓卷압권) : 제일 잘 된 책이나 작품. --- (3)

曖昧(애매) : 희미하여 분명하지 않음

隘路(애로) : 일의 진행을 방해하는 장애

隘陜(애협) : 땅이 아주 좁음/ 마음이 아주 좁음

圄囹(어령) : 감옥

御膳(어선) : 임금님의 식사/ 수라상

御殿(어전) : 임금이 있는 궁전

臆測(억측) : 이유와 근거가 없는 추측. --- (2)

如反掌(여반장) : 일이 매우 쉬움.

燕麥(연맥) : 귀리

演繹(연역) : 펴서 풀어냄

囹圄(영어) : 감옥

迎合(영합) : 상대방의 생각이나 뜻에 맞추는 것.

詣闕(예궐) : 대궐에 들어감 --- (2)

曳履聲(예리성) : 신발 끄는 소리/ 발자국 소리

寤寐(오매) : 자나 깨나 언제나

嗚咽(오열) : 목메어 욺

烏雲(오운) : 검은 구름

烏有(오유) : 없음(어찌 있을까)

奧旨(오지) : 속(깊은) 뜻

蝸角(와각) : 좁은 地境이나 아주 작은 사물

瓦礫(와력) : (와륵의 본딧말)하찮은 물건

臥龍(와룡) : 누워 있는 용 혹은 세상에 나오지 않은 뛰어난 선비

訛謬(와류) : 그릇되어 이치에 맞지 않음

腕釧(완천) : 팔찌

猥濫(외람) : 분수에 넘쳐 죄송함

搖籃(요람) : 발생지/자라난 곳

宇內(우내) : 천하/ 세상/ 국내

月暈(월훈) : 달무리 --- (2)

遺嗣(유사) : 대를 이을 아들

幽囚(유수) : 잡아 가두는 것

留宿(유숙) : 남의 집에 묵는 것.

踰越(유월) : (한도, 법도, 본분)을 넘음

肉羹(육갱) : 고깃국

肉羞(육수) : 고기반찬

揖遜(읍손) : 겸손의 뜻을 표시함/ 읍하여 물러남

耳順(이순) : 60세

移秧(이앙) : 모내기 --- (2)

日暈(일훈) : 햇무리

蔗境(자경) : 점점 재미있어지는 대목이나 고비 --- (2)

檣竿(장간) : 돛대

咀嚼(저작) : 내용을 깊이 음미함 --- (2)

寂寞(적막) : 고요하고 쓸쓸함

積善(적선) : 남을 위해 착한 일을 많이 함.

剪枝(전지) : 가지치기.

竊盜(절도) : 남의 재물을 몰래 훔치는 일.

折檻(절함) : 강경하게 간(諫)함

粘土(점토) : 찰흙

楨幹(정간) : 사물(을 지탱하는 것)의 중요한 것

正鵠(정곡) : 핵심, 가장 중요한 곳 --- (2)

鼎談(정담) : 세 사람이 얘기함

除斥(제척) : 물리침/ 제외함

鳥瞰(조감) : 높은 데서 아래로 전체를 한눈에 내려다 봄

糟糠(조강) : 술지게미와 쌀겨. 가난을 함께 한 아내.

彫塑(조소) : 조각의 원형이 되는 소상을 만듦

釣餌(조이) : 낚시밥

肇秋(조추) : 초가을/ 음력 9월 --- (3)

踵武(종무) : 뒤를 이음

酒滓(주재) : 술지게미

躊躇(주저) : 뭇거리고 망설임

蠢動(준동) : 벌레 따위가 꿈틀거림/ 보잘 것 없는 사람들이 소동을 일으키는 일.

駿馬(준마) : 좋은 말

浚渫(준설) : (바다나 강의) 바닥을 파냄

汁滓(즙재) : 즙 짜낸 찌꺼기 --- (2)

知悉(지실) : 다 앎/ 자세히 앎

咫尺(지척) : 아주 가까운 거리.

指呼間(지호간) : 아주 가까운 거리. 손짓하여 부를만한 거리.

直諫(직간) : 맞대하여 잘못을 간함.

嗔喝(진갈) : 성내어 꾸짖음

塵埃(진애) : 티끌과 먼지. 속세

桎梏(질곡) : 자유 없는(구속당한)괴로움 --- (4)

窒息(질식) : 숨이 막힘

跌宕(질탕) : 지나치게 노는 짓

執拗(집요) : 몹시 고집스럽고 끈질김.

懲毖(징비) : 과오를 뉘우쳐 삼감

差使(차사) : 임금의 심부름하는 임시벼슬

蹉跌(차질) : 실패함/ 미끄러져 넘어짐/ 계획이 틀어짐 --- (2)

搾油(착유) : 기름을 짬

搾乳(착유) : 젖을 짬

位(찬위) : 왕위를 빼앗음/ 찬탈

篡奪(찬탈) : 왕위를 빼앗음

斬衰(참최) : 오복(五服)의 하나/ 부친과 조부 상에 입는 상복

倉卒(창졸) : 갑(급)작스러움

陟降(척강) : 오르내림

滌暑(척서) : 더위를 가심

擅權(천권) :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는 일.

擅橫(천횡) : 제멋대로 함

捷徑(첩경) : 지름길 --- (3)

靑裳(청상) : 기생

請牒(청첩) : 초청하는 문서

涕泣(체읍) : 눈물 흘리며 울다

焦眉(초미) : 매우 급함 --- (3)

錐囊(추낭) : 재능이 뛰어난 사람 --- (2)

秋毫(추호) : 매우 작거나 적음.

贅壻(췌서) : 데릴사위 --- (2)

嗤笑(치소) : 비웃음

鍼灸(침구) : 침과 뜸 --- (2)

砧石(침석) : 다듬잇돌

侵蝕(침식) : 차츰차츰 먹어 들어감

鍼艾(침애) : 경계(警戒)/ 잠계(箴戒)

沈澱(침전) : 액체 속 물질이 밑바닥에 가라앉음/ 기분 따위가 가라앉음.

蟄伏(칩복) : 자기를 보호하려고 처소(땅속)에 들어박혀 있음

 

唾液(타액) :

汰揀(태간) : 가려 뽑음

播種(파종) : 논, 밭에 씨를 뿌리는 것.

悖倫(패륜) : 도리에 어그러짐

偏跛(편파) : 한쪽으로 치우침/ 공정하지 못함.

泡沫(포말) : 물거품

褒貶(포폄) : 칭찬과 헐뜯음

逋欠(포흠) : 관물(官物)을 사사로이 소비함

稟申(품신) : 윗사람에게 여쭈는 일

風燭(풍촉) : 매우 위태함

遐裔(하예) : 아주 먼 외딴 지방

瑕疵(하자) : 흠 --- (4)

旱魃(한발) : 가뭄(가물)

喊聲(함성) : 여러 사람이 함께 지르는 고함소리.

諧謔(해학) : 익살/ 유머

享年(향년) : 죽은 사람의 나이

懸壅垂(현옹수) : 목젖 --- (2)

荊棘(형극) : 나무의 가시/ 고난

瑩澈(형철) : 투명함.

毫釐(호리) : 미세함/ 매우적음

狐鼠(호서) : 교활한(약삭빠른 옹졸한)사람/ 좀도둑

酷寒(혹한) : 몹시 심한 추위

鰥寡(환과) : 홀아비와 과부

賄賂(회뢰) : 뇌물을 주고 받음

膾炙(회자) : 여러 사람 입에 오르내림 --- (3)

嚆矢(효시) : 시작 혹은 처음

恤緯(휼위) : 자기 신상의 일을 걱정함

歆饗(흠향) : (신명이) 제물을 받아먹음

喜壽(희수) : 77세

詰責(힐책) : 꾸짖음

출처 : 창천항로 (蒼天航路) - 국내최대규모 한자시험 동호회
글쓴이 : 省軒 원글보기
메모 :